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의 고향 (21) 화서 이항로의 삶과 사상(上)
구한말 시대정신 이끈 시골선비
# 청화정사(靑華精舍)의 화서 고택
첩첩산중의 흐르는 계곡 곁 우람한 왕골 기와집에 몸을 숨기고 도(道)와 진리만 추구하던 화서 이항로(1792~1868)의 서재에 나랏임금에게서 벼슬에 임명했다는 교지(敎旨)가 내려왔다. 학생 이광로(李光老 : 항로의 초명)에게 장사랑(將仕郞)의 품계에 휘경원(徽慶園) 참봉(參奉)이라는 종9품에 해당되는 말단의 벼슬이 내려진 것이다. 그때가 1840년 6월22일, 화서의 나이 49세였다.
|
화서 이항로의 생가이자 학문의 도장이었던 청화정사(경기 양평 소재). 중암 김평묵, 면암 최익현, 의암 유인석 등 한말 위정척사운동의 이론가 및 실천가들이 모두 이곳에서 배출되었다. <사진작가 황헌만> |
반백의 나이에 이르러서야 닦고 쌓은 학문의 업적이 세상에 알려져 이조판서의 추천으로 초직인 참봉의 벼슬에 임명되었다. 벌열의 집안도 아니고 세신고가(世臣故家)의 집안도 아닌 시골 선비가 학문적 명성이 높아 참봉의 벼슬에 임명됨은 우선 가장 명예롭던 산림(山林)의 반열에 들어선 것이어서 환호작약할 만한 큰 사건이 아닐 수 없었다. 그러나 화서 이항로는 그런 직책에 취임하지 않고 정중하게 거절하면서 부족한 학문에 전념하겠다는 뜻을 간곡하게 밝히고 말았다.
다시 24년이 지난 1864년 고종이 등극하고서 이항로에게 정3품 당하관인 통훈대부 장원서(掌苑署) 별제(別提)에 임명하고 전라도사로 바꾸었으나 사퇴하고 벼슬에 오르지 않았으니 73세이던 3월의 일이었다. 73세의 극노인에게 하급의 벼슬을 내렸으나 24년 동안 갈고 닦은 경술(經術)의 덕택이었으니 얼마나 영광스러운 일인가.
그로부터 벼슬 복이 터져 선망의 산림(山林)벼슬이 잇따라 내려졌다. 그해 7월에는 사헌부 지평의 벼슬이 내렸으니 산림으로 대접함이 분명해졌다. 같은 해 겨울에는 사헌부 장령이 내려지고 75세인 1866년 9월8일에는 통정대부 정3품 당상관인 동부승지에 임명되면서 천하에 이항로의 이름이 벽계산림(檗溪山林)으로 울려퍼졌다. 이 무렵은 고종3년의 병인양요가 일어나던 때로 도하에 인심이 흉흉하고 난리가 났다고 세상이 온통 뒤집히던 때여서 이항로가 동부승지로 입궐한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민간에서도 기쁜 소식으로 전해지면서 국민적 기대를 안게 되었다.
이항로는 나라에서 보내준 관마(官馬)도 거절하고 집안의 종들이 메는 가마를 탔고, 둘째 아들 이박과 제자 김평묵(金平默)이 도보로 수행하였다. 나라의 큰 은혜를 입은 산림 이항로는 궁궐에 이르자 바로 사직상소와 함께 자신의 포부를 밝히는 정책건의서인 상소를 올렸다. 바로 이 상소가 매천 황현이 ‘매천야록’에서 백년 이래의 가장 바른 목소리인 명상소라고 칭찬해 마지않았던 바로 그 상소였다. 상소를 올린 며칠 뒤에는 그의 최종 벼슬이자 재신(宰臣)의 지위인 가선대부(嘉善大夫) 공조참판(工曹參判)에 올랐다. 상소로 사직했으나, 그는 산림으로서의 국가적 예우는 충분하게 받은 셈이었다.
이항로는 공조참판이 내린 2년 뒤인 1868년 77세의 3월18일 세상을 뜨고 말았다. 사후 34년이 지난 1902년 광무6년에야 정2품인 자헌대부 내무대신에 증직되고, 1905년인 광무9년 황제의 칙명으로 시호를 내렸으니 문경(文敬)공이라는 영예로운 명칭이었다.
벽계산림인 화서 이항로는 청화산(靑華山) 서쪽으로 10리 지점인 벽계수가 철철 흐르는 물가에서 태어났다. 정조 16년인 1792년 2월13일 해 뜰 무렵인 묘시(卯時)에 경기도 양평군(당시는 양근군) 서종면 노문리 벽계마을이란 곳이었다. 바로 그 태어난 집이 ‘청화정사’이다.
이항로의 아버지는 글 잘하는 선비 이회장(李晦章)으로 호가 우록헌(友鹿軒)인데 선대에는 경기도 고양군의 벽진이씨 집성촌에서 살다가 그처럼 깊은 산속으로 피난 와서 살면서 고향이 된 곳이었다. 우록헌 이회장은 전답도 많지 않은 산골인 그곳에서 큰 농사를 지을 수 없었으나 화전(火田)농으로 조를 백석 이상을 수확했다니, 그런 벽지에서는 상당한 재산가였다고 한다. 그래서 화서 이항로가 태어난 ‘청화정사’는 아버지 때부터 와가로 덩실하게 세워졌고, 그곳이 바로 화서학문의 보금자리였으며, 한말 의병운동과 척양척왜의 기본논리인 주리척사(主理斥邪)의 시대정신이 싹텄던 곳이다. 화서의 영향을 받은 대유들로 일본을 물리치고 조선의 전통사상을 고수하자던 화서의 문하 제제다사들이 그곳에서 배출되었다. 중암 김평묵(1819~1891), 성재 유중교(1832~1893), 면암 최익현(1833~1906), 의암 유인석(1842~1915) 등은 위정척사운동의 이론가로, 실천가로서 모두 벽계리의 ‘청화정사’에서 배출된 조선의 마지막 의인들이자 당대의 학자들이었다.
# 화서의 유적지
양평(楊平)은 본디 양근군(楊根郡)과 지평군(砥平郡)이 합쳐져 된 군인데, 화서는 양근 출신이다.
필자의 증조부 박임상(朴琳相)은 젊은 시절 중암 김평묵의 문하에서 학문을 닦았다. 전남 무안군의 지도(智島)에 귀양 왔던 중암의 문하를 찾아 10대 말에 공부하였고, 30대 초반에는 경기도 포천에 계시던 면암 최익현의 문하에 찾아가 학문을 익혔다. 화서 이항로는 바로 우리 집안의 학문연원이다. 시간만 허용하면 우리 집안 학문의 고향인 벽계리를 찾으려는 마음을 잊지 못했는데, 이번 가을에야 겨우 짬을 내서 평생 동안 찾고 싶던 계곡의 시냇물이 콸콸 흐르는 그곳, 벽계리를 찾았다. 화서의 고택인 ‘청화정사’는 우람한 고가이자 근래에 새로 보수하여 볼품이 좋은 건물이다.
금년으로 화서가 세상을 떠난 지 139년, 잊혀질 세월이 흘렀으나, 양평군에서 유지관리하는 화서기념관에는 그래도 몇 점의 유품이 전시되어 있고, 후손 이록기씨의 안내로 찾은 당시 화서의 유적지는 그런대로 은은한 옛 정서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었다. 젊은 시절 이래로 세상을 뜨던 날까지 그가 거닐고 소요하면서 이름을 짓고 시를 쓰며 표지 글씨를 남긴 명소들을 찾을 수 있었으니, 얼마나 다행한 일인가.
청화정사의 동쪽 언덕 위 제월대(霽月臺)의 터가 있고, 정사 앞의 시냇가에 우람하게 자란 느티나무가 화서를 알고 있다는 표정으로 옛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정사 근처의 명옥정(鳴玉亭)의 터도 있고, 낙지암(樂志巖)이라는 바위는 개울 속의 커다란 바위인데, 물이 주는 때는 언제나 화서가 그 바위에 올라가 쉬고 즐기면서 마음을 달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기에 붙여진 이름이었다. 낙지암에서 50여m를 올라가면 바위에서 내려오는 물결이 하얀 눈을 뿌리는 것 같아, 분설담(噴雪潭)이라는 조그마한 물웅덩이니 그런 이름도 모두 화서가 운치 있게 명명하여, 오늘까지도 그대로 전해지고 있으니 얼마나 멋진 이름인가. 화서는 바로 그런 유적지에서 진리와 도를 찾느라 80평생을 배회하고 소요하면서 제자들과 어울리면서 학문의 대업을 완성했다.
# 고달사의 옛터는 찾을 길 없고
한 가지 아쉬움은 화서가 평생 동안 독서하고 강론했던 고달사(高達寺)라는 절이 벽계마을 동쪽으로 머지않은 골짜기에 있었는데 오래전에 폐사가 되어 지금은 찾을 길이 없다는 것이다. 화서의 시집이나 연보에는 수시로 등장하는 절이자 암자인 고달산사인데 애석한 일이다. 연보 24세 조항을 보면 25세에 아버지의 상을 당해 28세에 복을 벗자, 그해 겨울에는 고달산의 절에서 독서를 했다고 기록하고는, “선생의 평생 동안의 독서는 고달산에 있는 절에서 가장 많이 했다”라고 적고는 고달사에서 전에 지었다는 시 한수를 써놓았다.
바위와 물의 마을 30년 생애 石泉三十年
이 산골짜기에 몇 번이나 왔던가 幾來此山曲
간단없이 천고를 회상해보지만 疊疊千古懷
책읽기가 언제나 부족일세 讀書常不足
이렇게 자주 찾았던 화서의 연구실이 지금은 흔적도 없으니 애석할 뿐이다.
북한강의 동쪽에 위치한 벽계리, 벽계산림 이항로는 젊은 시절 여행을 즐기던 때 이후에는, 평생토록 북한강을 넘어 서울 쪽인 서쪽으로는 발 한 번 내디디지 않을 정도로 외부의 출입을 그치고 오로지 독서와 사색으로 세월을 보내며 제자들을 가르치고 그들과 강론하면서 세월을 보냈다고 한다. 그들이 거닐고 놀면서, 시를 짓고 학문을 강했던 청화정사의 아름다운 주변은 우선 흐르는 벽계수가 너무나 아름다웠다. 그 당시 그곳의 지형을 그린 그림이 전하는데, 그때는 마을 곁의 시냇물 위에 배가 그려져 있으니, 아마도 북한강을 타고 배가 오르내리면서 교통수단으로 이용했을 것이라는 것이 후손이 설명해준 이야기였다.
# 면암 최익현이 지은 신도비
화서의 혼이 서려있는 벽계리, 청화정사의 뒤쪽 등성이로 오르면 화서 이항로의 무덤을 비롯하여 벽진이씨의 세장산이 아름답게 가꿔져있다. 본디 화서의 묘소는 마을에서 20여리 떨어진 곳에 장사지냈으나, 최근에 선산으로 옮겨서 오늘의 자리에 있다고 했다. 묘소로 오르는 입구에는 커다란 화서의 신도비가 서 있다. 신도비에는 면암 최익현의 도도한 문장의 글이 새겨져 있다. 면암은 화서의 큰 제자이자 한말의 의병장으로 의병싸움에 패하여 일본헌병대에 붙잡혀 일본의 영토 대마도에 유폐되었다가, 왜놈의 쌀은 먹을 수 없다고 단식하다가 노환이 도져 끝내 순국했던 의인이다. 그 스승에 그 제자인 화서와 면암, 이(理)를 높여서 왜군을 퇴치하자던 그들의 혼은 지금도 그곳에 살아 있었다.
〈박석무 단국대 이사장·성균관대 석좌초빙교수〉
[경항신문 2007년 11월 10일]
[출처] 사상의 고향 (21) 화서 이항로의 삶과 사상(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