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1. 이분법적 가르기는 갈등과 분노를 유발하지만 갈라치는 행위 자체는 재밌는 게임이라 여러 개의 유형으로 나뉨으로서 대립이 사라지고 놀이가 시작됐다.
2. MBTI 자체에는 한계가 존재하지만 MBTI를 분석하는 것 자체를 사람들은 즐거워한다.
3. 다변화된 사회, 프레임을 여러개로 나눌수 있는 사회는 안정적인 사회이다.
ㅊㅊ - ㅇㅉㅈㅈㅅ
첫댓글 저도 공감하는 게 MBTI가 유명해지면서 서로의 다름을 조금이나마 인정하게 된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쟤는 왜 저러지 에서 아 쟤는 p라서 그렇구나 로 바뀐 거죠. 이건 아주 큰 변화라고 봐요.
동의합니다.
그냥 사람을 16개로 갈라놨을 뿐...MBTI 뭔지도 알고 싶지 않고 물어보면 모른다고 하네요.
형 T 야??? 근데 사람들은 어쨌거나 저쨌거나? F냐 T냐.. 로 갈라치기를..
저도 좋아하진 않는데 그래도 혈액형보다 천만배 나아요 ㅋㅋㅋㅋㅋ a형은 소심해져야하던..
다양하게 갈라침 ㅎㅎㅎㅎㅎ
두개로만 갈라치면 싸우는데여러개로 갈라치면 안 싸우죠 ㅎㅎㅎ여러개일 때 리더, 에이스, 지원 등이 각 역할을 하고 서로 인정하면 참 아름다운 사회가 될텐데 ㅠ
사회에서 다양성이 인정되고 다양화 되는건 아주 좋은 현상입니다예전에 MBTI로 사람 뽑는다는 회사가 있었죠 ㅎㅎ 지금도 그러나 모르겠지만최고를 위해서 한 방향으로만 달리기 하기 보다는여러방향으로 달리는게 장기적으로 발전 가능성이 훨씬 크죠그리고PC문화에 대해서 일단 거부감부터 갖기도 하지만다양화 측면에서 필요하기도 합니다정치도 다자대결이 필요하고중국도 좀 분열해야 인류에 도움이 될겁니다
재밌는 관점이고 공감도 가네요.
오. 수긍이 갑니다. 요약 막 줄이 핵심이네요.
첫댓글 저도 공감하는 게 MBTI가 유명해지면서 서로의 다름을 조금이나마 인정하게 된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쟤는 왜 저러지 에서 아 쟤는 p라서 그렇구나 로 바뀐 거죠. 이건 아주 큰 변화라고 봐요.
동의합니다.
그냥 사람을 16개로 갈라놨을 뿐...MBTI 뭔지도 알고 싶지 않고 물어보면 모른다고 하네요.
형 T 야???
근데 사람들은 어쨌거나 저쨌거나? F냐 T냐.. 로 갈라치기를..
저도 좋아하진 않는데 그래도 혈액형보다 천만배 나아요 ㅋㅋㅋㅋㅋ a형은 소심해져야하던..
다양하게 갈라침 ㅎㅎㅎㅎㅎ
두개로만 갈라치면 싸우는데
여러개로 갈라치면 안 싸우죠 ㅎㅎㅎ
여러개일 때 리더, 에이스, 지원 등이 각 역할을 하고 서로 인정하면 참 아름다운 사회가 될텐데 ㅠ
사회에서 다양성이 인정되고 다양화 되는건 아주 좋은 현상입니다
예전에 MBTI로 사람 뽑는다는 회사가 있었죠 ㅎㅎ 지금도 그러나 모르겠지만
최고를 위해서 한 방향으로만 달리기 하기 보다는
여러방향으로 달리는게 장기적으로 발전 가능성이 훨씬 크죠
그리고
PC문화에 대해서 일단 거부감부터 갖기도 하지만
다양화 측면에서 필요하기도 합니다
정치도 다자대결이 필요하고
중국도 좀 분열해야 인류에 도움이 될겁니다
재밌는 관점이고 공감도 가네요.
오. 수긍이 갑니다. 요약 막 줄이 핵심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