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래는 만리장성아래 병사들이 샘을 찾아 전쟁에 사용하는
말에게 물을 먹인다는 뜻으로 병사들의 힘든 삶을 노래한 민가(民歌)이다.
昔有霍家奴 (석유곽가노) 예전에 곽씨 집안에 노비가 있었는데
姓馮名子都성풍명자도 (성은 풍씨에 이름은 자도이다)
依倚將軍勢의기장군세 (그는 권세에 기댄 악질 노비인데)
調笑酒家胡조소주가호 (술집의 호녀를 희롱했다)
胡姬年十五호희연십오 (그 호녀는 열다섯 살로)
春日獨當壚춘일독당로 (바로 봄날의 꽃과 같은 나이였다)
長裾連理帶장거연리대 (긴 옷자락에는 연리대가 그려져 있고)
廣袖合歡襦광수합환류 (소매가 넓은 짧은 저고리를 입었다)
頭上藍田玉두상남전옥 (머리에는 남전에서 나는 옥으로 장식하고)
耳後大秦珠이후대진주 (귀 양쪽에는 진나라 구슬을 달고 있다)
兩鬟何窈窕양환하총조 (두 갈래로 딴 머리가 얼마나 아름답던지)
一世良所無일세량소무 (세간에서는 그만한 사람을 보기가 힘들다)
一鬟五百萬일환오백만 (딴 머리 한쪽이 오백만이고)
兩鬟千萬余양환천만여 (두 갈래이니 천만은 되리라)
不意金吾子불의금오자 (뜻밖에 금오자가)
娉婷過我盧빙정과아로 (자태가 멋지게 우리 집에 왔다)
銀鞍何煜爚은안하욱약 (은색 안장이 얼마나 빛이 나던지)
翠盖空踟躕취개공치주 (비취색 덮개를 한 마차가 머뭇머뭇했다)
就我求淸酒취아구청주 (곧바로 내게 와서 술을 달라고 해서)
絲繩提玉壺사승제옥호 (명주실을 동여맨 옥잔에 주었다)
就我求珍珍肴취아구진효 (곧 내게 맛있는 술안주를 달라고 해서)
金盤膾鯉魚금반회리어 (금 쟁반에 잉어를 요리해서 주었다)
貽我靑銅鏡태아청동경 (내게 구리거울을 주면서)
結我紅羅裾결아홍라거 (나를 붉은색 비단 옷으로 맺었다)
不惜紅羅裂불석홍라렬 (애석하게도 붉은 비단은 갈라지고 말았는데)
何論輕賤軀하론경천구 (어찌 비천한 몸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男兒愛後婦남아애후부 (남자들은 언제나 새 사람을 좋아하지만)
女子重前夫여자중전부 (여인들은 늘 옛정을 중히 여긴다)
人生有新故인생유신고 (인생에는 새것과 옛것이 있지만)
貴賤不相逾귀천불상유 (귀천은 비교해서는 안 된다)
多謝金吾子다사금오자 (금오자에게 오히려 감사하노니)
私愛徒區區사애도구구 (내 짝사랑은 이렇게 지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