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황(歌皇) 나훈아 신드롬(Syndrome) ●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음악(music)이 육체와 영혼을 치료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미주(美洲) 대륙의 원주민들은 수 세기 동안 치료 의식에 노래를 포함시키기도 했다. 음악치료(music therapy)가 현대적으로 구체화된 것은 2차 세계대전 이후로, 전쟁의 충격으로 고통스러워하는 군인들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시작됐다.
음악치료(音樂治療)는 현대의학이 다루는 신체 생리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직접 닿을 수 없는 다양한 영역에 이르기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우리 일상생활과 친숙한 예술 장르인 음악이라는 점에서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다. 스위스의 정신과 의사 칼 융(Carl Jung, 1875-1961)은 “치유(治癒)란 인간을 창의적으로 만들며, 자신의 존재를 실험하도록 동기를 유발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한국의 트로트(trot)는 ‘뽕짝’이란 별칭으로 불리기도 하며, 미국과 영국 등의 폭스트로트(fox-trot)에 바탕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에 트로트풍(風)의 음악이 도입된 것은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 말부터이다. 이보다 앞서 일본에서는 일본 고유의 민속음악에 서양의 폭스트로트를 접목한 엔카(演歌)가 유행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트로트는 1960년대부터 다시 발전하기 시작한 뒤, 1970년대에 이르러 폭스트로트의 4분의 4박자를 기본으로 하되, 강약의 박자를 넣고 독특한 ‘꺾기 창법’을 구사하는 독자적인 가요 형식으로 완성되었다.
트로트를 논문 주제로 미국 텍사스주립대에서 음악인류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한국교원대학교 손민정 교수(음악교육과)는 트로트는 한국 어디에나 있는 ‘유비쿼터스 뮤직(ubiquitous music)’이라고 말한다. 손 교수는 트로트 스타 계보를 1950년대 이난영 남인수, 60년대 이미자 배호, 70년대 남진 나훈아, 80년대 주현미, 90년대 송대관 태진아 설운도 현철, 2000년대 장윤정 박현빈, 그리고 트로트 르네상스에 불을 지핀 송가인(미스트롯) 임영웅(미스터트롯)으로 정리한다.
가수 나훈아(羅勳兒: 본명 崔弘基)는 1947년 2월 11일 부산에서 태어나서 부산 대동중학교 졸업 후 서울 서라벌예술고등학교에 진학했다. 1968년 노래 “내 사랑”으로 데뷔하여 800곡 이상의 자작곡(自作曲)을 포함해서 2600곡 정도의 취입곡이 있다. 이처럼 나훈아는 트로트의 황제, 가황(歌皇)이라는 별명이 잘 어울리는 가수다.
나훈아의 특징은 묵직하고 중후함이 느껴지는 저음과 특유의 절묘한 고음, 그리고 이를 활용하면서 나오는 트레이드마크인 ‘꺾기’로 대표되는 나훈아 특유의 창법은 가요계에 엄청난 충격을 가져왔다. 대부분의 히트곡은 본인이 작사하고 작곡한 곡이다. 나훈아는 가창력과 더불어 카리스마를 바탕으로 하는 무대 장악력과 무대 연출능력이 뛰어나다. 그는 간헐적인 콘서트(나훈아 빅콘서트)외에는 방송출연 등의 연예 활동을 하지 않은 채 칩거(蟄居)생활을 반복했다.
가수 나훈아(73)가 장기간 계속된 코로나19(COVID-19) 사태로 인하여 몸과 마음이 지친 국민들을 위로하기 위하여 지난 추석 특집 ‘2020 대한민국 어게인 나훈아’ 대형 공연을 2시간 40분 동안 KBS-2TV를 통해 전국에 방송했다. 나훈아가 29곡을 부른 콘서트의 출연료를 받지 않고, 대신 원하는 모든 연출과 소신 발언을 하는 것으로 정성을 쏟았다고 한다. TV 시청자들의 긴장감을 유지하기 위해 옷 19벌을 무대위에서 갈아입고 공연했다. KBS 방송에 대한 멘트는 정말 국민들을 위한 방송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나훈아가 작사ㆍ작곡한 ‘테스형’은 지난 8월 20일에 발표한 나훈아의 ‘아홉 이야기’(내게 애인이 생겼어요, 명자!, 테스형!, 딱 한번 인생, 웬수, 감사, 어느 60대 노부부 이야기, 모란동백, 엄니)에 들어있는 노래다. 이들 신곡 중에서 최고는 ‘테스형’이다. 어지러운 이 시대에 ‘소크라테스’를 소환하는 그의 안목이 놀랍다. 그는 진정한 문화 창조자이다. 테스형의 가사(歌詞)는 다음과 같다.
“어쩌다가 한바탕 턱 빠지게 웃는다 / 그리고는 아픔을 그 웃음에 묻는다 / 그저 와준 오늘이 고맙기는 하여도 / 죽어도 오고 마는 또 내일이 두렵다 / 아! 테스형 세상이 왜 이래 왜 이렇게 힘들어 / 아! 태스형 소크라테스형 사랑은 또 왜 이래 / 너 자신을 알라며 툭 내뱉고 간 말을 / 내가 어찌 알겠소 모르겠소 테스형
울 아버지 산소에 제비꽃이 피었다 / 들국화도 수줍어 샛노랗게 웃는다 / 그저 피는 꽃들이 예쁘기는 하여도 / 자주 오지 못하는 날 꾸짖는 것만 같다 / 아! 테스형 아프다 세상이 눈물 많은 나에게 / 아! 테스형 소크라테스형 세월은 또 왜 저래 / 먼저 가본 저세상 어떤 가요 테스형 / 가보니까 천국은 있던 가요 테스형
아! 테스형 아! 테스형 아! 테스형 아! 테스형
아! 테스형 아! 테스형 아! 테스형 아! 테스형”
나훈아는 철학자 소크라테스를 형(兄)이라고 부르며, “세상이 왜 이래, 왜 이렇게 힘들어”라고 외쳐 국민들의 공감을 얻었다. 최근에는 ‘사투리 버전’이 유행하고 있다. 경상도 버전은 “테스 행님아, 세상이 와 이카노, 와 이리코롬 빡시노”라고, 전라도 버전은 “테스 성, 시상이 왜 근당가, 왜 이라고 뻗치당가”라고 소리치고 있다. 유튜브에는 충청도 버전, 강원도 버전, 영어 버전 등도 있다.
‘테스형’의 인기비결은 가사(歌詞)가 탁월하고 창의적이며, 힘들고 지친 국민을 위로하는 공감능력이 있으며, 내용은 묵직하나 리듬은 밝고 경쾌하다. 그리고 나훈아의 뛰어난 가창력(歌唱力)과 탁월한 표현력이다. ‘테스형’이 2030세대의 열광적 인기를 모아 BTS와 경쟁하여 한 때 음원 차트 1위를 달리기도 했다.
9월 30일 KBS-2TV가 비대면(非對面)으로 방송한 나훈아 공연과 10월 3일의 재방송의 합계 시청률이 약 50%를 기록해 당시 어딜 가나 화제는 나훈아(Na Hoon-A)였다. 나훈아는 세계 곳곳에서 자신을 지켜보는 관객들을 15년 만에 반갑게 맞이하여 콘서트를 진행했으며, 세계 여러 나라에서 나훈아의 노래에 맞춰 춤을 추면서 감상했다. 방송 후 “역시 나훈아”라는 말이 사람들 입에서 절로 나왔다.
가수 겸 작사ㆍ작곡가인 싱어송라이터(singer-songwriter)인 그는 음유시인(吟遊詩人), 철학자(哲學者)의 면모를 보여 주어 “대통령으로 추천한다”는 말까지 나왔다. 나훈아는 나라를 위한 국민들의 힘이 있으면 위정자(爲政者)들이 생길 수가 없다고 권력을 비판했다. 역사적으로 위정자가 독선적으로 다스리고, 국론이 분열될 때 나라는 위기에 처했다. 이에 나와는 다른 의견이라도 이성적 판단으로 국가의 힘을 모야야 한다. 나훈아가 ‘테스형’이라 부른 소크라테스는 권력에 대한 아부를 경멸했다.
우리나라 트로트 역사에 성인(聖人) 소크라테스가 등장한 것은 처음이며, 트로트의 품격이 완전히 달라졌다. 소크라테스(Socrates)는 예수, 석가모니, 공자 등과 함께 세계 4대 성인(聖人)으로 꼽힌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BC 470년 - BC 399년)는 수도 아테네(Athens)에 살면서 많은 제자들을 교육시켰는데, 플라톤도 그 중의 한 명이다. 소크라테스는 플라톤(Plato),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와 함께 고대 그리스 철학의 전성기를 이룩한 인물이다.
고대 그리스 철학이 소크라테스 이전과 이후로 나뉠 정도로 철학사(哲學史)에서 그의 철학사상이 갖는 의미는 남다르다. 그러나 직접 남긴 저작이 없기에 그의 사상을 명확히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제자들이 남긴 기록과 그 안에 담긴 소크라테스의 언행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유추(類推)할 수 있다. 그 가운데 문답법(問答法)이라는 독특한 교육방식과 재판과정은 소크라테스의 철학사상을 이해하는 중요한 실마리이다.
“너 자신을 알라! (Gnothi seauton)”는 고대 희랍의 델피(아폴로)신전 입구 현판에 새겨진 경구(驚句)로서 애초에 ‘인간아! 깨달아라, 너는 신(神)이 아님을’ 혹은 ‘너는 기껏 사멸할 인간임을 명심하라!’는 뜻이었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인간을 각성시키는 자성의 목소리가 아니라, 오히려 ‘신과 대면하여 그를 알아볼 수 있는 인간의 놀라운 능력’을 회복하라는 고무적인 목소리로 반전(反轉)시켰다. 나훈아는 “여러분, 세월에 끌려 다니지 말고 세월의 모가지를 비틀어 끌고 갑시다.”는 명언을 KBS 공연에서 남겼다.
소크라테스는 종래의 그리스의 유물론적인 자연철학에 대립하여 ‘너 자신을 알라’라는 말을 기초로 하여 영혼에 대해 깊게 생각하면서 삶의 온당한 방법을 아는 것을 지식의 목적이라 하고 이로서 도덕적 행위를 고양시키는 것을 지향하였다. 즉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실천지(實踐知)를 중시하였다. ‘너 자신을 알라’는 고대 격언은 소크라테스를 통해 더욱 유명해졌다.
소크라테스는 40세에서 70세에 이르기까지 약 30년 동안 아테네 시민의 정신혁명을 위하여 그의 생애를 바쳤다. 부패 타락한 아테네 사람들의 양심과 생활을 바로잡기 위하여, 교만과 허영 속에서 방황하는 청년들의 인격을 각성시키기 위하여 그는 시민들과 대화하고 가르치고 질책하고 호소하고 계도하였다. 소크라테스의 사상은 윤리적인 측면이 강하였으며, 아테네의 민주주의 정부에 대한 위협으로 비춰졌다.
소크라테스는 말년에 정치적 문제에 휩쓸렸으며, 민주주의 정권은 소크라테스를 귀족주의의 본보기로 처형하고자 했다. 결국 소크라테스는 신성모독과 청년들을 현혹한다는 죄목으로 아테네 시민 500명으로 구성된 법정에서 사형선고를 받고 기원전 399년 봄, 70세의 노철인(老哲人)은 아테네 감옥에서 독약을 마시고 죽음을 의연하게 맞이했다. 그는 독배를 마시기 전에 제자 플라톤에게 “사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 바로 사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소크라테스에 의하면 ‘바로 사는 것’이란 진실하게 사는 것이요, 아름답게 사는 것이며, 보람 있게 사는 것이다. ‘바로’라는 말이 제일 중요하다. 말도 바로 하고, 생각도 바로 하고, 행동도 바로 하고 생활도 바로 해야 한다. 정치도 바로 하고, 경제도 바로 하고, 교육도 바로 하고 모든 것을 바로 해야 한다. 잘사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아니며, 바로 사는 것이 중요하다. 바로 살아야 잘살 수 있다.
소크라테스는 자기에게 사형선고를 내린 아테네의 500명의 배심원들에게 “자, 떠날 때는 왔다. 우리는 길을 가는 것이다. 나는 죽으러 가고 여러분은 살러 간다. 누가 더 행복할 것이냐는 오직 신(神)만이 안다. 소크라테스를 처형한 아테네는 역사의 심판과 징벌을 받아 기원전 338년 마케도니아에게 패망했다. 역사는 반드시 준엄하게 심판하므로 우리는 역사의 진리를 잊지 말아야 한다.
필자는 취침 전에 유튜브(YouTube)를 통해 음악을 몇 곡 감상하는데 요즘 나훈아의 신곡 ‘테스형’을 즐겨 듣고 있다. ‘테스형’ 가사(歌詞)에는 철학이 담겨 있고, 노랫말을 쓰고 노래하는 사람은 영혼이 자유로워야 하기에 정치에 관심이 없고 정부에서 수여하는 훈장에도 관심이 없다는 가수 나훈아의 말을 높이 평가한다. 사람은 100년도 못 사는 존재이므로 소박한 삶이 진정한 부자(富者)로 사는 길이다.
필자는 테스형 가사에서 “그저 와준 오늘이 고맙기는 하여도 / 죽어도 오고 마는 또 내일이 두렵다”는 노랫말에 주목한다. 우리는 ‘내일’을 희망을 가지고 맞이해야 하는데, 내일이 오는 것을 두려워하는 현실이 안타깝다. 특히 젊은이들은 일자리가 없고, 진로가 불투명한 현실에서 내일에 희망을 걸지 못하고 있다. 이에 필자는 현재 아동(0-18세), 청소년(9-24세) 그리고 청년관련 정책을 집행하는 관련부처 업무를 정부조직을 개편하여 (가칭)‘미래세대육성부’를 신설하여 출생부터 30세 자립할 때 까지 일관성 있는 정책을 추진하여 미래세대에게 희망을 안겨 주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靑松 朴明潤(서울대학교 保健學博士會 고문, 대한보건협회 자문위원, The AsiaNㆍ시사주간 논설위원, The Jesus Times 논설고문) <청송건강칼럼(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