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아는 세이브 조건이...
아웃카운트 상관없이 3점차 리드때 주자1명이상 나가있을때 등판 ...이후 경기종료까지 책임.
아웃카운트 상관없이 4점차 리드때 주자2명이상 나가있을때 등판 ... 이후 경기종료까지 책임.
아웃카운트 상관없이 5점차 리드때 주자만루 나가있을때 등판 ... 이후 경기종료까지 책임.
그 외에 3점차 이하 앞설때 9회이전에 등판해서 경기 끝까지 승리지킴.
마지막 1이닝 3점이하 리드하에 등판
마지막 3이닝 무실점으로 막고 경기종료
맞나요?
다른 분들이 아니라고 아니라고 하는데...음음
첫댓글 간단히 말씀 드리면 리드상황에서 3이닝 이상을 던지는 투수가 경기를 승리로 지키면 점수차 상관없이 세이브/아웃카운트 3개이상 잡는 상황에서 3점차이내/아니면 주자.타자.대기타자가 다 들어올면 동점일 상황에서 등판하면 세이브. 즉.. 예로 드신건 다 맞습니다만 하나..3이닝 무실점..이 아니라 이기는 경기면 3이닝 이상 던져서 끝내면 그것도 세이브 입니다. 즉 ... 10:0에서 7회시작할때 올라와도 세이브라는 것이지요.
이기고 있는 상황에서 3이닝 이상던져서 게임을 마무리 지어도 무조껀 세이브를 주는건 아닙니다...3이닝 이상을 던지고 효과적인 투구를 해야 세이브를 줍니다...예를 들어서 7회에 10:0으로 이기고 있는데 마무리 투수가 7,8,9회에 9점을 줘서 10:9로 이기면 경기는 이겼지만 투수는 3이닝 동안에 무려 9점이나 줬기 때문에 전혀 효과적인 투구로 보지 않아서 세이브가 안올라갑니다...
효과적이란게 기준이 절대적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제가 10:9로 끝낸다는 말은 안썼는데요..??? 전 10점차 이상으로 올라왔을때를 예를 든건 아주 많이 점수차가 나서 올라와도 3이닝 이상을 던지면 일단 세이브투수의 자격이 된다는 것이고..효과적이란건 기록원의 주관입니다. 같은 4실점을 해도, 어쩔때는 효과적, 어쩔때는 비효과적..이라고 판단합니다.
그걸 르브론님이 리플 잘달아주신거 같은데요 ; 간단히 말씀 드리면 리드상황에서 3이닝 이상을 던지는 투수가 경기를 승리로 지키면 점수차 상관없이 세이브 이말은 질문하신분이 보기에 3이닝막아서 이기면 항상 세이브구나 라고 생각하시 수 있으니까요
큰 점수차로 이기고 있을 시 막판 3이닝 이상 등판해서 승리할 시 세이브 판단에 있어 수치적인 것을 떠나서 기록원의 주관이 들어간다는것인데.. 좀 더 명확한 기준이 있어야 할듯.
무실점이면 세이브 주겠죠
감사합니다. 대기타자까지보는~
간단히 생각하면, 백투백 홈런 나왔을 때 동점 되는 상황에 올라오면 세이브조건 성립합니다.
1.점수차 관계 없이 종료까지 총 3이닝 이상 효과적으로 투구.
2.등판상황이 백투백 홈런 나왔을때 동점이 되는 경우에 등판해서 막았을 경우
3.3점차 1이닝을 효과적으로 막을 경우.
이 세 가지 조건입니다.
위에서도 말했지만 1번은 3이닝 이상을 효과적으로 투구해야 세이블를 줍니다....;;;
제가 말한대로면 세이브죠...무실점이니까...
그 외 저런조건을 다 채우고 경기를 마무리 못한 선수는 홀드죠.
아...홀드가 참 까다로왔는데...이해를 못한 그동안...이번 기회에 알게되는군요 !
음 어쨌든 제가 언급했던 사항들은 모두 세이브가 되는거네요...소신있게 나가길 잘했어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