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골롬반 외방 선교회 (Missionary Society of Saint
Columban:S.S.C.)
(우)136-036 서울시 성북구 동소문동 6가 140 ☎<02>926-1217,
팩스 926-0551 e-mail:columban@shinbiro.com http://www.columban.or.kr/
1.역사 1) 설립일:1918. 6.29. 2) 한국 진출일:1933.10.29 3) 역대 장상 임
오웬(Owen MacPolin) 몬시뇰(1933~1949) 지 벨라도(Bernard Geraghty) 신부(1949~1968) 지
베드로(Peter Tierney) 신부(1968~1974) 신오복 안토니오(Patrick O?Brien) 신부(1974~1976)
차 가롤로(Charles Carolan) 신부(1976~1980) 도 미카엘(Michael Dodd) 신부(1980~1984)
서 로벨토(Robert Sweeney) 신부(1984~1988) 신오복 안토니오(Patrick O?Brien)
신부(1988~1992) 오수성 미카엘(Michael O?Grady) 신부(1992~1998) 오기백 다니엘(Daniel
O?Keeffe) 신부(1998~현재)
4) 연 혁 1912. 아일랜드 교구 신부 에드워드 갈빈 신부가 4년 간 중국에서
선교활동 후 귀국 1916.14. 갈빈 신부와 블로윅 신부 더블린에서 만나 골롬반회 창설 뜻을 같이함 1916.10. 아일랜드
주교회의 추계 정기총회에서 즉시 신학교 설립과 선교회 설립 추진 허가 1918.16.29. 교황청으로부터 정식 인가 1918. 미국
오마하에 미국에서 첫 지부 설립 1920.13. 29. 첫 선교사제 16명이 중국 선교 시작 1927. 중국 한양 교구 설립과 갈빈
신부 주교 착좌 1929. 중국 이외에 필리핀 선교 시작(현재 17개국 700여 명의 사제들이 선교 활동 중) 1933.16.
교황청 포교성성으로부터 전남에서 일할 것을 정식으로 제의받음 1933.10.29. 최초로 10명의 회원이 내한(임 오웬, 나 토마스, 손
파트리치오, 모 파트리치오, 현 헤롤드, 서 예로니모, 매 제랄드, 지 브라이언, 간 토마스, 명 다니엘) 1933.11. 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에서 손님
신분으로 6개월 간 한국어 공부 1934. 전남 목포, 노안, 순천, 광주와 제주도에서 활동 시작 1935.14. 전남 나주 성당
설립(현재까지 32개 성당 개척) 1937.12.18. 명 다니엘 신부 지병으로 한국에서 선종 1937.14.13. 임 오웬 몬시뇰
초대 광주지목구장으로 피임 1938. 교황청 포교성성으로부터 춘천지방 선교를 허락받음 1938.11. 2명의 회원(토마스 퀸란, 임
오웬) 춘천교구에 파견 1939. 4. 25. 임 오웬 몬시뇰 초대 춘천지목구장으로 피임 1939. 8명의 회원이 춘천, 원주,
홍천, 이천(강원도), 평강 등지에서 활동시작 1940. 구 토마스 몬시뇰 춘천지목구장 임명 1941.19.18. 일본은 의해 목포
지역에서 활동하던 회원들을 적성국인이라 하여 체포, 목포형무소에 구금시킴 1941.12. 제주도에서 사목하던 3명의 신부 간첩 혐의로 일본
경찰에 체포됨 1942.10. 위의 신부들 재판 후 형 확정 손 파트리치오 신부`-`3년, 서 아우구스티노 신부`-`2년, 나 토마스
신부`-`1년 후 병보석 1942.12.17. 일본의 태평양 전쟁 발발 1942.12.18. 한국 지부 회원 전원이 적성국인이라는
이유로 체포, 구금 1943.13.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뉴질랜드 출신 7명의 회원 강제 본국 송환, 아일랜드 신부들은
가택연금됨 1945.18.16. 길 헨리 신부 가택연금 상태에서 이질로 사망 1945. 구 토마스 신부 춘천지목구장으로 임명되었고
이후에 대목구장, 교구장 역임 1947. 안 파트리치오 신부 아시아 지부장에 피임. 상해에 거주함 1948. 강원도 묵호 성당
세움(현재까지 춘천교구에서 22개 성당 개척) 1949. 성 골롬반 한국 지부 결성. 초대 지부장 지 벨라도 신부 1949. 안
파트리치오 몬시뇰 광주지목구장 피임 1950.16.27. 고 안토니오 신부 공산군에 의해 총살. 이후 총 7명의 회원이 한국전쟁 중
사망함 1950.17. 춘천교구 손 파트리치오 신부, 구 토마스 교구장, 홍천의 조선희 필립 보 신부 체포됨 1950.17. 묵호 나 파트리치오 신부, 삼척의 진 야고보 신부 대전 부근에서 공산군한테 피살
1950.18. 목포에서 광주교구장 안 파트리치오 몬시뇰, 오 브라이언 신부 피납 후 피살 1950.
안 파트리치오 몬시뇰 사망으로 현 하롤드 신부 광주지목구장 직무대행(1954년까지) 1953.15. 구 토마스 신부와 조선희 필립보 신부
죽음의 행진에서 벗어나 본국 귀국 1953.15. 목포 산정동 주임 원 요한 신부 레지오 마리애를 한국에 처음으로 소개하고
전파 1954.14.23. 구 토마스 몬시뇰 주한 교황사절 서리로 임명(입국은 1955년) 1954. 임피제 신부 제주에서
신용협동조합 설립과 4H 운동을 시작으로 농촌사목 전개 1954.12.13. 현 하롤드 몬시뇰이 광주대목구장 피임 1955. 현
하롤드 몬시뇰이 골롬반수녀회 한국으로 초청 1955.11.23. 구 토마스 몬시뇰 춘천대목구의 첫 주교로 성성 1955. 서울 돈암동
성당 설립(현재까지 서울대교구에 25개 성당 개척) 1957.15.11. 현 하롤드 몬시뇰 광주대목구 교구장으로 피임과 주교
성성 1959. 임피제 신부 제주도 이시돌 목장 부지 매입과 연수원 설립 후 농축산
기술교육 실시 1961.11. 구 토마스 주교 한국 정부로부터 대한민국 문화훈장 받음 1962.13.10. 현 하롤드 대주교
광주대교구장에 피임 1963.13.28. 한국에 첫 파견된 10명의 회원 중 임 오웬 몬시뇰 처음으로 아일랜드 달간에서
선종 1963. 임피제 신부, 제주에 비영리 법인 "이시돌농촌산업개발협회" 세움, 사료공장, 육고기·유가공 공장, 치즈공장
운영 1965. 원주교구가 춘천교구에서 분리 독립. 성내리 성당 세움(현재까지 원주교구에서 12개 성당 개척) 1966.15.11.
구 토마스 주교에 이어 박 토마 신부 춘천교구장 임명과 주교서품 1967. 임피제 신부 5.16 민족상 수상. 1968. 2대 지부장
지 베드로 신부 취임(부지부장 명 프란치스코 신부) 1968. 오록 신부 한국문학 번역과 문화 교류 활동 시작 1970. 양 노엘
신부 서울 을지로 6가에 서울 북부지역 J.O.C. 활동을 위한 거처 마련 1970. 인천교구 진출(심곡 3동 성당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11개 성당 개척) 1971. 현 하롤드 대주교 광주대교구장 사임, 제주지목구장 부임(현재까지 제주교구에서 8개 성당
개척) 1972. 수원교구 진출(단대동 성당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수원교구에서 5개 성당 개척) 1972. 임피제 신부 "대한민국 석탑
산업훈장" 수여받음 1972. 서 요셉 신부 한국에서 처음으로 서울 명동 성모병원에서 임상사목 교육 실시 1973. 안동교구(울진
성당)와 부산교구(6개 성당 개척)로 진출 1973. 임피제 신부 "명예 제주 도민증" 수여. 1974. 3대 지부장 신 안토니오
신부 취임(부지부장 차 가롤로 신부) 1974. 원주교구 지학순 주교 투옥으로 인한 석방 촉구 활동에 참여 1975. 임피제 신부
막사이사이상 수상. 1976.11. 신오복 안토니오 지부장 신부, 본회 총장으로 피임 1976.11. 차 가롤로 신부 4대 지부장
취임(부지부장 노 노엘신부) 1976. 총회 문헌에 한국 지부의 제안으로 ?정의평화위원회? 채택 1979. 안동교구에서
철수 1980. 원요한 신부 광주대교구 총대리 임명됨 1980. 도 미카엘 신부 5대 지부장 취임(부지부장 노 노엘
신부) 1980. 부천에서 오기백 다니엘 신부가 노동사목 시작 1981.10. 천 노엘 신부가 정신지체인들을 위해 광주 주월동에
"엠마우스 집" 전세로 마련 1981. 기 노엘, 이 크리시 신부가 서울 신림 10동에 "사랑의 집"을 마련, 도시빈민사목
시작 1983. 원주교구에서 철수 1983.13. 안성도 신부가 "알콜 상습 예방 및 교육의 집"을 서울에 한국에서 처음으로
개원 1984. 서 로벨토 신부 6대 지부장 취임(부지부장 민 케빈 신부) 1984. 한국인 신학생 양성 사업과 평신도 선교사 사업
결정 1984.16.13. 한국에서 처음으로 단도박 프로그램 경기도 부천에서 백 바오로 신부가 시작 1984. 원하림 신부가 서울
왕십리에서 교회의 한국 토착화 연구 시작 1985. 천 노엘 신부 광주 운암동에 "엠마우스 복지관" 건립 1986. 한국인 첫 신학생
3명 입회 1987. 서울 돈암동에 "골롬반 신학원" 개원 1987. 부산교구에서 철수 1988.14.11. 지부장 신오복
안토니오 신부 취임(부지부장 오수성 미카엘 신부) 1989. 서 로벨토 신부 충남 당진에 유기농법을 통한 농촌사목 실시 1990.
매리암 신부, 서울대교구 가정사목부 사목상담 연구원 개원 1990.16.20. 첫
평신도 선교사 6명, 필리핀 파견. 1990.10.28. 제주 이시돌목장 내 "삼뫼소 은총의 동산"과 "이시돌 회관"을 건립하여 피정과
교육 실시 1990.11. 천 노엘 신부 광주 명예시민권 수여 1991.16.30. 홍보잡지 「변방 선교」 출간 1992.
오수성 미카엘 신부 7대 지부장 취임(부지부장 이어돈 미카엘 신부) 1992.15.13. 4명의 평신도 선교사 필리핀 파견 1993.
매리암 신부 서울대교구 가정생활연구소 설립 운영 1993. 주 예레미야 신부, 수도자와
성직자를 위한 "신앙 생활 연구소" 개원 1993.10.10. 한국 선교 60주년 기념식 개최 1993.11.23. 첫 한국인 사제
김종근 도미니코 서품과 칠레 파견 1993.11.26. 처음으로 한국에 파견된 10명의 사제 중 마지막으로 제랄드 매리난 신부 본국에서
선종 1994.12.17. 5명의 한국인 평신도 선교사 대만과 피지로 파견 1994.15. 5명의 아일랜드 평신도 선교사
입국 1994.16. 경기도 이천군 설성면 암산리에 농촌사목을 위한 공동체 운영 1994.19.13. 임피제 신부 가나안 농군학교
제정 일가상 수상 1994.10.30. 박 토마스 주교 아일랜드 달간에서 선종 1994.11.13. 한국인 평신도 선교사 임연신
엘리사벳 급성간염으로 피지에서 선종 1995.12.19. 4명의 평신도 선교사 필리핀 파견 1995.13.30. 이종승 빈첸시오 사제
서품과 일본 파견 1995.14. 오수성 미카엘 신부 지부장 재선임(부지부장 안광훈 로벨토 신부) 1995.15.22. 광주 골롬반
새 사제관 축성 1996.11. 첫 지원사제(서울대교구 박은종, 노연호) 칠레 파견 1996.16. 조선희 필립보 신부 강원도
인제군 남면에 개인 피정을 위한 ?겟세마니 기도의 집? 개원 1996.12.13. 임피제 신부 KBS 서울시 제1회 지역봉사자 대상
수상 1997.13.12. 지원 사제(서울대교구 이효언, 조해붕 신부) 필리핀 파견 1997.11.18. 한국인 평신도 선교사 5명
대만과 필리핀 파견 1998.12. 지원사제(서울대교구 오세만 신부) 칠레로 파견 1998.14.11. 오기백 다니엘 신부 8대
지부장 취임(부지부장 인향성 가롤로 신부) 1998.19.20. 제주교구 황사평 순교자 묘역에 외국인 선교사제 공덕비
제막 1998.12. 지원 사제(서울대교구 오세만) 칠레 파견 1998.14. 4명의 필리핀 여자 선교사 한국으로 파견되어
옴 1999.11.15. 매리암 신부 "명예 서울시민증" 수여 1999. 한국
주교회의에서 본회 8명의 순교 회원을 "현대 순교자 명단"에 포함시킴 1999.12. 5명의 한국인 평신도 선교사 일본으로 파견
1999.12. 한국 가톨릭 해외 선교사 교육협의회(교육 담당 안광훈 로벨토 신부) 주최로 한국에서 처음으로 1개월에 걸쳐 "해외 선교사
교육 프로그램" 실시 1999.14. 이어돈 미카엘 신부 "젊은이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 피정" 실시 1999.16. 지원
사제(서울대교구 강문석, 송영호 신부) 칠레 파견 1999.18.15. 손 파트리치오 신부, 서 아우구스티노 신부와 나 토마스 신부가
건국훈장 ?애국장?에 추서됨
2. 설립 이념 1) 성 골롬반 외방 선교회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한 그리스도인의 해방과
전인류 화해의 기쁜 소식을 선포하고 증거하기 위하여 교회에 의해 여러 민족들에게 파견되어 오로지 외방 선교 활동을 하는 단체이다. 2)
국가와 언어와 문화의 경계를 넘어 본회가 지니는 뚜렷한 목적은 아래와 같다. - 복음이 전파되지 않은 지역 사람들 가운데 교회를
세운다. - 그 지역 사람들과 다른 지역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파할 수 있을 때까지 그 지역 교회의 성장을 도와준다. - 타종교와
그리스도교 간의 대화를 증진시킨다. - 지역 교회 간의 교류를 촉진시키며, 특히 우리를 파견한 교회와 우리가 파견된 교회 간의 교류를 도와
준다. - 지역 교회들도 외방 선교에 책임이 있음을 깨닫도록 도와 준다. 3) 우리는 하느님 나라가 모든 민족들의 생활과 문화에
스며들어 가도록 노력하고, 가난한 이들과 결속을 통하여 증거와 봉사, 대화를 통해 만민을 구원하는 메시지를 선포한다.
3. 임원과
회원 현황 1) 임 원 지 부 장:오기백 다니엘 신부 부지부장:인향성 가롤로 신부 총 무:민 디오니시오 신부 2)
회원 현황 종신 서원자(신부):41명
4. 활동 사항 1) 선교 활동:성당 사목, 젊은이들을 위한 선교 활동 2)
병원 사목:서울대학병원, 강동성심병원, 광주 요한병원, 한양대학병원 3) 사회 사목 도시 빈민 사업(서울대교구 도봉동) 농촌
사목(제주교구 이시돌 재단 운영, 유기농 발전 사업) 사회 사업(광주대교구 엠마우스 복지관 운영) 노동 사목 4) 교육
사업:신학원 운영과 가톨릭대학교, 경희대학교 파견 5) 연구소:영성생활 연구소, 가정생활연구소 6) 홍보 사업:?변방? 잡지 발간,
선교 사업 홍보 7) 평신도 선교 사업:필리핀, 일본, 대만 8) 지원 사제 육성과 파견:필리핀, 칠레
옮 긴글 포항 효자성당 시복시성 위원회 이태웅바오로 옮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