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혈관확장증(毛細血管擴張症, telangiectasia)이란?
모세혈관확장증은 1mm 미만의 가느다란 실핏줄을 말하는 것으로 진피에 존재하는 혈관이 생리적인 변화에 의해서 확장되는 것이 아니라
병적인 원인에 의해 확장되거나, 한번 늘어난 혈관이 다시 수축하지 않고 확장된 상태로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모세혈관확장증은 특별한 증상이 있다기보다도, 눈으로 보이는 혈관이 주된 증상으로 미용상의 목적 이외에 병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특별한 원인이 있다기보다도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으며,
1) 본태성 모세혈관확장증과 같이, 다른 원인 질환과 관련 없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며, 가족력이 있거나, 선천적인 원인에 의해서 발생. 2) 홍반성 낭창, 간질환에 의한 거미혈관종과 같이 전신질환의 한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3) 주사(딸기코)나 안면홍조와 같이 전신질환이 아닌 피부질환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4) 지루성 피부염이나 접촉성 피부염 치료제로 쓰이는 스테로이드 제제를 남용할 경우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알코올 섭취나 피부 노화, 햇빛 노출 등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습니다.
|
위 내용은 과거 저희 블로그 포스팅에서 모세혈관확장증을 다루면서 언급한 내용입니다.
당시엔 나름 정리해 본다 한거였지만, 시간이 지나고 보니 – 쉽게 피부에 와닿지 않은 점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 마르고 피부가 하얀 여성분들의 고민거리 – 모세혈관확장증 ] 에 대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설명하려고 합니다.
모세혈관확장증 하면 가장 먼저 연상되는 것이 무엇일까요?
아마도 일상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안면홍조”가 가장 먼저 떠올려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면홍조의 대부분이 피부과 진료영역이기에 오늘 제목에 굳이 “하지정맥류병원 관점”이라는 단어를 넣은 것입니다.
제목을 보고 “하지정맥류병원” 관점에서의.... 라는 전제에 “이게 뭐지?” 하고 생각하셨다면, 오늘 말하고자 하는 것이
얼굴에 나타난 모세혈관확장증이 아닌 [ 다리에 나타난 모세혈관확장증 ] 만을 이야기 한다는 점을 미리 알아주시길 바랍니다.
모세혈관확장증(毛細血管擴張症, telangiectasia)
표피가 얇아지거나 혈관이 두꺼워져서 피부가 붉어지는 증상
모세혈관의 평균 직경은 8.0 μm 으로,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mm 단위보다도 더 작습니다.
1 μm(마이크로미터) = 1/10,000 cm
이렇게 작은 혈관이다 보니, 대부분은 피부에 가려져 평소에 보이지 않게 됩니다.
특히 비만 체형이신 분들은 더더욱 보일 일이 없습니다.
반대로 유난히 잘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 피부가 지나치게 얇고 하얀 사람 & 가족력 및 선천적 원인
✔ 임신 혹은 홍반루푸스(만성 염증성 자가면역질환) 등으로 인한 신체 상태 변화
✔ 국소 스테로이드 제제(연고 등)의 장기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 지나친 피부 압박 및 흡연, 피부 노화, 햇빛 노출 등
이러한 조건이 작용한 경우라면 혈관 자체의 확장 혹은 피부가 얇아지면서 “모세혈관확장증” 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모세혈관확장증, 하지정맥류 초기증상일까?
하지정맥류전문병원의 측면에서 본다면 모세혈관확장증도 하지정맥류의 다양한 형태 중 하나라 이야기 드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혈관의 형태를 보이는 경우입니다.
간혹 너무 가느다란 혈관들이다 보니 혈관 형태로 보이는 것이 아닌, 피부가 전반적으로 붉게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하지정맥류초기증상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모세혈관확장증의 대부분이 “눈으로 보이는 증상이 주된 증상” 으로, 이는 곧 “미용상 보기 싫은 정도” 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적 소견으로는 모세혈관확장증 + 순환부전 결합한 “거미양정맥류” 직전 단계의 모세혈관확장증만을 하지정맥류초기증상으로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미용상의 문제라는데, 다리는 왜 아플까??
인터넷 게시판 중에 “하지정맥류” 연관된 질문들을 보면, 하지정맥류가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도 불구하고
본인 스스로 판단하기에 “하지정맥류 환자”라고 단정 짓는 분들이 계십니다.
예전부터 하지정맥류가 있었는데요.... 라는 이야기와 함께
✔ 다리에 힘이 없어요
✔ 허벅지, 종아리, 발목에서 시리고 뻐근한 느낌
✔ 발가락이 저려요 혹은 마비돼요
✔ 다리(특히 종아리)가 떨려요
등등 다양한 증상을 호소합니다.
개중에는 사진을 첨부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만, 어떠한 근거도 없이 무조건
어떻게 치료해야 하나? 약 먹으면 될까? 수술해야 하나?
등등 여러 고민의 흔적을 볼 수 있습니다.
설령 발목 이하 부위 혹은 발아치 주변에서 관찰되는 실핏줄(모세혈관확장증)이 있다 하더라도
- 하지정맥류에 대한 가족력이 전혀 없고
- 누가 보더라도 단번에 하지정맥류를 의심할 수 있을 정도의 혈관 돌출이 없었던 상태
였다면, 단순 피로에 의한 증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맥은 동맥과 달리 자체 압력이 없기에 스스로 흐르지 못하며, 흐르지 못하고 고인 혈액들이 많아지면 자체적으로 팽창하면서 여분의 혈액을 축적하는 “혈액 저장고” 역할을 합니다.
또한 가만히 서있거나 앉아만 있게 된다면 동맥에 있어서 심장과 같은 역할을 하는 “장딴지 근육의 수축,이완운동” 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정맥은 순환하지 못하고 정체되는 혈액의 양이 늘어나는데, 이때 “정맥의 저장능”도 증가하게 됩니다.
정맥에 저장된 혈액의 양이 많아질수록 유효 순환 혈액량(심장으로 돌아가는 혈액량 및 심장에서 나오는 혈액량)이 감소하고 정맥의 저장능이 증가하면서 혈관이 확장되는데,
이때 확장된 혈관이 주변의 근육 및 신경 등의 조직을 압박하기에 부종 및 저림, 당김, 경련, 중압감, 피로감 등의 여러 증상과 함께
유효 순환 혈약량의 감소에 따라 동맥 순환에도 문제가 발생하다 보니 시림 증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모세혈관확장증 어떻게 관리하고 치료는 어떻게 하나?
일단, 눈으로 보이는 증상의 완화 및 예방을 위해서는
혈관의 확장을 억제하고 피부를 튼튼하게 만드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다리를 꼬고 앉거나 쪼그려 앉는 자세 – 즉, 관절이 꺾이는 자세는 “혈관 압박의 주범” 이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행동을 삼가고 가급적이면 바르게 앉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피부가 얇아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보습과 운동이 필요합니다.
또한 특정 질병으로 인해 스테로이드제(연고) 등을 사용해야 한다면, 반드시 전문의 처방 하에 용법을 충분히 준수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정도를 넘어선 수준이라면, 당연히 병원 치료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인 모세혈관확장증이라면 [ 혈관경화요법 혹은 피부 레이저요법 ]을 시행하게 됩니다.
30G 의 작은 주삿바늘을 이용해 혈관 안으로 “특수약물(혈관경화제)”를 주입하여, 혈관을 딱딱하게 굳힌 다음 체내로 흡수시키는 것을 혈관경화요법이라 합니다.
■ 혈관경화요법 제대로 알기 ■ https://blog.naver.com/vein_poison/221485235324
모세혈관확장증의 평균 혈관 직경 0.1~1mm
그리고 피부 레이저요법은 너무 가는 혈관이라서 30G의 주삿바늘조차도 사용이 어려운 경우에 시행하는 것으로 안면홍조급의 상태에서 시행한다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다만, 다리의 경우 얼굴과 달리 좀 더 굵은 혈관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다리에 나타난 모세혈관확장증은 피부 레이저요법보다도 혈관경화요법을 주로 이용하게 됩니다.
저희 포이즌흉부외과에서 20여 년이란 오랜 시간동안의 진료와 상담에 느낀 “모세혈관확장증” 은
건강상에 큰 이상은 없으나, 보기 싫은 혈관들로 인해 마음이 상처받는 질환
그렇다고 가벼이 여기고 방치했다간 낭패를 볼 수 있는 질환으로 미용과 질병의 중간 단계
정도로 설명이 가능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평소와 다른 패턴으로 글을 풀어나간 이유는
실핏줄로 인해 몹쓸 병에 걸린 것은 아닐까 하며 힘들어하고 고통받는 분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아주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곤 모세혈관확장증 때문에 다리가 아프거나 심한 통증이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굳이 꼽자면 혈관이 비춰 보이는 주변으로 나타나는 “약간의 따끔거림” 정도의 증상이 전부입니다.
그리고 아주 특별한 경우는 눈으로 혹은 자각증상을 통해 확인할 수 없습니다.
의심되는 증상이 있을 땐 병원을 방문하여, 그것이 병적인 문제인지 아니면 단순 증상인지 확인을 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혼자서 생각하고 판단하여 잘못된 행동을 한다면, 자칫 더 큰 문제로 발전할 수도 있습니다.
진단은 의사에게 약은 약사에게...... 이행은 환자의 힘으로 !!
혼자서 진단하고 처방하는 분들에게 이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진단이 정확해야 처방도 정확해지고, 이것이 선행되어야만 증상의 완화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https://veinclini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