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수도권 3기 신도시 중 최대 면적을 자랑하는 경기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의 지구계획을 승인했다고 30일 밝혔다.
광명시흥 지구는 여의도의 약 4.4배에 달하는 1271만㎡ 규모의 대형 부지에 조성된다. 고양창릉, 남양주왕숙 등 3기 신도시 가운데 면적이 가장 크다.
사업 부지는 서울 등 수도권과 지방 모두 접근이 용이한 곳에 자리 잡는 입지가 장점으로 꼽힌다. KTX(광명역), 지하철 1·7호선 등 전국 및 수도권으로 쉽게 이동할 수 이는 철도 교통망이 가깝다.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제2경인고속도로, 광명-서울고속도로(2027년 개통 예정) 등 주요 간선도로도 인접해있다.
구체적으로 지구 북측에는 인공지능(AI)·소프트웨어 지식 산업 연계용 자족 용지를 배정한다. 남측에는 첨단 모빌리티, 의료·바이오·헬스 등 미래산업 기업이나 시설이 입주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다.
양질의 주거공간도 조성한다. 광명시흥 지구에는 총 6만7000가구 규모의 주택을 공급한다. 이 중 3만7000가구는 공공주택(공공분양 1만3000가구·공공임대 2만4000가구)으로 건설해 무주택 서민들의 국민 주거안정에 기여할 계획이다. 특히 청년·신혼부부 등 주택 실수요자들에게 시세보다 저렴한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급해 든든한 주거 사다리를 제공할 방침이다.
아울러 주민이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총 445만㎡ 규모의 공원·녹지공간도 조성한다. 교육 시설로는 △유치원 6개 △초등학교 14개 △중학교 8개 △고등학교 6개 △특수학교 2개소 등을 계획하고 있다.
정부는 광명시흥의 지구계획 승인 이후 내년 보상 공고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2027년 택지 착공, 2029년 첫 분양을 거쳐 오는 2031년 첫 입주가 시작될 것으로 보고 있다.
첫댓글 오.. 31년이면 빠르네... 40년은 되어야하는거아닌가햇는디. 저긴 지하철도 있나
청약 넣어야 되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