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인구감소지역 고령층·소상공인의 든든한 금융 버팀목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새마을금고중앙회(회장 김인)는
디지털에 취약한 고령층과 소상공인을 위해
전국 인구감소지역에서도 점포를 유지하며
면대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포용금융을 실천하고 있다고
31일 밝혔답니다.
포용금융이란 저소득층, 고령층,
저신용자 등 사회적 취약계층을 비롯해
모든 사람이 소외되지 않고
금융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말합니다.
새마을금고는 인구감소세가
가파른 경북 영천(19개), 전북 남원(14개),
경남 남해(10개), 전남 영암(10개) 등
행정안전부가 인구 감소지역으로 선정한
기초지방자치단체 89곳에서
전체 금고(3269개)의 14.1%에 해당하는
461개 점포를 운영 중이며,
이를 통해 지역 공동화를 막는 역할을
일정 부분 수행하고 있답니다.
새마을금고는 인천시 옹진군,
강원도 정선군을 제외한 87개 인구감소지역에도
점포를 운영 중입니다.
국내 4대 시중은행(KB국민, 신한, 우리, 하나)은
인구감소지역 89곳 중 절반정도의 지역에서
점포를 운영하지 않고 있어
해당 지역 주민들은 은행을 이용할 때마다
큰 불편을 겪는 실정인데,
새마을금고 점포들이 그 빈자리를 메우며
고령층과 소상공인의
든든한 금융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답니다.
광역시·도별 새마을금고 지점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비중이 34.2%에 그치는 반면
4대 은행은 점포의 약 70% 정도가 수도권 지역에
집중되어 있답니다.
4대 은행은 최근 5년 사이
모바일뱅킹 활성화로 점포 운영에 들어가는
고정비용을 줄이기 위해
전체 점포의 약 20%(5곳 중 1곳)를 축소해왔습니다.
모바일뱅킹에 취약한 고령층이나
지역 소상공인 등이 대면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기회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고령층의 금융 소외 문제가 불거지기도 했답니다.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인출 사태 이후
경영합리화를 위해 금고 간 합병을 꾸준히 추진하면서도
점포는 유지해왔는데요.
작년 하반기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금고 수는
총 9개 소(’23.6월말1293개→’24.6월말1284개)했으나,
점포수(’23.6월말3260개→’24.6월말 3269개)는
줄지 않았답니다.
이는 새마을금고의 운영 효율성을 제고하면서도
모바일뱅킹 등 디지털 금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는 고령층을 위해
전체 점포 수를 줄이지 않는 방향으로
합병을 추진한 결과입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상부상조, 상호협동 정신에서 출발한 새마을금고는
앞으로도 고객 가까이에서
따뜻한 금융을 펼쳐 지역사회 공동체가 유지되고
지역경제가 풍성해질 수 있도록
계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 지난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