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社)韓國語文會 주관 . 韓國漢字能力檢定會 시행 第66回 全國漢字能力檢定試驗 特級[국가공인] 問題紙
200 문항 / 100분 시험 / 시험일자 : 2014. 08. 23.
* 성명과 수험번호를 쓰고 문제지와 답안지는 함께 제출하시오.
성명( ), 수험번호□□□-□□-□□□□
[問 1-45] 다음 밑줄 친 漢字語의 讀音을 쓰시오.
○ [1]齷齪같이 살려던 방식을 바꾸어 시골의 [2]颯爽한 공기를 마시며 [3]恬然하게 살려고 하였으나 말못할 [4]凶歉에다가 의료시설 하나 없는 벽지에서 갑자기 [5]霍亂이나 [6]痙攣이 일어날까봐 두려움을 느끼게 되었다.
○ 길에는 [7]杇人, [8]褧衣를 입은 이, [9]褎如한 이, [10]壚頭에서 [11]夜餤을 즐기던 선비들이 득실거렸으나 [12]丘冢에는 [13]凌霄화만 피어 있어 [14]廋辭라 아니할 수 없다.
○ [15]郤詵 같은 선비라고 해서 그에게 국사를 맡겼더니 [16]糜軀하기는 커녕 [17]憝魁 같이 변하여 [18]餼廩에 만족하지 않고 만사에 [19]壟斷만 일삼고 [20]裒斂과 [21]窬牆에 힘써서 [22]嘑吸사이에 거금을 축재하였다.
○ 그는 너무 [23]易輶하고 [24]挈缾에 능하며 [25]噬臍를 인정하여 [26]洒心하지 않으며 [27]零歇한 일에도 집착하며 [28]劬勞를 몰라서 [29]蘭嶊한 일에도 [30]罵罵를 서슴지 않는다.
○ 대궐의 [31]瑣門을 들어서면 [32]觥酌하는 이들이 [33]賡歌하는 모습을 볼 수도 있었고, 하늘에서 [34]翶翔하는 [35]鴇羽들을 [36]覿面할 수도 있었다.
○ 박첨지가 [37]轂擊하는 벼슬살이에서 [38]闋服한 뒤로는 세태를 보고 [39]喟喟하는 일이 적어졌다.
○ 세상일에는 [40]刖趾 같은 일, [41]煩聒하는 이, [42]孱劣한 이, 모든 일을 [43]攸爾로 넘기는 이, [44]孶孶한 이, [45]憖(은)憖으로 하는 이들이 있다.
[問 46-85] 다음 밑줄 친 漢字語의 漢字를 正字로 쓰시오.
○ 권세가들이 [46]발호하고 사사건건 [47]용훼하니 [48]맥박이 뛰어 사업 중단을 [49]번민하게 되었다.
○ 심산궁곡에서 [50]포효하고 [51]배회하던 맹수들이 전란 중 [52]초연에 놀라 모두 도산하고 말았다.
○ 세상에 [53]팽배한 [54]사치 풍조를 바로잡는 일은 검약정신 [55]함양과 교육밖에 없다.
○ 온갖 [56]간난을 겪었어도 그는 [57]해학을 잊지 않았다.
○ 계속되는 [58]한발로 [59]발효 식품의 [60]맹아도 자라지 않았다.
○ 그는 어릴 때 [61]숙성했다는 소리를 들었다.
○ 외국 어선을 불법 [62]어로 협의로 [63]예인해 왔다.
○ [64]겸손이 미덕임은 [65]췌언이 필요치 않다.
○ 물가가 [66]용동(용솟음치다)하고 시장 질서가 [67]교란되어 위자받을 곳도 없다.
○ 대기업 경영자의 죄악을 이번처럼 [68]천착하는 일은 [69]희한한 일이다.
○ [70]타성에 빠져서 구학설의 [71] 잔재를 [72]불식시키지 못하는 그의 학설은 자가 [73]당착에 빠져 있다.
○ 편지 첫머리에서 제번 또는 [74]산만이라고도 한다.
○ 관행만을 [75]표방하는 구습의 [76]속박에서 벗어나야 한다.
○ 여래의 공덕을 [77]범패로 노래한다.
○ 그는 [78]영어의 몸에서 요직에 [79]발탁되었다.
○ [80]치한 소리를 듣던 그가 [81]종적을 감추었다.
○ [82]제언(둑)같은 판잣집에 살던 집에 [83]서광이 비추인다.
○ 늘 [84]조소를 받던 친구가 세상을 뜨니 그래도 [85]오열하는 이가 있었다.
[問 86-112] 다음 漢字의 訓과 音을 쓰시오.
[ 86] 鏘 [ 87] 埻 [ 88] 頤 [ 89] 煒 [ 90] 廱 [ 91] 咏 [ 92] 儐 [ 93] 栻 [ 94] 盎
[ 95] 燄 [ 96] 畀 [ 97] 玿 [ 98] 侜 [ 99] 龥 [100] 蹝 [101] 挹 [102] 訏 [103] 蜉
[104] 鋈 [105] 埽 [106] 軷 [107] 睨 [108] 揜 [109] 鑠 [110] 奘 [111] 塽 [112] 熠
[問 113-122] 다음 漢字의 部首를 쓰시오.
[113] 熲 [114] 睘 [115] 虢 [116] 孱 [117] 孶 [118] 鬨 [119] 魋 [120] 盪 [121] 燄 [122] 裒
[問 123-132] 다음 漢字語들 가운데 첫 音節이 長音인 것의 번호를 쓰시오.
[123] ① 稼穡 ② 葭簾 ③ 家力 ④ 可憐
[124] ① 單衾 ② 斷琴 ③ 鍛金 ④ 團結
[125] ① 都城 ② 圖像 ③ 倒産 ④ 桃色
[126] ① 忘却 ② 罔極 ③ 網膜 ④ 妄想
[127] ① 賻儀 ② 孵化 ③ 斧斤 ④ 浮橋
[128] ① 据置 ② 巨物 ③ 車軸 ④ 居士
[129] ① 東洋 ② 銅鏡 ③ 凍結 ④ 同質
[130] ① 擡頭 ② 臺地 ③ 隊形 ④ 對答
[131] ① 昆布 ② 棍杖 ③ 坤官 ④ 困厄
[132] ① 櫓聲 ② 老患 ③ 擄掠 ④ 爐炭
[問 133-142] 다음 주어진 뜻에 맞는
同音異義語를 漢字(正字)로 쓰시오.
[133] 財源 : ( ) 재주가 있는 여자.
[134] 長策 : ( ) 책을 꾸미어 만들다.
[135] 堅忍 : ( ) 끌어 당김.
[136] 悾款 : ( ) 공적으로 쓰는 저택.
[137]茲其 : ( ) 사기 그릇.
[138] 簸箕 : ( ) 깨뜨리커나 찢어서 내버림.
[139] 脊髓 : ( ) 외손, 매우 외로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40] 珍羞 : ( ) 모든 별자리의 별들.
[141] 電池 : ( ) 가지치기
[142] 著作 : ( ) 음식을 입에 넣고 씹음.
[問 143-152] 다음 ( ) 안에 알맞은 漢字를 써넣어 四字成語를 完成하시오.
[143] 乾坤一( ) : 결판.
[144] 曲突( )薪 : 화근 예방.
[145] 明珠彈( ) : 소탐대실.
[146] 杯盤( )藉 : 어지러움.
[147] 窮( )勿迫 : 피할 곳을 터줌.
[148] 負( )請罪 : 자기 반성.
[149] 上下( )石 : 임시변통.
[150] 雪泥鴻( ) : 생자필멸.
[151] 臥薪嘗( ) : 보복.
[152] ( )轉反則 : 잠을 못 이룸.
[問 153-162] 다음 漢字語의 反義語(相對語)를 漢字(正字)로 쓰시오.
[153] 歸納 ↔ ( )
[154] 懶怠 ↔ ( )
[155] 飢餓 ↔ ( )
[156] 敷衍 ↔ ( )
[157] 萎縮 ↔ ( )
[158] 讓位 ↔ ( )
[159] 創造 ↔ ( )
[160] 刹那 ↔ ( )
[161] 迎接 ↔ ( )
[162] 敏捷 ↔ ( )
[問 163-172] 다음 漢字語의 類義語를 漢字(正字)로 쓰시오.
[163] 繩矩 - ( )
[164] 層宵 - ( )
[165] 嚆矢 - ( )
[166] 佼童 - ( )
[167] 枌楡 - ( )
[168] 頒布 - ( )
[169] 陳套 - ( )
[170] 嫁娶 - ( )
[171] 巾櫛 - ( )
[172] 軋轢 - ( )
[問 173-175] 다음 漢字語의 略字를 쓰시오.
[173] 戀
[174] 蠶
[175] 擡
[問 176-180] 다음 漢字語의 뜻을 쓰시오.
[176] 繁縟
[177] 聲嘶
[178] 瀟灑
[179] 糜爛
[180] 罄竭
[問 181-200] 다음 漢文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阿莘王六年 ①出質於倭國 十四年 王薨 王仲弟訓解攝政 以待②太子還國 季弟碟(접시 접)禮殺訓解 自立爲③王 .支在倭④聞訃 哭泣請歸 倭王以兵士百人衛送 旣至國界 漢城人解忠來告曰 ⑤大王棄世… 願⑥ 太子無輕入.
[181] ①出質於倭國의 뜻을 쓰시오.
[182] 여기의 ②太子가 누구인지 쓰시오.
[183] 여기의 ③王은 누구인지 쓰시오.
[184] 여기의 ④聞訃은 누구의 부모인지 쓰시오.
[185] 여기의 ⑤大王은 어느 王인지 쓰시오.
[186] 여기의 ⑥太子는 누구인지 쓰시오.
○ 脫解齒叱今 南解王時 駕洛國海中 ①有船來泊 其國首露王 與臣民 ② 鼓譟(躁)向迎迎 將欲留之 ③而舡乃飛走.
[187] ①有船來泊의 뜻을 쓰시오.
[188] ②鼓譟(躁)向迎
[問 181-200] 다음 漢文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阿莘王六年 ①出質於倭國 十四年 王薨 王仲弟訓解攝政 以待②太子還國 季弟.(접시 접)禮殺訓解 自立爲③王 腆支在倭④聞訃 哭泣請歸 倭王以兵士百人衛送 旣至國界 漢城人解忠來告曰 ⑤大王棄世… 願⑥ 太子無輕入.
[181] ①出質於倭國의 뜻을 쓰시오.
[182] 여기의 ②太子가 누구인지 쓰시오.
[183] 여기의 ③王은 누구인지 쓰시오.
[184] 여기의 ④聞訃은 누구의 부모인지 쓰시오.
[185] 여기의 ⑤大王은 어느 王인지 쓰시오.
[186] 여기의 ⑥太子는 누구인지 쓰시오.
○ 脫解齒叱今 南解王時 駕洛國海中 ①有船來泊 其國首露王 與臣民 ② 鼓.(躁)向迎 將欲留之 ③而舡乃飛走.
[187] ①有船來泊의 뜻을 쓰시오.
[188] ②鼓譟(躁)向迎의 뜻을 쓰시오.
[189] ③而舡乃飛走의 뜻을 쓰시오.
○ 國內諸州郡 ①不輸貢賦 ②府庫虛竭 ③國用窮乏 ④王發使督促 由是所在 盜賊蜂起.
[190] ①不輸貢賦의 뜻을 쓰시오.
[191] ②府庫虛竭의 뜻을 쓰시오.
[192] ③國用窮乏의 뜻을 쓰시오.
[193] ④王發使督促의 뜻을 쓰시오.
○ 子曰 事父母幾諫, ①見志不從 ②又敬不違 ③勞而不怨.
[194] ①見志不從의 뜻을 쓰시오.
[195] ②又敬不違의 뜻을 쓰시오.
[196] ③勞而不怨의 뜻을 쓰시오.
○ 子曰 父母在不遠遊 ①遊必有方.
○ 子游曰 ②事君數 ③斯辱矣 朋友數 ④斯疏矣.
[197] ①遊必有方의 뜻을 쓰시오.
[198] ②事君數의 뜻을 쓰시오.
[199] ③斯辱矣의 뜻을 쓰시오.
[200] ④斯疏矣의 뜻을 쓰시오.
(躁)向迎의 뜻을 쓰시오.
[189] ③而舡乃飛走의 뜻을 쓰시오.
○ 國內諸州郡 ①不輸貢賦 ②府庫虛竭 ③國用窮乏 ④王發使督促 由是所在 盜賊蜂起.
[190] ①不輸貢賦의 뜻을 쓰시오.
[191] ②府庫虛竭의 뜻을 쓰시오.
[192] ③國用窮乏의 뜻을 쓰시오.
[193] ④王發使督促의 뜻을 쓰시오.
○ 子曰 事父母幾諫, ①見志不從 ②又敬不違 ③勞而不怨.
[194] ①見志不從의 뜻을 쓰시오.
[195] ②又敬不違의 뜻을 쓰시오.
[196] ③勞而不怨의 뜻을 쓰시오.
○ 子曰 父母在不遠遊 ①遊必有方.
○ 子游曰 ②事君數 ③斯辱矣 朋友數 ④斯疏矣.
[197] ①遊必有方의 뜻을 쓰시오.
[198] ②事君數의 뜻을 쓰시오.
[199] ③斯辱矣의 뜻을 쓰시오.
[200] ④斯疏矣의 뜻을 쓰시오.
<끝>. - 수고하셨습니다. -
제66회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특급[국가공인] 답안지(1)
1 악착 2 삽상 3 염연 4 흉겸 5 곽란 6 경련 7 오인 8 경의 9 유여 10 노두 11 야담 12 구총 13 능소 14 수사 15 극선 16 미구 17 대괴 18 희름 19 농단 20 부렴 20 부렴 21 유장 22 호흡 23 이유 24 설병25 서제 26 세심 27 영헐 28 구로 29 난최 30 매리 31 쇄문 32 굉작 33 갱가 34 고상 35 보우 36 적면 37 곡격 38 결복 39 위위 40 월지 41 번괄 42 잔렬 43 유이 44 자자 45 은은 46 跋扈 47 容喙 48 脈搏 49 煩悶 50 咆哮 51 徘徊 52 硝煙 53 澎(彭)湃 54 奢侈 55 涵養 56 艱難 57 諧謔 58 旱魃 59 醱酵 60 萌芽 61 夙成 62 漁撈 63 曳引 64 謙遜 65 贅言 66 聳動 67 攪亂 68 穿鑿 69 稀罕 70 惰性 71 殘滓 72 拂拭 73 撞着 74 刪蔓 76 束縛 77 梵唄 78 囹圄 79 拔擢 80 癡漢 81 踪(蹤)跡(迹) 82 堤堰 83 曙光 84 嘲笑 85 嗚咽 86 옥소리 장 88 턱 이 89 빛날 위
90 막힐 옹 91 읊을 영 92 인도할 빈 94 동이 앙 95 불당길 염 96 줄 비 97 아름다운옥 소 98 가릴 주 99 부르짖을 유 100 천천히걸을 사 101 뜰/읍할 읍 102 속일 우 103 하루살이 부 104 도금할 옥 105 쓸 소 106 길제사 발 107 흘겨볼 예 108 가릴 엄 109 쇠녹일 삭 109 쇠녹일 삭 110 클 장 111 높고밝은땅 상 112 빛날 습 113 火 114 目 115. 虍116. 子 117. 子 118. 鬥 119. 鬼 120. 皿 121. 火 122. 衣 123.④可憐 124.②斷琴 125. ③倒産 126.④妄想 127.①賻儀 128.②巨物 129.③凍結 130.④對答 131.④困厄 132.②老患 133. 才媛 134. 粧冊 135. 牽引 135. 牽引 136. 公館 137. 瓷器 138. 破棄 139. 隻手 140. 辰宿 141. 剪枝 14.1 剪枝 142. 咀嚼 143.擲 144.徙 145. 雀 146. 狼 146. 狼 147. 寇 148. 荊 149. 撐 150. 爪 151. 膽 152. 輾 153. 演繹 154. 勤勉 155. 飽食 156. 省略 157. 潑剌 158. 受禪 159. 模倣 160. 永劫 16.1 餞送 162. 遲鈍 163. 規範 164. 九天 165. 權與 166. 嬌兒 167. 故鄕 168. 公告 169. 古式 170. 結婚/婚姻 17.1 梳洗 172. 葛藤 173.恋 174. 蚕 175. 坮 176. 번거롭고 까다로운 규칙과 예절 177. 목이 쉼 178. 기운이 맑고 깨끗함 179. 썩어 문드러짐 180. 돈이나 물건이 다 없어짐181 왜국에 인질로 가다 182 인질로 간 이(아신왕 아들) 183 碟禮184 訓解185 訓解186 腆支 187 배가 와서 정박하다 188 북을 치고 환영하다 189 배를 타고 날아갈듯 가다 190 공부(세금)를 바치지 않다 191 나라 곳간이 마르다 192 국가 재정이 어렵다 193 왕이 사자를 보내 독촉하다 194 부모 뜻이 자기를 따르지 않다 195 경의를 잃지 않고 거슬리지 않는다 196 힘들었어도 원망하지 않는다 197 놀면 반드시 행방을 밝힌다 198 임금을 너무 자주 섬기다 199 굴욕을 당한다 200 멀어진다
------------------------------------------------------------------------------
<해설>
1. 齷齪(악착) ① 도량이 좁고 악지스러움 ② 잔인하고 끔찍스러움 ③ 아득바득하는 것이 몹시 이악함.
2. 颯爽(삽상) ① 바람이 시원하게 불어 상쾌함 ② (태도나 행동이) 가든가든하여 날렵함
3. 恬然(염연) 아무 욕심이 없이 마음이 편안함
4. 凶歉(흉겸) 농작물이 잘 되지 않은 해. 凶年(흉년). 凶歲(흉세). 歉年(겸년), 歉歲(겸세). 饑年(기년). 饑歲(기세). 災年(재년). 荒年(황년). 荒歲(황세).
5. 霍亂(癨亂, 곽란) 음식이 체하여 토하고 泄瀉(설사)를 하는 급성위장병
6. 痙攣(경련) 근육이 발작적으로 收縮(수축)하는 현상
7. 杇人(圬人, 오인) 미장이. 泥工(이공). 泥匠(이장). 獿人(노인). 獿 1. 원숭이 노(猱) 2. 미장이 노
8. 褧衣(絅衣, 경의) 홑옷. 褧 홑옷 경(絅). 衣錦尙褧(絅)
9. 褎如(유여) 옷을 잘입는 모양. .褎如充耳(유여충이) 옷을 잘 입고 귀막이(瑱)을 함.외모는 훌륭하나 간언・충고를 듣지 않음
10. 壚頭(노두) 술집. 木爐酒店(木壚酒店, 목로주점). 壚 1. 검은 석비레 로 2. 목로 로(櫨) 3. 화로 로(爐)
11. 夜餤(야담) 벗과의 유쾌한 밤 이야기.
12. 丘冢(丘塚, 구총) 무덤. 丘壟(丘隴, 구롱). 丘墓(구묘). 丘墳(구분). 丘塋(구영). 丘兆(구조)
丘壟(丘隴, 구롱) 丘墳(구분) |
1. 언덕 |
丘岡(구강). 丘陵(구릉). 丘封(구봉). 丘阜(구부). 丘坻(구저) |
2. 무덤 |
丘壟(丘隴, 구롱). 丘墓(구묘). 丘墳(구분). 丘塋(구영). 丘兆(구조) |
13. 凌霄(능소) 능소화과의 낙엽관목. 凌霄花(陵霄花, 능소화). 양반꽃. 金藤花(금등화). 藤羅花(등라화). 茈葳(紫葳, 자위). 墮胎花(타태화)
14. 廋辭(수사) 廋辭(수사) 수수께끼. 은어. 廋詞(수사), 廋語(수어). 謎語(미어). 讔語(은어)
廋
15. 郤詵(극선) 진(진)나라 무제(武帝)때의 관리. 郤 틈 극(隙, 郄)
16. 糜軀(미구) 힘을 다하여 노력함. 粉骨碎身(분골쇄신). 分身碎骨(분신쇄골). 碎骨分身(쇄골분신). 糜 1. 죽 미 2. 싸라기 미 3. 문드러질 미 4. 소비할 미 5. 쓰러질 미(靡)
17. 憝魁(대괴) 원망이 큼(?). 憝 1. 원망할 대 2. 모진 사람 대
18. 餼廩(희름) 희름(餼廩) : 국고(國庫)의 식량. 벼슬아치의 봉록으로 받는 쌀. 제사에 쓰는 고기(肉類)와 곡식류(米穀類). 餼 1. 보낼 희 2. 쌀 희 3. 꼴 희 4. 犧牲(희생) 희
19. 壟斷(隴斷, 농단) 이익이나 권리를 독차지함. 獨占(독점)
20. 裒斂(부렴) 조세를 많이 거둠. 裒會(부회). 箕斂(기렴). 箕會(기회). 裒 1. 모을 부, 모일 부 2. 줄 부, 덜 부.掊克(부극) 苛斂誅求(가렴주구) 조세 따위를 가혹하게 거두어 들여 백성을 못살게 들볶음.
21. 窬牆(유장, 두장) 담에 구멍을 뚫음. 窬牆鑽穴(유장찬혈) 담에 구멍을 뚫음(남의 집 재물이나 여자를 탐내어 몰래 들어감), 窬牆穿穴(유장천혈). 1. 窬 협문 유, 협문 두 2. 뚫을 유, 뚫을 두
22 嘑吸(호흡) 嘑 1. 부르짖을 호(呼) 夜嘑旦<周禮> 2. 꾸짖을 호 嘑爾而與之<孟子>
23. 易輶(이유) 가벼움. 易輶攸畏(이유유외) 屬耳垣墻(속이원장) (군자는 말을) 쉽고 가볍게 하는 것을 두려워 할 바라 담장에도 귀가 붙어 있는 것같이, 말을 경솔히 하지 말라. “가벼움을 삼가고 말조심하라”
輶
1. 가벼울 유 德輶如毛
2. 수레 유 輶車鸞鑣(유차난포)
輶車(유차) 가뿐한 수레. 輕車(경차)
輶軒(유헌) 가뿐한 수레. 勅使(칙사)가 타는 수레
24. 挈缾(설병) 손에 가지고 다니다. 挈缾之知(설병지지) 손에 가지고 다닐만한 작은 병에 들어갈 정도의 작은 지혜. 小智(소지)
挈 1. 끌 설 2. 가지런히할 설 3. 끊을 계 4. 다스릴 계 5. 문서 계(契). 缾 두레박 병
25. 噬臍(서제) 배꼽을 물어 뜯으려해도 입이 닿지 않음. 噬臍莫及(서제막급). 後悔莫及(후회막급). 噬 1. 물 서 2. 미칠 체(逮) 臍 배꼽 제
26. 洒心(세심) 마음을 씻음. 洒心自新(세심자신) 마음을 씻고 기분을 새롭게 가짐.
洒
1. 뿌릴 쇄(灑) 洒埽(洒掃, 灑掃, 쇄소) 물을 뿌리고 비로 쓺.
2. 시원할 쇄 洒洒落落(쇄쇄낙락), 瀟洒(瀟灑, 소쇄). 胸中洒落, 如光風霽月<十八史略>
3. 씻을 세(洗) 洒濯其心(세탁기심)<좌전>
4. 엄숙할 선 君子之飮酒, 受一爵, 而色洒如也<禮記>
5. 깊을 선 望厓洒而高岸<爾雅>
6. 뿌릴 선 屑桂與薑 以洒其上<예기>
7. 떨 선 令人洒洒時寒<素問>
8. 놀랄 선 羣臣無不洒然變色易容者<사기>
8. 험할 최 新臺有洒
27. 零歇(영헐) 쇠(衰)함. 零落(영락)
28. 劬勞(구로) 劬錄(구록). ① 힘을 들여 일하여 피로함 ②자식을 낳아 기르는 수고. 劬 힘들일 구
29. 蘭嶊(난최) 玉折蘭嶊(옥절난최) 난초가 부러지고 옥이 부수어짐. 훌륭한 사람의 죽음. 玉折(옥절). 玉嶊(옥최)
30. 罵詈(매리) 매우 꾸짖어 욕함. 罵 욕할 매. 詈 꾸짖을 리. 罵詈雑言(매리잡언) 온갖욕설)
31. 瑣門(쇄문) 쇄사슬 모양의 대궐의 문. 瑣 1. 잘 쇄 2. 천할 쇄 3. 가루 쇄 4. 쇄사슬 쇄(鎖, 鏁, 鎻)
32. 觥酌(觵酌, 굉작) 觥(觵) 1. 뿔잔 굉 我姑酌彼兕觥(아고작피시굉)<詩經>2. 클 굉 3. 꿋꿋할 굉. 뿔잔. 뿔로 만든 큰 술잔.
33. 賡歌(갱가) 남이 부르는 노래에 화답하여 노래함. 賡唱(갱창). 賡 이을 갱.
34. 翶翔(고상) 1. 빙빙 돌며 낢(翶<고> : 새가 날개를 위아래로 흔드는 것. 翔<상> : 날개를 움직이지 아닐함) 2. 발호(跋扈)함 3. 방황(彷徨)함 4. 뛰놂. 翶 날 고. 翔 날 상
35. 鴇羽(보우) 너새 깃털. 鴇 1. 능에(너새) 보 2. 오총이 보
駂母(보모) 기생어미. 駂羽之嗟(보우지차) 신민이 전쟁에 종사하여 부모를 봉양 못하는 한탄.
36. 覿面(적면) 눈앞. 目前(목전). 覿 볼 적.
37. 轂擊(곡격) 수레바퀴통끼리 서로 부딪침. 차량의 왕래가 많음. 轂擊肩摩(곡격견마) 수레의 바퀴통들이 서로 부딪치고 사람이 어깨를 서로 스침. 번화하여 사람과 차량의 왕래가 많음. 肩摩轂擊(견마곡격). 轂 1. 바퀴통 곡 2. 수레 곡 3. 밀 곡 4. 묶을 곡. 輦轂之下(연곡지하). 轂下(곡하) 천자가 타는 수레 밑. 서울
38. 闋服(결복) 부모 3년상을 마침. 解喪(해상). 脫喪(탈상)
결복서용(闋服署用) 결복(闋服)이란 3년상(年喪)의 복제(服制)를 마치는 것으로서 상(喪) 을 당하여 벼슬에서 물러났던 사람을 탈상(脫喪) 후에 다시 기용(起用)하는 것
39. 喟喟(위위, 위위) 연거푸 한숨 쉬는 모양. 喟 1. 한숨쉴 위 2. 한숨 위. 喟然(위연) 탄식하는 모양
40. 刖趾(월지). 刖趾適屨(월지적구). 刖趾適履屨(월지적리) 발꿈치를 잘라 신에 맞춘다<魏志 明帝紀>. 本末顚倒(본말전도).主客顚倒(주객전도). 刖(跀, 䏓) 발꿈찌벨 월
41. 煩聒(번괄) 왁자지껄함. 시끄러움, 떠들썩함. 噪聒(조괄). 喧聒(훤괄).
聒 1. 떠들썩할 괄 2. 어리석을 괄 3. 올챙이 괄
哤聒(방괄) 난잡하고 떠들썩함
聒聒(괄괄) ① 어리석은 모양 ② 씨끄러운 모양
聒聒兒(괄괄아) 여치. 螽斯(종사). 蜙蝑(송서). 促織(촉직)
聒子(괄자) 올챙이. 玄魚(현어). 蝌蚪(과두)
42. 孱劣(잔렬) 孱弱(잔약)하교 庸劣(용렬)함. 孱 1. 잔약할 잔 2. 높을 참(巉)
43. 攸爾(유이) 태연한 모양, 빠른 모양
44. 孶孶(자자) 부지런히 힘쓰는 모양. 孜孜(자자). 孶 1. 부지런할 자(孜) 2. 불을 자, 우거질 자 3. 낳을 자
45. 憖憖(은은) 삼감, 恭謹(공근)함. 憖(속 憗) 1. 억지로 은 2. 원할 은 3. 부족할 은 4. 어조사 은
46. 跋扈(발호) 함부로 세력을 휘두르거나 제멋대로 날뜀. 陸梁(육량)
47. 容喙(용훼) 말참견함.
48. 脈搏(맥박) 심장의 搏動(박동)에 따라 일어나는 動脈壁(동맥벽)의 주기적인 파동.
49. 煩悶(번민) 마음이 번거롭고 답답하여 괴로워함.
50. 咆哮(포효) ① (사나운 짐승이) 크게 울부짖음 ② (사람이) 크게 외침.
51. 徘徊(배회) 목적없이 이리저리 거닒. 遲徊(지회).
52. 硝煙(硝烟, 초연) 화약의 연기.
53. 澎湃(彭湃, 泙湃, 팽배)① 물결이 서로 부딪쳐서 솟구침 ② (어떤 사조나 기운 따위가) 맹렬한 기세로 일어남.
54. 奢侈(사치) ① 분수에 넘치게 옷・음식・거처 따위를 치레함 ② 분수에 넘치게 호사스러움
55. 涵養(함양) ① (자연스럽게 터득하도록) 차차 길러냄 ② (학식을 넓혀서) 심성을 닦음. 涵育(함육)
56. 艱難(간난) ① (하는 일이) 힘들고 고생스러움 ② 가난의 본딧말
57. 諧謔(해학) 익살스러우면서 풍자적인 말이나 짓. 유모(humor).
58. 旱魃(한발) ① 가물 旱乾(한건). 旱氣(한기)② 가물을 맡은 귀신. 旱鬼(한귀)
59. 醱酵(발효) 酵母(효모)・細菌(세균)・곰팡이 등의 작용으로 유기물이 분해 또는 산화・환원하여 알코홀이나 탄산가스 등으로 변화는 현상.
60. 萌芽(맹아) ① 식물에 새로 튼 싹 ② 새로운 일의 시초 또는 그러한 조짐이 나나타나는 것
61. 夙成(숙성) 어린 나이에 비해 정신적・육체적 발육이 올된 데가 있음. 早熟(조숙)
62. 漁撈(어로) 물고기・조개・바닷말 따위를 잡거나 채취함
63. 曳引(예인) (배・잠수함 따위를) 끌어 당김
64. 謙遜(謙巽, 겸손) 남을 높이고 자신을 낮추는 태도가 있음.
65. 贅言(췌언) 쓸데없는 군더더기 말. 謙巽(췌담). 贅辭(췌사).
66. 聳動(용동) 깜짝 놀람. 聳 1. 솟을 용 2. 솟게할 용 3. 두려워할 송(竦) 4. 권할 송 5. 공경할 송
67. 攪亂(捁亂, 교란) 뒤 흔들어 어지럽게함. 攪撓(교요)
68. 穿鑿(천착) ① 구멍을 뚫음 ② (어떤 내용이나 원인따위를) 파고 들어 알려고 하거나 연구함 ③ 꼬치 꼬치 캐묻거나 억지로 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함.
69. 稀罕(희한) 썩 드묾. 썩 신기하거나 귀함.
70. 惰性(타성) ① (어떤 동작이나 경험으로) 굳어진 버릇 ② 慣性(관성) 물체가 외부의 작용을 받지 않는한 정지 또는 운동의 상태를 계속 유지해 나가려는 성질.
71. 殘滓(잔재) 남은 찌꺼기. 殘渣(잔사). cf. 殘在(잔재) 남아 있음.
72. 拂拭(불식) 말끔하게 씻어 없앰
73. 撞着(당착) ①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서로 맞지 아니함 ② 서로 맞부딪침.
74. 刪蔓(삭만) 인사를 빼고 바로 할말로 들어가겠다는 뜻(편지글 첫머리에 쓰는 말).
76. 束縛(속박) 사람의 행동의 자유를 빼앗음.
77. 梵唄(범패) ① 석가여래(석가모니)의 공덕을 찬양하는 모래. 偈頌(게송) ② 불경을 읽을 때 곡조에 맞게 읊는 소리.
78. 囹圄(囹圉, 영어) ① 옥. 감옥. 狴犴(폐안) ② 감옥에 있는 상태
狴犴(폐안) |
감옥 |
囹圄(영어). 牢犴(뇌안). 圄犴(어안). 獄犴(옥안). 狴牢(폐뢰). 牢獄(뇌옥) |
들개 |
野犬(야견) |
79. 拔擢(발탁) 많은 사람 가운데 특별히 사람을 뽑아 씀. 擢拔(탁발).
80. 癡漢(치한) ① 癡人(치인). 癡者(치자). 어리석고 못난 사람 ② 여자를 희롱하는 사내.
81. 踪跡(踪迹, 蹤跡, 蹤迹, 종적) ① (어떤 일이 일어난) 뒤에 드러난 모양이나 흔적 ② 발자취 또는 행적. 踪(蹤) 발자취 종. 跡 1. 자취 적(蹟, 迹) 2. 뒤 밟을 적. 蹟 1. 자위 적(跡,迹) 2. 좇을 적. 迹 1. 자취 적(跡, 蹟) 2. 좇을 적 3. 상고할 적
82. 堤堰(隄堰, 제언) 물을 가두기 위하여 하천이나 골짜기 따위에 쌓은 둑. 堰堤(언제)
83. 曙光(서광) ① 동이 틀 때 비치는 빛. 晨光(신광) ② 일의 전도에 나타나기 시작한 희망적 징조
84. 嘲笑(조소) 비웃음. 嘲哂(조신). 哂笑(신소). 嘲 비웃을 조. 哂 웃을 신
85. 嗚咽(인후) 목구멍
86. 옥소리 장(鏘)87. 과녁 준(埻) 88. 턱 이(頤) 89. 빛날 위(煒) 90. 막힐 옹(廱) 91. 읊을 영(咏, 詠) 92. 인도할 빈(儐) 94. 동이 앙(盎) 95. 불당길 염(燄) 96. 줄 비(畀, 𢮧) 97. 아름다운옥 소(玿) 98. 가릴 주(侜) 99. 부르짖을 유(龥) 100. 천천히걸을 사(蹝) 101. 뜰/읍할 읍(挹) 102. 속일 우(訏) 103. 하루살이 부(蜉) 104. 도금할 옥(鋈) 105. 쓸 소(埽, 掃) 106. 길제사 발(軷) 107. 흘겨볼 예(睨) 108. 가릴 엄(揜) 109. 쇠녹일 삭(鑠) 110. 클 장(奘) 111. 높고밝은땅 상(塽) 112. 빛날 습(熠)
113. 火(熲 빛 경) 114. 目(睘, 瞏 1. 놀라서 볼 경 2. 돌아올 선) 115. 虍 (虢 손톱자국 괵) 116 子(孱 병약할 잔) 117 子(孶 1. 부지런할 자(孜) 2. 불을 자, 우거질 자 3. 낳을 자) 118 鬥(鬨 1. 싸울 홍, 싸울 항 2. 떠들 홍, 떠들 항) 119 鬼 (魋 1. 몽치 추, 몽둥이 추(椎) 2. 사람이름 퇴. 桓魋) 120 皿 (盪 1. 움직일 탕 2. 씻을 탕(蕩) 3. 방종할 탕) 121 火(燄, 焰, 爓 1. 불꽃 염(炎, 焱, 爓) 2. 불 조금 타오를 염) 122 衣 (裒 1. 모을 부, 모일 부 2. 줄 부, 덜 부.)
123 ④可憐 124 ②斷琴 125 ③倒産 126 ④妄想 127 ①賻儀 128 ②巨物 129 ③凍結 130 ④對答 131 ④困厄 132 ②老患
133. 才媛(재원) 재주가 있는 젊은 여자. 財源(장책) 재화나 재정의 원천
134. 粧冊(糚冊, 糚册, 妝册, 재원) 책을 꾸미어 만들다. 長策(장책) 좋은 계책. 良策(양책)
135. 牽引(견인) 끌어 당김. 견예(견예). 堅忍(견인) 굳게 참고 견딤. 堅靭(견인) 단단하고 질김
136. 公館(공관) 공적으로 쓰는 저택. 悾款(공관) 정성, 성의. 空罐(공관) 빈깡통. 空館(공관) 성균관 유생들이 불만이 있을 때에 단결하여 관에서 물러나던 일
137. 瓷器(磁器, 자기) 사기 그릇. 茲其(鎡基, 자기) 호미, 큰 호미. 자기(自己) 그 사람 자신. 自記(자기) ① 스스로 기록함 ② 기계가 자동적으로 기록하는 일. 自起(자기) ① 남의 힘을 빌리지 않고 스스로 일어남 ② 저절로 일어남. 自期(자기) 스스로 마음속에 기약함. 自欺(자기) 자기의 양심을 속임, 자기기만(自己欺瞞). 磁氣(자기) 자석이 철을 끌어들이는 작용.
138. 破棄(파기) ① 깨뜨리커나 찢어서 없애버림 ② (계약・조약・약속 따위를) 취소하여 무효로 함 ③ 소송에서 후심법원이 상소 이유가 있다고 인정하여 원심판결을 취소하는 일. 破毁(파훼). 簸箕(파기) 키로 곡식을 까불음. 簸揚(簸颺, 파양). 破器(파기) 깨어진 그릇.
139. 隻手(척수) 외손, 매우 외로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脊髓(척수) 척추의 관 속에 들어 있는 신경중추. 뇌와 말초신경 사이의 자귻전달과 반사 기능을 맡음. 등골. 尺數(척수) 자로 잰 수치.
140. 辰宿(진수) 모든 별자리의 별들. 珍羞(진수) 보기 드물게 잘 차린 음식. 맛이 썩 좋은 음식. 珍饌(진찬). 珍秀(진수) 진귀하고도 빼어남. 眞數(진수) ① 어떤 물건들의 올바른 개수 ② (로그함수에서) 逆對數(역대수). 眞髓(진수) 중심부분에서도 가장 중요한 부분. 進水(진수) 새로 만든 배를 처음으로 물에 띄움. 鎭守(진수) 군사상 아주 긴요한 곳에 군대를 주둔시켜 든든히 지킴. 鎭戍(진수) 변경을 지킴. 陳壽(진수, 233~297) 중국 진(晉)나라 때의 역사가자는 승조(承祚)이다. 촉한(蜀漢)을 섬기다가 후에 진에서 벼슬을 지냈다. 진이 천하를 통일한 후 삼국 시대의 정사(正史)인 《삼국지(三國志)》를 저술하였다.
14.1 剪枝(전지) 가지치기. 電池(전지) ① 화학적인 반응에 의하여 전류를 일으키는 장치 ② 회중전등. 田地(전지) 논밭. 全知(전지) 신의 속성으로서 모든 것을 앎. 全紙(전지) ① 온 장의 종이 ② 전체의 지면. 全智(전지) 모든 것에 통달한 지혜. 前志(전지) ① 전에 품었던 뜻 ② 이전의 기록 또는 서적. 前肢(전지) 앞다리. 傳旨(전지) 상벌에 관한 임금의 뜻을 담당 관아나 관리에게 전하는 일. 傳持(전지) (불교에서) 법을 받아 전하여 유지함. 戰地(전지) 싸움터. 轉地(전지) (환경이 크게 다른 곳으로) 거처나 근거지를 바꾸어 옮김. 蹎躓(전지) 엎드러지고 미끄러짐. 蹎躓(전질)
142. 咀嚼(저작) 음식을 입에 넣고 씹음. 著作(저작) 著述(저술). 책을 씀. 또는 쓴 책. 撰述(찬술)
143. 擲 건곤일척(乾坤一擲) 운명을 걸고 단판걸이로 승부를 겨룸(한유(韓愈)의 시 과홍구(過鴻溝)에 나옴)
144. 徙 曲突徙薪(곡돌사신) 有備無患(유비무환) 桑土綢繆(상두주무) 미연에 방지함. 土 뿌리 두
145. 雀 明珠彈雀(명주탄작) 明 밝을 명, 珠 구슬 주. 彈 총알 탄, 雀 참새 작. 귀중(貴重)한 구슬을 탄환(彈丸)으로 하여 참새를 쏜다라(작은 것을 탐내다 큰 것을 잃음)<장자(莊子) 양왕편(讓王篇)>, 隨株彈雀(수주탄작), 小貪大失(소탐대실)
146. 狼 杯盤狼藉(배반낭자) 술잔과 접시들이 어지럽게 널려져 있음.
147. 寇 窮寇勿迫(궁구물박) 窮寇莫追(궁구막추). 窮寇勿追(궁구물추). 窮狗莫追(궁구막추). 窮鼠莫追(궁서막추). 窮鼠囓猫(궁서설묘). 困獸猶鬪(곤수유투) 궁지에 몰린 적을 너무 핍박하지 마라.
148. 荊 負荊請罪(부형청죄) 가시나무를 짊어지고 죄를 청함. 席藁待罪(석고대죄)
149. 撐 上下撐石(상하탱석) 윗돌 빼서 아랫돌 괴고 아랫돌 빼서 윗돌 괸다. 上石下臺(상석하대)
150. 爪 雪泥鴻爪(설니홍조) (눈이나 진흙 위의 기러기 발자국이 시간이 지나면 자취도 없이 사라지듯이) 인생의 자취가 덧없음. 生者必滅(생자필멸)
151. 膽 臥薪嘗膽(와신상담) 섶나무 위에서 자고 곰쓸개를 핥으며 굴욕을 참음. 원수를 갚거나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해 괴로움을 참고 견딤.
152. 輾 輾轉反側(전전반측)누운 채 이리 뒤척 저리 뒤척하며 잠을 이루지 못함. 輾轉不寐(전전불매)
153. 演繹(연역)↔歸納(귀납) 154. 勤勉(근면)↔懶怠(나태), 懶惰(나타), 懈怠(해태), 懈惰(해타), 怠惰(태타), 嬾惰(孏惰, 난타), 窳惰(유타) 155. 飽食(포식), 飽喫(포끽), 飽飫(포어), 饜飫(염어) 배부르게 먹음↔飢餓(饑餓, 기아)156. 省略(생략)↔敷衍(부연) 157. 潑剌(발랄), 潑潑(발발)↔萎縮(위축) 158. 受禪(수선) ↔ 讓位(양위), 禪位(선위), 禪讓(선양) 159. 模倣(摸倣, 摹倣, 모방) ↔創造(창조) 160. 永劫(영겁) ↔刹那(찰나), 瞬息間(순식간), 咄嗟間(돌차간) 16.1 餞送(전송)↔迎接(영접) 162. 遲鈍(지둔) ↔敏捷(예민)
163. 規範(규범)←繩矩(승구), 繩度(승도), 繩墨(승묵). 軌範(궤범) 164. 九天(구천) ←層宵(층소)165. 權與 ←嚆矢(효시), 濫觴(남상) 166. 嬌兒(교아). 嬌童(교동) 미소년←佼童(교동) 미소년. 佼 1. 예쁠 교(姣) 2. 업신여길 교 3. 사귈 교(交) 4. 들 교(郊) 167. 故鄕 ←枌楡 ① 느름나무 ② 고향. 桑梓(상재) ① 뽕나무와 가래나무 ② 향리의 주택, 고향 梓里(재리) 고향 168. 公告(공고)←頒布(반포) 169. 古式(고식)←陳套(진투) 170. 結婚(결혼). 婚姻(㛰婣, 혼인)←嫁娶(가취)17.1 梳洗(소세) 머리를 빗고 낯을 씻음. 盥櫛(관즐) 낯을 씻고 머리를 빗음←巾櫛(건즐) ① 수건과 빗 ② 머리를 빗고 낯을 씻는 일. 172. 葛藤(갈등)←軋轢(알력)
173. 恋 ←戀174. 蚕 ←蠶175. 坮 ←擡
[176] 繁縟(번욕) ① 번거롭고 까다로운 규칙과 예절. 번거롭게 형식만 차려서 까다롭게 만든 예문. 繁文縟禮(번문욕례)의 준말 ② 채색이 화려함 ③ 음성이 가늠, 곡조가 낮음
[177] 聲嘶(성시) 목이 쉼. 聲嗄(성사). 嘶 1. 울 시 2. 목쉴 시. 嗄 목쉴 사. 終日號而聲不嗄(종일호이성불사)
[178] 瀟灑(瀟洒, 소쇄) 기운이 맑고 깨끗함. 인품이 맑아 속기가 없음.
[179] 麋爛(미란) ① 썩어 문드러짐. 腐爛(부란). 爛腐(난부). 爛敗(난패). 潰爛(궤란) ② 疲斃(피폐)함, 피폐하게 함
[180] 罄竭(경갈) 돈이나 물건이 다 없어짐. 罄匱(경궤). 罄盡(경진). 罄乏(경핍).
[問 181-200] 다음 漢文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阿莘王六年 ①出質於倭國 十四年 王薨 王仲弟訓解攝政 以待②太子還國 季弟碟(접시 접)禮殺訓解 自立爲③王 腆支在倭④聞訃 哭泣請歸 倭王以兵士百人衛送 旣至國界 漢城人解忠來告曰 ⑤大王棄世… 願⑥ 太子無輕入.(阿莘王(아신왕・아방왕(阿芳王)・아화왕(阿花王)) 6년 397년 왜국에 인질로 가다. 14년 405년 왕(아신왕)이 서거하자 왕의 두 번째 동생 訓解(훈해)가 섭정을 하며 태자의 환국을 기다렸다. 막내 동생 碟禮(접례)가 형 訓解(훈해)를 죽이고 스스로 왕에 올랐다. 腆支(전지)는 일본에 있으면 부음을 듣고 울면서 귀국을 청하자 왜왕은 병사 100인으로 송환을 호위하여 구경선에 다다랐다. 한성사람 解忠(해충)와 고하기를 대왕이 세상을 떠나 태자 무사 돌아오기를 원한다 고했다.)
<백제의 왕>
15대 枕流王(침류왕) |
1. 17대 阿莘王(아신왕, 아방왕(阿芳王)·아화왕(阿花王) 392~405 재위). |
18대 腆支王(전지왕) |
19대 古尒辛王(고이신왕) |
餘信(여신) |
|||
2. 訓解(훈해) : 아신왕 서거후 섭정 3. 碟禮(접례) : 형 훈해 살해 4. 洪(홍) |
|||
16대 辰斯王(진사왕) |
[181] ①出質於倭國의 뜻을 쓰시오. 왜국에 인질로 가다
[182] 여기의 ②太子가 누구인지 쓰시오. 인질로 간 이(아신왕 아들)(나중의 18대왕 腆支王<전지왕>)
[183] 여기의 ③王은 누구인지 쓰시오. 碟禮(접례)
[184] 여기의 ④聞訃은 누구의 부모인지 쓰시오. 訓解
[185] 여기의 ⑤大王은 어느 王인지 쓰시오. 訓解
[186] 여기의 ⑥太子는 누구인지 쓰시오. 腆支(전지)
○ 脫解齒叱今 南解王時 駕洛國海中 ①有船來泊 其國首露王 與臣民 ② 鼓譟(躁)向迎 將欲留之 ③而舡乃飛走.
[187] ①有船來泊의 뜻을 쓰시오. 배가 와서 정박하다
[188] ②鼓譟(躁)向迎의 뜻을 쓰시오. 북을 치고 환영하다
[189] ③而舡乃飛走의 뜻을 쓰시오. 배를 타고 날아갈듯 가다
○ 國內諸州郡 ①不輸貢賦 ②府庫虛竭 ③國用窮乏 ④王發使督促 由是所在 盜賊蜂起.
[190] ①不輸貢賦의 뜻을 쓰시오. 공부(세금)를 바치지 않다
[191] ②府庫虛竭의 뜻을 쓰시오. 나라 곳간이 마르다
[192] ③國用窮乏의 뜻을 쓰시오. 국가 재정이 어렵다
[193] ④王發使督促의 뜻을 쓰시오. 왕이 사자를 보내 독촉하다
○ 子曰 事父母幾諫, ①見志不從 ②又敬不違 ③勞而不怨.
[194] ①見志不從의 뜻을 쓰시오. 부모 뜻이 자기를 따르지 않다
[195] ②又敬不違의 뜻을 쓰시오. 경의를 잃지 않고 거슬리지 않는다
[196] ③勞而不怨의 뜻을 쓰시오. 힘들었어도 원망하지 않는다
○ 子曰 父母在不遠遊 ①遊必有方.
○ 子游曰 ②事君數 ③斯辱矣 朋友數 ④斯疏矣.
[197] ①遊必有方의 뜻을 쓰시오. 놀면 반드시 행방을 밝힌다
[198] ②事君數의 뜻을 쓰시오. 임금을 너무 자주 섬기다
[199] ③斯辱矣의 뜻을 쓰시오. 굴욕을 당한다
[200] ④斯疏矣의 뜻을 쓰시오. 멀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