쌤 카페에 질문글 올리면
답변 받기까지 하세월이라 ㅜㅜ
혹시 도움받을 수 있을까 해서 올려봅니다.
1. 우리나라가 외환위기 이전까지 전통적 인사관리를 전개하다가 성과주의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양자를 비교할 때, 외환위기 이전엔 관료제적 분업을 하다가 이후에는 애드호크라시적 협업으로 전환된다고 했는데
2. 성과주의가 몰입형인사관리로 향하는 과정에서 양자를 비교할 때는 성과주의의 경우 P와 D가 철저히 분리되고 전문화가 강조되지만 몰입형 인사관리는 직무충실이 강조된다고 하더라고요.
성과주의가 애드호크라시적 조직구조를 특징으로 한다면 팀원들간 업무경계도 명확하지 않고 개개인들이 전문성 갖고 pds 알아서 하는 거잖아요? 근데 또 성과주의랑 고몰입팀 비교할 때는 성과주의가 전문화를 강조한다고 하니 무슨 말인지 이해가 잘 안됩니다 ㅠ
어떻게 정리하면 좋을까요?
카페 게시글
묻고 답하기(Q&A)
2차관련
[인사관리] 성과주의 질문
합!격!
추천 0
조회 255
25.03.21 08:25
댓글 2
다음검색
첫댓글 일단 전제에서 잘못된거 같습니다. 성과주의가 애드호크라시와 잘 어울릴 순 있어도 동일선상에 있지는 않아요. 일례로 다국적기업들은 성과주의와 네트워크조직구조(성과를 중시하면서 부서간 조직간 협업을 강조)를 가지고, 일본의 종신기업이나 삼성현대같은 대기업들(성과를 중시하면서 탑다운방식)은 성과주의와 관료제를 적용합니다. 성과주의와 애드호크라시조직구조(성과를 중시하면서 유연한 방식)는 IT회사나 스타트업회사에서 유용할 겁니다. 그리고 성과주의에서의 전문화는 개인전문화로 개인역량이 중요하고 몰입형 인사관리에서는 직무적문화로 직무몰입과 조직몰입 조직충성화를 이끌어내는게 중요합니다. 구별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