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조성공소
2004년 8월 29일 설립
관할본당: 벌교성당
전남 보성군 조성면 석부길 51-33
조성공소는 광주대교구의 '1면 1공소'운동에 힘입어
보성군 조성면 지역에 설립이 되었다.
2005년에 초대 백청자 리디아 공소회장이 텃밭이었던 땅을,
서울 독지가가 조립식 자제들을 봉헌하여 공소 공소가 시작되었다.
성모님은 2005년 5월 서울 연희동성당에서 모셔와
성모동산을 만들고 축복식도 하였다.
42. 동강공소
1964년 9월 5일 설립
관할본당: 벌교성당
전남 고흥군 동강면 원유둔1길 41-1
동강공소는 1958년 6월,
벌교본당 모 미카엘 신부가 멀리 떨어져 본당미사에 나오기 어려운
동강면 신자들의 가정을 돌아다니며 미사를 봉헌하면서 시작되었다.
43. 금성공소
1959년 설립
관할본당: 벌교성당
전남 순천시 외서면 쌍향수길 860
공소가 설립되기 전 금성 지역의 신자들이 미사를 드리기 위해 벌교본당으로 다니는 데
당시 교통이 발달하지 못해 신자들은 걸어서 다녔다고 한다
그래서 공소의 필요성을 느낀 신자들이 건물을 임대해서 미사를 봉헌하다가
과달루페회의 나 신부와 도 요셉 신부에 의해
공소 부지가 마련되고 1964년에 공소건물이 신축되었다.
지금은 공소를 사용하지 않아서 사진에서와 같이 전혀 손길이 닿지 않은 모습 그대로다.
44. 석곡공소
1984년 1월 15일 설립
관할본당: 곡성성당
전남 곡성군 석곡면 석곡3길 22-2
45. 매남공소
1882년 경
파리외방전교회 소속의 리우빌 신부에 의해 공소가 설립
관할본당: 사거리성당
전남 장성군 북일면 매남길 5
매남공소는 천주교 박해시기 중에 신앙촌을 형성하였던 곳이랍니다.
1993년 사거리공소가 준본당으로 승격됨에 따라
관할이 장성본당에서 사거리본당으로 변경 되었답니다.
46. 성진공소
1964년 9월 설립
관할본당: 사거리성당
장성성당 관할로 있다가 1993년 사거리공소가 준본당으로 승격되면서
성진공소는 사거리준본당 소속이 되었고
2003년 사가리준본당이 본당으로 승격되면서도
성진공소는 사거리성당 관할 공소로 지금까지 있다.
전남 장성군 북일면 성진길 58-4
1960년 고광동 요셉 공소회장을 중심으로 공소예절을 시작한 것이
성진공소 설립으로 이어졌다고 합니다.
47. 산동공소
2007년 6월 12일
관할본당: 구례성당
전남 구례군 산동면 지리산온천로 150-6
지리산 온천이 있는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관광사목을 목적으로 하는 설립이였다고 한다.
이층에는 피정이나 교우들이 한달살기 등등 숙소가 필요하면
묵을 수 있는 시설이 되어 있다.
48. 중도공소
(광양피정의 집)
1930년 설립
관할본당: 광영동성당
전남 광양시 진월면 중섬길 47-9
공소로의 기능 보다 피정의 집으로 활용되고 있었음
49. 영민공소
1975년 7월 18일 설립
관할본당: 영광성당
전남 영광군 묘량면 덕흥길2길 4 (덕흥리 387-4번지)
1975년 7월 18일영광본당 민수왕 파트리치오 신부가
묘량면 덕흥리 387-4번지에 땅 10,302평을 매입하여
한센병 음성환자 21명을 정착시키면서 공소가 시작.
당초에는 묘량공소라고 불리었으나 이후 영민공소로 공소명이 바뀌었다.
50. 귀성공소
2014년 11월 9일 설립
과할본당: 진도성당
전남 진도군 임희면 아리랑길 42
2014년 11월 2일 김희중 히지노 대주교 집전으로
석교공소와 함께 쌍둥이 성전으로 축복식을 하였다.
이 지역의 선교는 물론 아리랑 마을을 찾는 이들과
국악인 신자들과 국립남도국악원을 찾는 신자들을 위해
관광사목의 일환으로 신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