鄕札향찰
신라(新羅) 때, 한자(漢字)의 음(音)과 훈(訓)을 빌려 우리말을 표음식(表音式)으로 표기(表記)하던 글. 주(主)로,
향가(鄕歌)의 표기(表記)에 이용(利用)되었음. 去隱春(간 봄), 夜音(밤) 따
위
吏讀이두
우리말을 한자(漢字)를 빌려 표기(表記)하던 방법(方法)의 하나. 문장(文章) 배열(配列)은 우리말 어순으로 하되,
조사(助詞)ㆍ어미(語尾)ㆍ부사, 기타 특수(特殊)한 용어(用語)를 한자(漢字)의 훈과 음(音)을...
鄕歌향가
향찰(鄕札)로 기록(記錄)되어 전(傳)하는 신라(新羅) 때의 노래
口訣구결
한문(漢文)의 글 뜻을 명백(明白)히 하거나 읽기 쉽게 하기 위(爲)하여 한문(漢文) 중간(中間) 중간(中間)에 끼워 넣는
우리말 요소(要素). 가령, '萬物之中厓(애) 唯人是(이) 最貴爲尼(니) (만물(萬物)...
향찰, 이두, 구결은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이전에 우리말을 표기하기 위해 한문의 뜻과 음을 빌려 적는 표기 방법입니다.
구결 [口訣]
구결(口訣)이란 ‘입겿’ 또는 ‘입겾’ 이라는 순 국어의 차자(借字)인데,
‘겿’ 또는 ‘겾’의 어원(語源)은 어떤 사물의 중요한 성질에 곁따르는 부차적인 성질의 뜻을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