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주 강세, 연착륙 기대감에 상승 마감
S&P500, 나스닥100 사상 최고치 경신
TSMC가 칩 회복 기대를 다시 끌어 올렸다는 평가
글로벌 증시 반도체주 연일 강세
엔비디아 4% 오르며 600달러 근접
마이크론테크도 3% 이상 상승
반도체주 긍정적인 보고서도 이어지는
씨티, 마블 테크가 엔비디아 보다 매력적,
골드만, 브로드컴 실적 기대 ↑ 1,325달러, 매수 의견
UBS, TI 성장세 두드러져. 매수 상향. 170달러 → 195달러
바클레이즈, TSMC 목표가 110달러에서 125달러로
엔비디아는 메타발 뉴스도 긍정적으로 작용
저커버그, 연말까지 엔비디아의 H100 35만장 필요
인프라 투자, GPU 포함시 60만개 필요하다고
단가 2.5만 ~ 3만달러 추정. 최소 90억달러 예상
Danni Hewson, 경기 둔화, 고금리에 생산성이 중요
AI 및 해당 기술 보유 기업들 부각되는 상황이라고
John Higgins, 미국 랠리 26년까지 이어질 전망
중심에는 AI 관련주가 있을 것
TSMC는 대만 증시 수급도 바꿔버림
주간 -45억달러 뺐던 외국인 금요일 26억달러 매수
분석가들은 정치에서 펀더멘털로 관심이 넘어갔다고
1월 미시건대 소비자심리지수 78.8. 21년 7월 이 후 최고
1년 기대 인플레는 2.9%로 20년 12월 이 후 최저
경기 연착륙, 물가 안정 동시에 기대되는 대목
오스틴 굴스비, 금리는 회의 때마다 상황보며 판단
인플레 지속 하락시 인하 논의할 가치는 있어
라파엘 보스틱, 2% 향해 가는지 확인 필요
데이터에 따라 인하 시점 생각 바뀔 것
블랙록, 6월부터 금리인하. 연내 -0.75~1%p 전망
BoA CEO, 4회 인하 예상.
골드만삭스 얀 핫지우스, 6번 인하는 아니야
아트 호건, 금리인상 중단에 하반기 경기 반등 흐름
JP모건은 실적 시즌 내용이 좋은 편은 아니라고
4분기 부진, 가이던스도 약하게 제시 중
BoA, 금리 상승에 작년 강세주들 다시 부각
매그니피센트7 주식으로 투자자들 다시 집중
지난주 미국 펀드 -43억달러 환매
반면 기술주는 최근 40억달러 유입되어 8월 이 후 최대
신고가 경신으로 추가 상승 기대감도 높아지는
S&P500은 최고치 경신 후 14번중 13번 상승
이 기간 평균 13% 상승했다는 통계
MSCI한국지수 +1.25%, 야간선물 +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