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I Love NBA
 
 
 
카페 게시글
非스포츠 게시판 북한이 통일을 지우는 데에 대한 추측
Lakers&Eagles 추천 0 조회 3,075 24.10.09 22:06 댓글 2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4.10.09 22:15

    첫댓글 충분히 생각해봄직한 주장인데... 타이밍이 너무 안좋네요. 지금 정권에 현명한 판단을 기대할 수 있을지... 통일의 치적을 강조하면 정권 재창출로 이어질 수도 있는 거대한 이슈라고 생각은 합니다. 미국은 북한의 영토를 둘러싸고 중국과 딜에 들어갈 수도 있다고 보기에 섣부른 판단은 곤란합니다. 일본은 절대적으로 우리의 통일을 반대하는 입장에 설 것이고요. 국제 여론은 하기에 따라서 우리에게 유리하게 끌어올 수 있다고 보는데, 거기서 정부가 제 몫을 다해줘야합니다만 과연 어떤 정치적 판단을 하게 될런지요. 당연하고도 미래 지향적인 통일의 길과, 뉴라이트가 정권의 상당 부분을 잠식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쉽게 속단하기 어렵습니다.

  • 작성자 24.10.09 22:20

    일본은 당연히 반대하겠지만 중국이 오는것보단 낫지 않냐고 설득하는게 좋을듯 싶어요..남중국해인가? 거기 분쟁이 이젠 동해에서까지 생길텐데..

  • 24.10.09 22:34

    @Lakers&Eagles 그렇겠죠? 어쨌든 저 이슈는 사실성은 둘째 치더라도 충분히 생각해서 방안을 마련해둬야 할 이슈라고 생각합니다.

  • 24.10.11 10:08

    중국도 그런 일 나면 내코가 석자고요 만일 당장 그게 된다면 북한주민들은 국힘을 절대 찍어주지 않습니다 그거 때문에 지역드립까지 나오거든요 옛날 소련이 겪었던 일 중국도 겪지 마라는 법 없어요 북한과 북키프로스 무너지면 중국 공산당도 무너진다에 거기털 걸겠습니다

  • 24.10.09 22:19

    이게 진짜 딜레마인게 북한을 받아줄만한 경제력이 안됩니다..당시 독일은 세계 탑2 였을거에요...제 기억이 맞다면요. 근데 우리나라는 아무리 gdp가 높아보여도 여유자금이 없거든요. 그래서 교류하고 투자하고 그리고 나서 평화통일을 해야하는건데 그 시간이 얼마 안 남았을까봐 걱정이네요..

  • 24.10.09 22:18

    그리고 당시 세계상황이랑 지금은 너무 달라요...너무 급변하거든요. 저 말이 맞더라도 중국이 쉽게 못 먹겠지만, 반대로 우리는 되냐? no죠..이게 다..하아.. 욕울 쓸 수도 없고..

  • 작성자 24.10.09 22:22

    그렇다고 중국에게 넘길 순 없잖습니까..
    어물쩡거리면 김정은 일가는 자신들의 안위를 지켜준단 약속하면 바로 넘겨버릴텐데..
    그럼 서울 바로 위가 중국이고, 서해에는 서쪽이 아닌 북쪽에서도 넘어오고 난리날텐데

  • 24.10.09 22:36

    그러니까 저런 상황이 급박하게 이뤄지더라도 대비할 수 있도록 방안을 미리 강구해둬야 한다고 봅니다. 통일 비용에 대한 고려도 그렇고, 저런 상황에 대한 생각이 아예 없었다고는 말 못합니다.

    게다가 저러한 상태의 북한을 어떻게든 우리가 받아들이지 못하면 저기서 발생하는 이익마저 놓치게 되는 거니까... 방안에 대한 고려는 있을 지언정, 받아들이느냐 마느냐의 고민의 여지는 없다고 봅니다.

  • 24.10.09 22:40

    @씩스맨 계속 해왔을겁니다. 정권이 바뀔때마다 그 방향이 달라졌겠지만요. 아프리카(일부 니라 제외)를 빼고 동북아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도 고립된 나라가 북한인걸요. 다만 우리나라 내부적으로 얼마나 그걸 받아들이냐의 문제인거죠. 겨우 끌어올리고 있던걸 지금 거덜내고..있..

  • 24.10.09 23:15

    남북협력기금이 준비되어 있습니다만, 한국 경제규모로 볼 때 턱없이 작은 규모(약 16조원)로 조성되어 있죠.

    만약 통일되면 남한 투기 막고, 북한 지역 경제력이 어느 정도 올라올 때까지 지대와 임금을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느냐가 관건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현 시점에서 나오는 이야기 들어보면, 독일 통일할 때 동독의 임금과 지대를 서독화한 것처럼 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더군요.

  • 24.10.09 23:16

    @mourning33 그 정도가 아닐거에요..동서독 격차 수준이 아니거든요. 아마 지금 조선족보다 못한 수준이 될텐데, 그건 통일도 아니고, 그걸로 인한 분란이 일어나면 내전에 가까울거라고 예상되거든요. 진짜 조심스럽게 그리고 개방의 형태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 24.10.09 23:21

    남북의 현재 차이는 당시 동서독의 차이보다 매우 크게 나죠.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임금과 지대를 남한과 같게 하면 안 되는 거죠. 말씀하신 것처럼 조심스럽게 개방, 예컨대 개성공단처럼 해야할텐데.. 깊게 생각 안하면 아마 전면 개방하겠죠.

  • 24.10.09 23:23

    @mourning33 전면개방을 하는 순간 어느 강대국에든 먹히지 않을까요? 뭔가 제3지대느낌으로요. 그냥 통일이 저는 제 생애에는 안될거 같긴힌데, 교류는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 24.10.09 23:30

    @mourning33 그쵸 개성 공단을 참조해서 단계적으로 개방해나가는 방식이 적합하다고 봅니다. 문제점은 최소화, 장점은 극대화하려면 그런 방법밖에 없을 겁니다.

  • 24.10.09 23:36

    전면 개방하는 전제가 남북이 통일된 다음에 저렇게 할 거라는 거죠. 남쪽 사람들 전면 개방에 대한 적잖은 믿음이 있는지라.. 사실 대한민국도 저개발에서 중간 단계까지 올 때 철저히 폐쇄적으로 수출로 자본축적해왔는데, 통일 후 북한에 대해서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 의외라고 생각합니다. 전면 개방을 해도 한국 재벌들이 이길 거라는 생각 때문인지는 몰라도 통일 되면 자유경쟁을 선호하더군요.

  • 24.10.09 23:37

    하지만 그 개성공단은 파괴ㅋㅋㅋㅋㅋ 웃을 일이 아닌데 어이가 없죠.

  • 24.10.09 23:40

    @mourning33 그 당시에는 수출집약적 성장이 가능 했는데 지금은 사실 불기능하죠ㅎ 그리고 개성공단은 하아...ㅆ...

  • 24.10.09 23:06

    제 생각은 좀 다른데, 동독과 달리 북한은 소스가 뭐던 간에 나름 버틸 수 있는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무너질 가능성은 적다고 봅니다. 게다가 저쪽 입장에서 본다면 이전 10년보다는 나은 수준의 경제 성장이 이뤄지고 있고요. 그리고 통일보다는 지들도 나라라는 걸 먼저 앞세우는 건 혹여나 트럼프가 다시 당선 되면 생길 가능성에 대한 선수 치는 부분이라고 봅니다.

    통일 로드맵은 햇볕정책 이상이 될만한 게 없다고 보는 입장이라 이거 날려먹은 남북 모두 통일할 생각이 없다고 생각 중입니다. 양쪽 모두 국내 정치 상황 주옥같다고 수틀리면 문 닫고, 건물 폭파하는 마당에 뭔놈에 신뢰가 생기고 다시 합칠 수가 있을까요? 동서독이 통일 된 거, 하루아침에 된 거 아니고, 수십년 간 정치 외 분야에서 협력과 교류가 있었기 때문에 된 걸 유념해야 할 것 같습니다.

    P.S. 북한이 무너지면, 중국이 북한을 먹을 거도 걱정이지만, 요새 일본 하는 꼬라지 보면 일본이 올라갈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드네요.

  • 24.10.16 18:35

    일본이 혼자도 아니고 과거 북한과 연대한 나라들이랑 세트거든요 물론 그 일도 70년대 데탕트로 말미암은 거지요

  • 24.10.09 23:27

    서서히 붕괴될 것입니다.

    이후 38선 밑으로 못 오게 전부 막고 특수경제구역 설정해서 어느 정도 발전을 시켜 놓고 나서 천천히 개방하는 게 최선이죠..

    통일 됐다고 윗쪽 사람들 바로 내려오면 한국 진짜 망합니다...

    가뜩이나 남한에서도 일자리 불균형에 양극화가 심해지면서 불만이 최고조인데 아사 직전인 사람들이 몽땅 내려온다?? 상상하기 싫어지네요..... ㅜㅜ

  • 24.10.10 00:01

    북한은 그리 간단히 무너지지 않습니다. 적어도 현 시점에서 북한이 자체적으로 무너질 가능성은 없습니다. 윤석열 정부 이후 우리나라와 러시아 사이의 관계가 소원해진 틈을 타 북한과 러시아 사이의 관계가 돈독해졌으며, 러시아와의 교역을 통해 수년 전보다 오히려 경제적으로 아쉬울 게 없는 상황입니다.
    설령 아무리 북한이 어렵다고 한들 북한 내부의 기득권층이 자신의 기득권을 버리고 뜬금없이 남한과의 통일을 원한다구요? 말도 안되는 얘기입니다.

  • 24.10.12 15:17

    저도 그 생각에 동의합니다 지금 괜히 4대세습 이야기 하겝습니까?

  • 24.10.10 11:58

    동독은 그래도 집권층이 교체도 되고 시민들이란게 존재했던 공산주의 국가였지 북한처럼 3대가 세습하던 왕조국가가 아니였죠.
    그 유례를 찾아볼수 없는 형태(독재왕조+완전폐쇄+광신성향이 모두 합쳐진)라 다른 사건으로부터 유추해서 예측하는건 의미 없을것 같습니다.

  • 24.10.10 16:05

    해외 임금이 싼 곳으로 공장을 지을 필요없이, 북한에 짓고 싼 임금으로 점점 경제활동을 시키고 자유경제주의를 맛보게 해야죠. 국내 제조업은 기회가 되지 않을까요. 건설업도 붐이 일겠고. 외국인 노동자를 쓸 필요가 없어지겠네요. 대화도 되고. 교육의 격차가 있으니 단순노동부터 생업을 시작할텐데. 현재 우리나라 사람들 힘들고 지저분한일 안하려고 하잔아요. 다 외국인이 와서 하지. 인구가 부족해지거나 노령화가 심해지는 지방으로 먼저 정착을 시키는 식으로 균형잡힌 도시개발을 도전해봐야겠네요.

  • 24.10.10 16:39

    제가 보기엔 만일 미국이 내년에 해리스가 되면 중국의 힘을 빼기 위해 북한과 그에 연관된 그런 나라 무너뜨리려 할겁니다만..뭐 북한보다는 동독에 가까운 나라가 또 있거든요

  • 24.10.10 21:07

    북한이 넘어지면 중국쪽으로 넘어질겁니다. 북한에 있는 정치 경제 외교가 다 중국과 연계되어있는데 갑자기 남쪽과 합친다는건 어불성설이죠. 북한이 무너진다면 중국(또눈 러시아)만 좋은 일 시킬겁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