국방부가 "사실이 아니"라고 부정했던 해군 군검사와 해병대수사단 사이 '사단장 혐의 법리검토'가 통화 녹취록으로 공개됐다. 녹취록에는 고(故) 채 상병 사건 수사와 관련해 군검사가 △'사단장의 혐의'를 확신하는 내용과 더불어 △국방부 '외압' 정황을 언급하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 . .
군검사도 '외압' 정황 언급 … 국방부 조치 가리키며 "너무 무서운 일"
임 소장은 양측의 통화녹취가 "국방부 측의 외압이 느껴지면서 시작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 소장 설명에 따르면 양측의 구두 법리검토는 애초 녹음 등의 기록 없이 진행됐지만, 지난 7월 31일 국방부가 '수사결과 언론브리핑'을 취소하고 수사단장인 박정훈 대령을 압박하자 양측은 통화를 녹음하기 시작됐다.
특히 이날 센터가 공개한 두 번째 녹음 파일(8월 3일 오전 통화녹취) 내용을 살펴보면 해군 군검사들은 수사단에 가해지는 국방부 차원의 '수사외압'을 명백히 인지하고 있던 것으로 보인다.
통화에서 A 군검사는 "(사건 재조사 등을) 명분으로 (수사단 측이 기존에) 조사한 것이 다 날아갈 수도 있을 것"이라며 "(재조사가 시작되면 수사단의 기존 수사는) 법적으로 절차를 위반한 수사이기 때문에 자료로서 가치가 없다는 식으로 (폐기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A 군검사는 "이것은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국방부 검찰단이 (수사자료를) 가지고 가면 지금까지의 수사내용을 싹 다 날리려 하는 계획이 혹시 있는 건 아닌지 우려된다"라며 "혹시 모르니 복사본을 만들어 놓으라"고 조언하기도 했다.
실제로 국방부 검찰단은 전날 오후 7시께 수사단이 경찰 측으로 이첩한 수사자료를 경북경찰청으로부터 전량 회수했고, 경북경찰청은 별도의 복사본을 만들지 않았다. 이후 국방부 검찰단은 수사단장인 박정훈 대령을 위시해 수사단 관계자들을 항명 혐의로 입건한다.
통화가 이뤄진 3일 오전 수사단은 동별관으로 분리 조치된 상황이었다. A 군검사는 이 같은 상황에 대해서도 "형식적으로는 내사라고 하지만 수사라는 것 알고 계시지 않나"라며 "걱정이 된다", "너무 무서운 일"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첫댓글 다 엉망이야
진짜 나라가 전반적으로 미쳐돌아가고 비정상적인데 누구하나 처벌받는 놈이 없어
메쳐돌아가는구나 왜 지랄이지 진짜
삭제된 댓글 입니다.
22 댓글이랑 조회수 중요함ㅠ 박대령님 응원 댓글 하나씩만 달아주라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