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TB-001 스콜피온 MALE 무인기가 오키나와 본섬과 미야코섬 사이를 지나 태평양 상공을 선회한 뒤에 동중국해로 돌오갔다고 합니다. 항자대가 스크램블해 이 드론의 활동을 감시했다고 하네요. 중국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중량 40파운드의 AR-2, 160파운드의 AR-4 공대지 미사일과 200파운드의 AR-3 순항미사일을 탑재 가능하고, 비가시선 작전 수행이 가능해 다양한 임무 프로파일에서 작전 유연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켰다고 합니다.
공개된 자료로는 전장 10m, 전폭 20m, MTOW가 2,800kg이고 항속거리가 6,000km, 최대 체공시간이 35시간이네요. 상승한도는 최대 8,000m입니다.
https://defence-blog.com/chinese-scorpion-drone-flies-near-okinawa/
Chinese Scorpion drone flies near Okinawa
NEWSAVIATION
ByDylan Malyasov
Jul 12, 2024
Modified date: Jul 12, 2024
A Chinese TB-001 Scorpion reconnaissance and attack drone conducted a surveillance mission near Okinawa on Monday, July 8th.
The drone, which took off from the East China Sea, passed between Okinawa’s main island and Miyako Island, circled over the Pacific Ocean, and then retraced its path back to the East China Sea. This maneuver prompted a swift response from Japan’s Air Self-Defense Force (JASDF), which scrambled fighters from the Southwestern Air Defense Force to monitor the drone’s activity.
The TB-001, developed by Tengoen, a company established in 2016, is a medium-altitude, long-endurance (MALE) unmanned aerial vehicle. It features a dual-engine setup, with each engine driving a single propeller positioned on either side of the central fuselage under its straight, high-mounted main wing. 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drone to carry a diverse array of weapons, enhancing its capabilities for both reconnaissance and attack missions.
At the 2018 Zhuhai Airshow, TB-001 was showcased alongside the C-701/K anti-ship missile and the CM-502 air-to-surface missile. Chinese media reports indicate that the drone can also be equipped with the 40-pound AR-2 and 160-pound AR-4 air-to-surface missiles, as well as the 200-pound AR-3 cruise missile. This diverse armament suite underscores the TB-001’s versatility in both surveillance and combat roles.
One of the drone’s notable features is its capability for full beyond-line-of-sight operations, allowing it to conduct missions at extended ranges without direct line-of-sight communication. This capability significantly enhances its operational flexibility and effectiveness in various mission profiles.
The incursion of the TB-001 into the airspace near Okinawa comes amid heightened tensions in the region. The East China Sea has been a focal point of military activity and strategic posturing by China, Japan, and other regional powers. The deployment of advanced drones like the TB-001 is part of China’s broader strategy to enhance its reconnaissance and surveillance capabilities, while also demonstrating its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unmanned systems.
https://www.militarydrones.org.cn/tb001-reconnaissance-strike-drone-p00209p1.html
첫댓글 일본 방위성의 방위연구소는 TB-001이 2022년 8월 중국의 대만 포위 훈련 때 DF-15B 탄도탄에게 표적 위치 데이터를 보냈거나 또는 착탄 지점을 확인했다고 추측합니다.
https://www.nids.mod.go.jp/publication/commentary/pdf/commentary239.pdf
"본고는 무인기 TB-001의 비행이 같은 시간대 PLA 동부전구에서 발사된 탄도 미사일의 착탄에 관여했을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지금까지의 논의로부터 「PLA 동부 전구 사령부는 무인기에 의해서 미사일의 착탄을 확인시키고 있던 것은 아닌가」라는 가설에 대해, 단적으로 말하면 이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
그것들이 정밀 타격 가능한 DF-15B였다면 무인기 TB-001에 의해 탄도 미사일이 비상 중에 받는 타겟 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시켰을 가능성이 높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은닉성이 높은 전자적인 여러 정보에 의해 즉시 해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본고와 같이 오픈 소스의 자료에 의해서 상황 증거를 쌓아 가면서 가설을 논증해 가는 것도 국제사회에 경종을 울리는 의미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아닐까?"
실전 상황에서 이런 무인기로 표적 정보 데이터를 보내주거나 피해평가가 가능하진 않을 것 같은데.. 중국은 장거리 순항미사일이나 탄도탄의 표적획득 및 전달 체계를 어떻게 구성하고 있을 지 ㅎㅎㅎ
@위종민 아직 전쟁이 터지지 않았을 때 보내 놓고 ’처음의 결정적 한방‘을 날릴 때만 쓴다고 봐야죵. 냉전 때는 이것을 Battle for the first salvo라고 불렀습니다.
@백선호 검색을 해 보니 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world/russia/mf-first-salvo.htm 이 글과 https://www.usni.org/magazines/proceedings/1985/february/first-salvo 이 글이 보이네요.
"“Ship attack groups need to use all weaponry for assaults on aerial attack groups: missiles, artillery, torpedoes, jet-propelled rockets—the whole lot![—] since it is unlikely that anything will remain afloat after an air strike. We are kamikazes.”" 라.. ㅎㅎㅎ
다음번 글에선 항모전투단을 초기 기습에서 생존할 수 있게 분산시켜야 하고, 또 핵탄두 토마호크를 장착한 잠수함들이 소련 본토에 핵위협을 가해 첫 일제사격에 투입되는 소련해군 전력을 분산시켰다고 평가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