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즘 우리나라 정치판을 두고 개판이라고 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은을 같은 선상에 두고 비교를 하며 우위에 두다가 깔아뭉개기도 하는데
서로 '자기편'만 드니 하루도 조용할 말이 없어서 그러나 봅니다.
어떻든 난장판이 수습되지 못해서 개판으로 치닫는, 그런 불행은 없어야 하겠습니다.
그 어떤 벼슬에 있든,
밝은 대낮에 훤히 드러난 치부를 손바닥으로 가리고 온 국민을 상대로 ‘이판사판이니
한번 해보자!’는 추태를 더 이상 보이지 않기만을 바랄 뿐입니다.
난장판이나 개판에서의 ‘판’은 순 우리말이지만,
‘이판사판’이라고 할 때의 ‘판’(判)은 한자에서 온 말로 전혀 다른 뜻입니다.
아시다시피 ‘이판사판’은 ‘이판’과 ‘사판’이 합쳐진 합성어인데,
‘이판’과 ‘사판’은 모두 불교에서 쓰이고 있는 말입니다.
‘이판’은 속세와의 인연을 끊고 불도에 전념하는 일을 말하고,
그러한 일을 수행하는 스님을 ‘이판승’이라고 합니다.
또 ‘사판’은 절의 재물과 사무를 맡아 처리하는 일을 말하며,
그러한 일을 수행하는 스님을 ‘사판승’이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이판승’이 없으면 부처님의 가르침이 이어질 수 없고,
‘사판승’이 없으면 절이 제대로 운영될 수 없기 때문에,
‘이판’과 ‘사판’은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는 말이 됩니다.
‘이판’과 ‘사판’이 결합하여 새롭게 만들어진 말이 ‘이판사판’입니다.
이 말은 오늘날 ‘막다른 데 이르러 어찌할 수 없는 지경’이란 전혀 다른 뜻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이렇게 쓰이게 된 까닭에 대해선 여러 이야기들이 있는데,
출가를 해서 스님이 되면 누구나
‘이판’과 ‘사판’ 가운데 어느 한쪽을 선택해야 하는 기로에 서기 때문에,
‘이판사판’이라는 말에 ‘막다른 곳’, ‘막다른 궁지’라는 의미가 생겨난 것으로 설명하는 쪽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이판’ 아니면 ‘사판’으로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것은,
‘이것 아니면 저것’이라는 식의 극단적 사고를 낳을 수 있고,
이러한 사고를 바탕으로 ‘막다른 곳에 이르러 어찌할 수 없음’이라는
극단적인 의미가 생겨났겠지요.^*^
얼마전에는 공원에 들개가 나타나서 사람을 공격하였다고도 하던데...
어쨌거나 떠돌이 개떼는 보는대로 잡아가두어야 합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