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웰빙(Well-Being)이다, 로하스(LOHAS)다 하여 건강과 환경 그리고 후손까지 생각한 생태 건축 붐이 한창이다. 여러 가지 전원주택 건축 공법 가운데 생태 건축을 주도하는 것은 단연 황토집이다. 문제는 순수 황토벽돌만으론 선호도가 높은 복층으로 시공하기엔 구조상 하중으로 어려움이 따른다는 점이다. 그러한 이유에서 전통 방식으로 재목을 다듬어 만든 기둥과 보와 도리로 뼈대를 얽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 심벽 대신 황토벽돌을 쌓는 이른바 현대식 한옥 목구조 황토집이 나왔다. 전통미에 편리성을 접목하여 오늘날 각광을 받는 구조지만, 자재비며 인건비가 만만찮아서 서구식 경량 목구조와 스틸하우스에 비해 경쟁력이 약한 편이다.
황토집이 여타 건축 공법에 비해 가격 경쟁력을 갖추려면 무엇보다 주요 건축재인 황토벽돌의 강도를 높여야 한다. 단 황토벽돌을 만들 때 황토에 첨가물을 섞거나 고압으로 성형하거나 고온에서 구우면 안 된다. 황토에 시멘트 성분을 첨가하면 발암물질인 6가크롬을 함유하여 건강을 위협하고 고압이나 고온으로 구우면 황토 성질이 도자(세라믹)로 변하여 몸에 유익한 미생물 서식이나 원적외선 방출 등 유익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성남리 호랑바위골 안양호(74세)·류행순(70세) 부부의 102.8㎡(31.1평) 복층 황토집이 화제를 모으는 이유다. 목가구식木架構式 이 아닌 황토벽돌만으로 조적하고 안팎 모두 황토 모르타르로 줄눈 마감한 복층 집인데, 순수 황토벽돌을 사용했기에 벽체를 손으로 문지르면 황토가 묻어난다. 바로 여주의 질 좋은 황토와 유기농 볏짚을 혼합하여 숙성시킨 후 손으로 빚어 만든 인토문화연구소(소장 박영선)의 ‘황토 손 벽돌’이다.
신토불이 건축재, 황토벽돌과 굴참나무 너와
박영선 소장은 기계로 찍어낸 여타 벽돌과 차별하기 위해 황토 손 벽돌임을 강조하면서, 이 제품은 인토문화연구소에서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100년 전통 공법을 재현 실현한 것이라고 말한다.황토자체만으로 황토벽돌을 만들면 강도가 약하고 균열(Crack)이 발생하므로, 조상들은 이를 보완하고자 황토를 물에 반죽할 때 짚을 썰어 넣고 손으로 황토벽돌을 빚었다. 인토문화연구소 황토 손 벽돌은 그러한 조상들의 지혜를 계승 발전시킨 산물이고, 이 집은 그 실현물인 셈이다.황토 손 벽돌만으로 시공하려면 기초가 튼튼해야 하기에 이 집은 바닥을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로 다진 후 단열재, 기포콘크리트, 온수 파이프(XL), 황토 모르타르, 강화마루순으로 마감했다. 벽체는 하중을 고려하여 황토 손벽돌(30×17×17㎝)을 세로로 두껍게 쌓은 후 황토 모르타르로 3∼4㎝ 줄눈 마감한 후 실내는 거실 일부를 제외하고 한지벽지를 발랐다. 2층 바닥은 황토 손 벽돌 벽체에 멍에목(9×9㎝)을 시공하고 장선(45×45㎝), 구조용 판재(O.S.B.), 방수 시트, 단열재, 기포 콘크리트, 온수 파이프, 황토 모르타르, 강화마루순으로 마감했다.
한편 금년 7월에 지은 집인데도 마치 옛집처럼 황토벽이 희뿌옇게 변한 것이 의아스럽다. 박 소장은 이러한 변색은 인체에 유익한 미생물이 서식하기 때문인데, 이는 황토와 볏짚만으로 빚은 황토 손 벽돌이 살아 숨쉰다는 증거라고 한다. 즉, 카탈라아제(노화 현상 방지 효소), 프로테아제(정화 및 분해 작용 효소), 디페놀옥시다아제(산화 환원 효소), 사카라아제(영양 효소) 등과 같은 미생물이 서식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황토 손 벽돌 벽체도 그렇지만 경사 지붕에 굴참나무 너와를 여러 겹으로 포개 얹은 모습도 색다르다. 지붕은 서까래를 건 다음, 그 위에 나무널을 깔고 황토를 20㎝ 덮고 고무 시트를 깔고 너와를 두툼하게 이었다. 치악산 정기를 받아들이듯 산세 山勢 의 흐름에 맞추어 각 실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물려 앉히고 지붕의 높이를 달리했는데 용마루에 이르면 너와 두께가 절정에 달한다.
풍수와 조망을 고려한 배치
이 집의 터는 매봉산자락을 배경으로 치악산에서 발원한 물줄기를 바라보는 배산임수 형국이다. 660.0㎡(199.6평) 대지는 행주치마를 펼쳐놓은 형태고 우측에 도로가 자리한다. 전면과 좌측은 경사지라 자연석을 쌓고 집은 남남서향으로 농지 전용 경계선 가까이 앉혔다.
실내 배치는 전통 가옥처럼 대청 격인 거실을 중심으로 도로에서 떨어진 좌측에 안방과 주방/식당을, 우측에 건넌방을 배치했다. 안방과 주방/식당을 좌측에 앞뒤로 드린 것은 외적으로 간섭을 피하면서 내적으로 편리함을 염두에 둔 형태다. 지인知人 들을 위한 건넌방은 구들을 깔고 황토와 옥 대리석순으로 마감했다. 경사 천장에 종도리와 서까래를 드러낸 거실은 일부만 한지 벽지로 마감하고 황토 손 벽돌을 그대로 노출시켰다. 가족실과 방을 배치한 2층은 자녀와 손주를 위한 주말 공간으로 1층과 계단실을 제외하고 내벽으로 차단함으로써 독립적으로 꾸몄다.
산자락에 앉힌 집으로 각 실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물려 배치하고 지붕의 높이와 물매 방향을 달리하여 치악산국립공원으로 향하는 도로에서 올려다보면 도드라진다. 반대로 언덕바지에서 내려다보면 마치 치악산에 딸린 작은 봉우리처럼 산세 山勢 의 흐름이 지붕 용마루를 타고 리드미컬하게 흐르다가 마당에 내려앉아 숨을 고르는 듯하다.
시골살이 경험이 전무한 안양호 · 류행순 부부의 전원행은 도시생활에 쉼표를 찍는 데서 비롯했다. 오랫동안 정을 붙이고 살던 서울 동작구 이수동 정금마을이 2010년까지 이수지구 아파트 단지로 재개발되기 때문이다. 이 집은 이수지구 아파트에 입주하기 전까지 살 요량으로 ㈜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에 근무하는 아들 안영철 씨가 10년 전 마련한 부지에 지은 것이다.
건축 구조와 설계는 안영철 씨가 주도했는데, 그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익숙함에도 건강과 환경을 고려하여 황토집을 선택했다. 한편 집을 계획할 때 삼대가 모여도 부대끼지 않도록 복층 구조를 염두에 뒀는데 목구조 황토집은 건축비가 많이 들어 고민하던 중 인토문화연구소 박영선 대표를 만나 일이 수월하게 풀렸다고 한다.
안양호 씨는 아들이 건강을 생각하여 황토집을 짓겠다고 할 때도 그러려니 했는데 살아보니 황토집의 효능이 놀랍단다. 35℃를 웃돌던 한여름에도 실내 온도는 항상 26℃를 유지하고 습기가 없어 에어컨을 틀지 않고도 쾌적하게 났다는 것이다. 또한 이곳에서 두어 달 생활해 보니 자연 환경과 맑은 공기가 서울하고 천양지차라며 사람들이 왜 전원생활을 택하는지 알 것 같단다. 지금은 당초 생각과 달리 서울 생활에 쉼표가 아닌 마침표를 찍고, 이곳에서 여생을 보낼 계획이라고······. 글· 사진 윤홍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