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평균 천만원 이상 벌면 다 미용학원 다니지 왜 의대가려고 재수를 하겠니 애들아..
첫댓글 어이기 없네 ㅋㅋㅋㅋ
아무리 고등학생이라고 해도 이렇게 현실감각이 없나요,??
@슈발리에 어른들이 잘못한거죠
1000정도만 되도 만족이라니요 ㅠㅠ
개그 채널인가요?
진짜 어이가 없네요. 헤어 디자이너?가 수입이 저렇게 좋다면 뭐하러, 공부해서 좋은 대학가고, 혹은 의대 가겠어요. 일부 디자이너는 많이 벌기도 하겠지만요.
몰카죠? ㅋㅋㅋㅋㅋ
이게 소셜 영향도 잇다고 봐야죠..
고등학생이겠죠..2~3백도 마니버는거같은데요
한시간에 한명씩. 하루에 8명.남녀 손님 평균값 10잡고. 80.주5일. 한달(20) x 80이렇게 계산한거 아닐까요? ㅎㅎ
저 친구들은 평균치와 맥시멈을 아직 분간하지 못하는거 같네요. 농구로 치면 평득 10점을 못하는 선수도 간혹 30점을 넣는것처럼 튀는 숫자가 나올 수 있듯이 어디서나 평균을 훨씬 상회하는 1% 예외의 법칙이 있죠. 방송에 비춰지는 잘나가는 몇몇 헤어디자이너는 월 1500 넘게 벌기도 하겠지만 대부분은 300도 못넘는게 현실이고 그 사다리마저 사실상 더욱 불안정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동네 미용실 아짐혼자하시는데 장사가 나름 되는곳이거든요 (예약제같은데아님)그래서물어봤죠 얼마나버시냐고오백정도버세요? 그러니깐 삼촌나그러면장사못하지 그러시더라구요
ㄷㄷㄷ그럼 한 800버시려나요
뭐 고등학생이면 잘 모를 수도 있죠 디자이너와 매장의 수익배분율이나, 원가, 일일방문객 등에 대한 관념이 없어도 이상하지 않을테니까요 그냥 디자이너 한 명이 몽땅 서비스비용을 다 가져간다고 계산했거나, 그냥 그럴듯 해보여서 그런거 같네요
모르는건 좀 알려주는 사회가 되면 좋겠네요.
평균 200이라도 디자이너 따라 사람마다 자리마다 편차가 클듯요
모를 수 있죠~~ 너무 야박하시다 다들 ㅎㅎ
유툽으로 인기있는 미용사만 보니..맥스와 평균을 구별못하는것 같네요.
어리니까
월 천정도 벌면 행복하긴 하겠네요 ㅎ
디자이너일땐 열정페이보단 나은 정도고 세월을 잘 버텨 샵까지 차리게 됐을 때 월수입이 엄청 많아지는거 아니었나요? ㅎㅎ
예전부터 고등학생이나 대학생만 돼도 대부분 자기가 얼마를 벌 수 있는지 예측 못했습니다애들이 모를 수도 있는거지 우리네 20대 때도 특별히 날 때부터 철드는거 아니었잖아요나는 지금도 철이 안들었는데!?
일반인들이면 모를수 있지만 미용과라면 어느정도인지 알고 가야 하는거 아닌가 싶긴하네요 게다가 저정도 심하게 현실과 차이가 나면 나중에 얼마나 충격먹으려고
지인이 미용실합니다.진짜 메인상권도아니고 동네미용실인데디자이너 2이랑 같이 하면서 본인이 일 제일 많이해서 매출 2000정도나와야 500정도 가져감 확실한건 아닙니다
요즘 청년들 취업포기 관련해서 뉴스에서 인터뷰를 하는데... 최저임금은 기본으로 깔고 초봉으로 1.5배정도를 더 받아야 한다고 하더군요. 그게 아니면 취업 안한다고. 최저임금이 높아져서 아르바이트만으로 충분히 살만해졌나봐요.
첫댓글 어이기 없네 ㅋㅋㅋㅋ
아무리 고등학생이라고 해도 이렇게 현실감각이 없나요,??
@슈발리에
어른들이 잘못한거죠
1000정도만 되도 만족이라니요 ㅠㅠ
개그 채널인가요?
진짜 어이가 없네요. 헤어 디자이너?가 수입이 저렇게 좋다면 뭐하러, 공부해서 좋은 대학가고, 혹은 의대 가겠어요. 일부 디자이너는 많이 벌기도 하겠지만요.
몰카죠? ㅋㅋㅋㅋㅋ
이게 소셜 영향도 잇다고 봐야죠..
고등학생이겠죠..
2~3백도 마니버는거같은데요
한시간에 한명씩. 하루에 8명.
남녀 손님 평균값 10잡고. 80.
주5일.
한달(20) x 80
이렇게 계산한거 아닐까요? ㅎㅎ
저 친구들은 평균치와 맥시멈을 아직 분간하지 못하는거 같네요. 농구로 치면 평득 10점을 못하는 선수도 간혹 30점을 넣는것처럼 튀는 숫자가 나올 수 있듯이 어디서나 평균을 훨씬 상회하는 1% 예외의 법칙이 있죠. 방송에 비춰지는 잘나가는 몇몇 헤어디자이너는 월 1500 넘게 벌기도 하겠지만 대부분은 300도 못넘는게 현실이고 그 사다리마저 사실상 더욱 불안정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동네 미용실 아짐혼자하시는데 장사가 나름 되는곳이거든요 (예약제같은데아님)
그래서물어봤죠 얼마나버시냐고
오백정도버세요? 그러니깐 삼촌나그러면장사못하지 그러시더라구요
ㄷㄷㄷ그럼 한 800버시려나요
뭐 고등학생이면 잘 모를 수도 있죠 디자이너와 매장의 수익배분율이나, 원가, 일일방문객 등에 대한 관념이 없어도 이상하지 않을테니까요 그냥 디자이너 한 명이 몽땅 서비스비용을 다 가져간다고 계산했거나, 그냥 그럴듯 해보여서 그런거 같네요
모르는건 좀 알려주는 사회가 되면 좋겠네요.
평균 200이라도 디자이너 따라 사람마다 자리마다 편차가 클듯요
모를 수 있죠~~ 너무 야박하시다 다들 ㅎㅎ
유툽으로 인기있는 미용사만 보니..
맥스와 평균을 구별못하는것 같네요.
어리니까
월 천정도 벌면 행복하긴 하겠네요 ㅎ
디자이너일땐 열정페이보단 나은 정도고 세월을 잘 버텨 샵까지 차리게 됐을 때 월수입이 엄청 많아지는거 아니었나요? ㅎㅎ
예전부터 고등학생이나 대학생만 돼도 대부분 자기가 얼마를 벌 수 있는지 예측 못했습니다
애들이 모를 수도 있는거지 우리네 20대 때도 특별히 날 때부터 철드는거 아니었잖아요
나는 지금도 철이 안들었는데!?
일반인들이면 모를수 있지만 미용과라면 어느정도인지 알고 가야 하는거 아닌가 싶긴하네요 게다가 저정도 심하게 현실과 차이가 나면 나중에 얼마나 충격먹으려고
지인이 미용실합니다.
진짜 메인상권도아니고 동네미용실인데
디자이너 2이랑 같이 하면서 본인이 일 제일 많이해서 매출 2000정도나와야 500정도 가져감 확실한건 아닙니다
요즘 청년들 취업포기 관련해서 뉴스에서 인터뷰를 하는데... 최저임금은 기본으로 깔고 초봉으로 1.5배정도를 더 받아야 한다고 하더군요. 그게 아니면 취업 안한다고. 최저임금이 높아져서 아르바이트만으로 충분히 살만해졌나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