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rth Korea first-hand: what it's like to visit the world's most secretive nation
This week the Pulitzer fiction prize went to Adam Johnson, whose novel was inspired by his time in North Korea. First-hand accounts of the 'hermit kingdom' are still rare – here are a few
The Guardian, Friday 19 April 2013 20.00 BST
Most of what we know of North Korea comes from the stories of defectors, whose accounts are nearly impossible to verify.
우리 서양인들이 북한에 대해 알고 있는 정보들의 대부분은
소위 탈북자들의 진술로부터 나온 정보들인데...그러나
그 진술내용들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For journalists, this inability to confirm even simple facts makes writing accounts of daily life in the DPRK a daunting task.
찌라시 기자들로서는 바로 그와 같은 무지 때문에
북한사회의 진짜 진실이 무엇인지를 전하는 것이 너무 힘겹다.
I believe this is where the imaginative reach of literary fiction can help: to the novelist, oral history, myth, legend and rumour are all useful in creating a human portrait, however elusive.
그래서 내 생각에는 오히려 소설로서 전달하는 것이 그나마
북한사회의 진짜 실상을 전하는 것이 아마 도움이 될 것이다.
The nation is a mystery-generating engine, and the more I study the place, the more questions I have.
북한이란 나라는 알고자 하면 할 수록 도리어 더 미스테리한 의문이 떠오르는 나라이다.
(각주: 왜냐면 자본주의적 서양식 사고방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How can we truly know anything about North Korea?
우리는 도대체 그런 북한을 어떻게 하면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까?
Who am I to speak for a people whose experiences are so different than my own?
자본주의적 서양에서 자란 나의 경험들과 너무 다른 경험들을 가진
북한사람들에 대해 얘기하고자 하는 나는 도대체 누구인가?
Is the portrait I've created accurate? I don't think we can know until North Koreans are free to tell their own stories.
나는 정말로 북한사회의 참모습을 제대로 묘사, 전달한 것일까?
북한사람들이 자신의 얘기들을 완전히 자유롭게 얘기할 수 있기 전에는
우리 서양인들이 북한사람들에 대해 제대로 안다고 말할 수 없다고
나는 생각한다.
And until that day comes, I believe the more voices that attempt to articulate such a difficult reality the better.
우리 서양인들이 북한사람들에 대한 진실을 알 때가 오기까지
우리 서양인들이 그것을 제대로 알기 위해 더 많은 시도들을 해보는 것은
북한사회의 실상에 대해 더 좋은 이해를 위한 첩경이라고 본다.
http://www.guardian.co.uk/world/2013/apr/19/north-korea-first-hand
첫댓글 맞습니다,한민족의 얼이 사라져가고 순수한 바탕 이념들이 거의 소멸 된거같아 안타깝습니다.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기위하여 역사를 알아야하지만 국사도 극히 선택과목으로 해버리고 마스게임, 폭댄스,넋을기리는 미풍양속 점점 희미해져가니 마음아프지요. 얼굴에 미소도 없어지고 물질만능의 스스로 덧을 씌워 자타의로 가두는 현재.나라꼴이 언론은 90프로이상 빠는일에만 열중하여가고 잘못된 과거& 현재의 정립이 여실히 필요할때입니다.
영어는 (그래도)어렵고 힘드네요.. 원서는 얇은데 한국어로 번역하면 2,3배 되고요...
지금은 적당히 공부하고 영어에 목매달지 않습니다. 외국어는 재능이 없는 사람은 힘들어요.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