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에서 계절에 따라 관습적으로 되풀이되는 민속. 사람들이 모여서 하나의 사회를 이루고 오랫동안 생활하면 하나의 관습이 생기게 되고, 이것이 지역적인 특성과 사회적 변천, 계절의 특성에 의하여 나름대로의 모습으로 정착되고 행하여진다. 한국의 세시풍속은 태음력(太陰曆)에 의하여 시계(時季)를 산출하였으므로, 중국 하대(夏代)의 역법(曆法)인 음력 정월을 설로 삼는 역법을 채택·계승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세시풍속의 변천을 알 수 있는 기록문헌으로는 홍석모(洪錫謨)의 《동국세시기》, 김매순(金邁淳)의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유득공(柳得恭)의 《경도잡지(京都雜志)》 등이 있고, 세시기는 아니지만 농가에서 계절에 따라 해야 할 일을 상세히 노래한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가 있다.
1 월별 세시풍속
(1) 정월
정월 초하룻날 이른 새벽이면 <복조리>를 파는데 빨리 살수록 복이 많이 들어온다는 믿음이 있다. 설날 아침에는 <설빔> 또는 <설비음>이라고 하는 새로 지은 옷을 입고 일찍 세찬(歲饌)과 세주(歲酒)를 마련하여 차례를 지내고 세배(歲拜)를 한다. 정초 행사의 하나로 성묘(省墓)를 가는데, 자손으로서 꼭 해야 할 도리의 하나이다. 초하룻날 밤(지방에 따라서는 섣달 그믐날 밤)에는 일년 동안 머리를 빗을 때 빠진 머리카락을 빗접에 차곡차곡 모아 두었다가 불에 사르는 풍속이 있는데 이를 소발(燒髮)이라 한다. 음력 정초가 되면 토정비결을 보는데, 1년 동안 닥쳐올 운명을 점쳐 연초에 그해의 계획을 세운다. 한편 나이에 따라 운수(運數)를 맡고 있는 아홉 개의 별이 있는데 각 별에 따라 길흉액이 있으므로, 이에 따라 액을 풀기도 한다. 정초의 놀이로는 널뛰기·윷놀이·연날리기·돈치기·승경도(陞卿圖)놀이 등이 있다. 24절후 중 하나인 입춘(立春)은 대체로 정월에 첫번째 드는 절기(節氣)인데 새해의 기원을 나타내는 글귀인 입춘방(立春榜)을 써 붙인다. 정월 14일을 <작은 보름>이라 하여 오곡밥·복쌈 등을 먹고 정월 보름날[上元日] 새벽에 밤·잣·호두 등을 깨무는데, 이것을 부럼[腫果]이라고 하며 1년 동안 병 없이 건강하게 지내기를 기원한다. 보름날 이른 새벽에는 귀가 밝아지며 좋은 소식만 듣게 된다는 귀밝이술[耳明酒]을 마신다. 한편 세 집 이상의 다른 성(姓)을 가진 사람의 집에 가서 밥을 먹어야 그해의 액운이 사라지고 운수가 좋다고 하여, 여러 집을 돌며 오곡밥을 먹는 백가반(百家飯)이란 풍속도 있다. 정월 보름에는 새해의 첫달을 맞는 달맞이[迎月]를 하며 줄다리기·차전놀이(경북 安東지방) 등의 놀이를 한다.
(2) 이월
동지(冬至) 후 105일째 되는 날을 한식일(寒食日)이라 하여 불을 사용하지 않은, 찬 음식을 먹는 풍속이 있으며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간다. 또한 농가에서는 나무를 심거나 채소씨를 뿌려 새해 농사를 시작한다. 동면(冬眠)하던 짐승들이 땅속에서 나오고 초목의 싹이 돋아날 무렵이 되면 경칩(驚蟄)이라는 절기가 오는데, 이 날 흙일을 하면 탈이 없다고 하여 벽을 바르거나 담을 쌓으며 보리싹의 성장을 보아 일년의 농사를 예측한다. 풍작을 빌며 한 해의 농사를 시작하는 초경(初耕)이라는 풍속도 있다.
(3) 삼월
음력 3월 3일을 삼짇날이라 하며 이 날 머리를 감으면 머리칼이 아름답다고 하여 부녀자들은 머리를 감는다. 이 달은 간장을 담그기에 가장 적합한 달로 3월 들어 첫번째 맞이하는 말일[午日]에 담그면 맛이 좋다고 하여 정성을 다하여 부정(不淨)을 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장을 담근다. 대개 곡우(穀雨)라는 절기도 이달에 있는데, 농가에서는 못자리를 하기 위하여 볍씨를 담그는데 부정을 타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사월
석가모니의 탄생일인 음력 4월 초파일[初八日]은 불가(佛家)의 큰 명절로 절에 찾아가 재를 올리고 저녁에는 연등(燃燈)이라 하여 등에 불을 붙여 집안·마을에 밝히고, 신자들은 줄을 지어 등을 들고 제등행렬(提燈行列)을 한다. 사찰에서는 승려와 신도들이 모여 <탑돌이>를 하며, 왕생극락(往生極樂)과 국태민안(國泰民安)을 빌며 부처님의 공덕을 찬양한다. 또한 이 날은 일종의 불꽃놀이인 낙화(落火)놀이(줄불놀이라고도 함)를 하기도 한다.
(5) 오월
음력 5월 5일을 단오(端午)라 하고, 농촌에서는 모를 심을 무렵이다. 더운 철로 접어드는 계절의 절기이므로 단오선(端午扇)이라는 부채를 선물하는 풍습이 있고, 창포(菖蒲)로 만든 창포주를 마시거나 물에 넣고 삶은 창포물에 목욕을 하고 머리를 감는다. 이 날에는 예로부터 석전(石戰)놀이를 하였으며 씨름을 즐긴다. 부녀자들은 그네뛰기를 하고 활짝 핀 봉숭아를 따서 손톱에 물을 들인다.
(6) 유월
음력 6월 15일을 유두일(流頭日)이라 하며, 더운 날씨에 맑은 냇물을 찾아서 목욕을 하고 머리를 감으며 즐겁게 지낸다. 또한 햇밀가루로 국수·떡을 마련하고 새로 익은 참외·수박으로 신위(神位)나 토주(土主)에게 유두차례를 지낸 후 나누어 먹는다. 하지(夏至)를 기점으로 세번째 경일(庚日)을 초복(初伏), 네번째 경일을 중복(中伏), 입추(立秋)로부터 첫째 경일을 말복(末伏)이라 하며, 1년 중 가장 더운 때이므로 각 복날에는 개장국·삼계탕(蔘鷄湯)·소주 등을 계곡이나 정자 밑에서 흥겹게 먹고 마시는데 이를 <복다림한다>고 한다. 남자들은 경치 좋고 고기가 잘 잡히는 냇가를 찾아 고기를 잡아 요리한 음식과 술을 먹으며 즐기는 천렵(川獵)을 한다.
(7) 칠월
음력 7월 7일은 칠석(七夕)이라 하여 밀전병을 부치고 가지·고추 등 햇것을 천신(薦新)하고, 나물을 무쳐서 햇것의 맛을 본다. 또한 여름옷을 빨아 챙겨 두고 책을 널어 말리는데 이것을 <폭서(曝書)한다>고 한다. 농촌에서는 농삿일 중 갈고 김매는 일은 일단 끝나므로 논을 매고 밭을 매는 데 중요한 연장인 호미를 잘 씻어 다음해의 준비를 위하여 잘 보관하며, 이것이 끝나면 세조연(洗鋤宴)이라 하여 술·떡·음식 등을 장만하여 머슴들을 위로한다. 부녀자들은 마당에 모여 앉아 옛날 이야기를 하면서 길쌈을 하는데 이를<두레길쌈>이라고 한다.
(8) 팔월
음력 8월 15일을 추석(秋夕) 또는 한가위·중추절(仲秋節)이라고 하는데 이 때는 햇곡식과 햇과일이 무르익는다. 이날은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가서 봉분의 우거진 잡초를 정성껏 깎는 벌초(伐草)를 한다. 또한 부모와 멀리 떨어져 있던 아들·딸이 어버이를 뵙고 문안드리거나, 시집간 딸과 어머니, 또는 사돈끼리 만나 안부를 전하고 하루를 즐기는데 이를 근친(覲親)이라고 한다. 한가윗날 밤에는 곱게 단장한 부녀자들이 수십 명씩 일정한 장소에 모여 손을 잡고 둥글게 원을 그리며 뛰노는 놀이인 강강수월래를 한다.
(9) 구월
음력 9월 9일을 중양일(重陽日) 또는 중양절(重陽節)이라고 한다. 이 때쯤 국화가 만발하는데, 이것을 따서 술을 빚은 국화주와 국화 꽃잎을 따서 찹쌀가루와 반죽하여 국화전을 만들어 먹으며 즐긴다.
(10) 시월
음력 10월 들어 무오일(戊午日)을 가려 무시루떡을 쪄서 토주신(土主神)에게 고사(告祀)를 지내어 한 해 농사를 잘 짓게 하여준 데 대하여 감사하고, 집안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며 다음해 농사가 잘 되기를 빌고 온 동네에 떡을 골고루 돌려 나누어 먹는데, 이를 <가을떡돌린다>고 한다. 시제(時祭)는 춘향제(春享祭)와 추향제(秋享祭)가 있는데, 가을의 추향제가 일반적이다. 대체로 1일에서부터 15일 안에 지내는 것이 보통인데, 시제답(時祭畓) 또는 시제전(時祭田)이라 하여 일정한 농토에서 생산하는 곡식 중 도조(賭租)를 마련하여 그 곡식으로 제물을 장만하여 시조(始祖)나 중시조(中始祖)의 산소 앞에 차려놓고 전국에서 문중(門中) 자손들이 모여 제사를 지낸다. 음력 10월 20일을 <손돌이날> 또는 <손돌날>이라 한다. 이날은 겨울옷을 준비하여 월동할 준비를 하게 된다. 또한 입동(立冬)을 전후한 6일 중 날을 택하여 겨울철의 반찬으로 김장을 담근다.
(11) 동짓달
음력 11월에는 24절기 가운데 22번째 절기인 동지(冬至)가 있다. 동지는 양력 12월 22일 경으로 낮의 길이가 가장 짧고 밤의 길이가 가장 길다. 이 날은 동지팥죽이라 하여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집에서 팥죽을 쑨다. 팥을 삶아 으깨어 체에 걸러서 그 물에 쌀을 넣고 끓이다가 찹쌀가루로 새알만큼씩 동그란 단자를 만들어 넣는데, 이것이 새알심[鳥卵心]이다. 팥죽을 쑤어놓고 기다리다가 동지시(冬至時)가 되면 대문 위나 담벽 등에 뿌린다. 집에 따라서는 사당에 팥죽으로 차례를 지낸 다음, 방·마루·장독대 등에 한 그릇씩 퍼다 놓은 뒤에 먹는다. 팥죽은 그 빛이 검붉기 때문에 귀신들은 이 빛을 싫어하므로 팥죽을 뿌리면 못된 귀신이 침입하지 못한다 하여 온 집안에 뿌린다. 지방에 따라서는 팥죽을 동네 앞 큰 고목(당산나무)에 뿌려 악귀나 사귀(邪鬼)가 동네에 침입하지 못하게 하기도 한다.
(12) 섣달
동지로부터 세번째의 미일(未日)을 납향(臘享)이라 하는데 대체로 음력 12월 중순쯤 된다. 이 날 약을 만들면 1년 내내 변하지 않는다 하여 옛날 내의원(內醫院)에서는 여러 가지 환약을 지어 임금께 진상하였다. 이를 <납약(臘藥)>이라 하였으며 임금은 이 약을 다시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어 병을 고치게 하였다. 또한 1년 동안 일어났던 모든 일을 신에게 보고하는 날로서, 이 날 지내는 제사를 <납향제(臘享祭)>라고 하는데 지금은 거의 없어진 풍속이다. 이 날 참새를 잡아 구워서 아이에게 먹이면 질병에 걸리지 않는다고 한다. 이 날 내린 눈은 약이 된다고 하여 독에 받아 녹은 물을 두었다가 김장독에 넣으면 김장의 맛이 변하지 않는다고 하며, 한약을 달일 때 쓰기도 한다. 12월 말일을 섣달 그믐이라 하며 그믐날 밤을 <제석> 또는 <제야(除夜)>라고 한다. 이 날 빚이 있는 사람은 해를 넘기지 않고 모두 청산하였으며, 남으로부터 받을 빚이나 외상이 있는 사람은 이 날 찾아다니며 받아야 한다. 자정이 넘도록 받지 못하였을 때에는 정월 보름까지는 빚독촉을 안하는 것이 상례이다. 주부들은 세찬이나 차례를 위한 음식을 준비하느라 바빴으며, 남자들은 집 안팎을 깨끗이 청소하고 농가에서는 외양간을 치우고 거름도 퍼내어 설 맞을 준비를 한다. 한편 방·뜰·부엌·변소와 뒤뜰까지 불을 밝히고 잠을 안 자는데 이것을 <수세(守歲)한다>고 하며 자는 사람은 눈썹이 희게 센다고 한다.
(13) 윤달[閏月]
음력으로 12월 외에 더 드는 한달을 윤달이라고 한다. 윤달에는 성돌기를 하는 습관이 있으며, 할머니들이 성에 올라가 열을 지어 돌면 극락에 간다고 한다. 또한 부정이나 액이 없으므로 혼인·집수리·이사에 적합하다고 하며, 특히 밤나무로 제상(祭床)을 만들면 자손이 밤알처럼 야무지고 번성한다고 하여 밤나무제상을 만든다. 또 절에 가서 생전의 죄를 사해 주십사 하고 극락왕생(極樂往生)을 기원하는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를 올린다. |
첫댓글 잘 보고 갑니다..... 옛것이 좋은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