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부표면에는 항상 0.05~0.4MG/㎠ 정도의 피지가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피부표면에는 두 가지의 다른 경로로 만들어진 피지(Sebum)가 존재하는데, 트리글리세라이드, 스쿠알란, 왁스에스테르 등의 피지선 유래 지질(Sebaceous lipids)과 포스포리피드(Phospho lipids/인지질), 콜레스테롤(Cholestrols), 세라미이드(Ceramide)등의 표피세포간에서 생산되는 표피유래 지질(Epidermal lipid)이 그것이다.
피지는 땀 등의 수분과 어울어져 피부표면에 약산성 Emulsion형태의 얇은 피지막을 형성하여 피부표면의 윤활작용을 나타내고. 외부로부터의 이물진입과 각질층을 통한 피부내부의 수분증발(TEWL/Trans Epidermal Water Loss)을 막아주며 여러 가지 형태의 물리적, 화학적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있다.
1. 피지분비 억제제 (Anti-sebum agent) Anti-angrogens (抗 남성호몬제) .cyproterone acetate . spironolactone . chlormadinone acetate . hydroxyflutamide . ethynyl estradiol . cyoctol 等
피지분비 항진(亢進)은 남성호르몬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따라서 피부 내로부터 피지분비를 콘트롤하는 것이 유용하고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남성호르몬에 길항(拮抗)하는 작용을 갖는 난포호르몬 및 항 남성호르몬이 피지억제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작용이 강하므로 적용 시에는 전문가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일반 화장품 등에 배합할 수 있는 양 역시 제한되어 있다.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은 5α-리덕타제(Reductase)의 작용에 의해 5α의 위치가 환원되어 DHT(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으로 변환되며, 이어서 이것이 피지선을 자극하여 피지분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위 그림 참조)
피지분비 조절제로서 抗 남성호르몬의 효과는 잘 알려져 있는데, 항 남성호르몬이라 하는 것은 자기자신은 호르몬작용을 지니지 않으나 안드로겐(Androgen)작용에 길항(拮抗)하는 물질이므로 그 저해활성은 아래 3가지 어느 것인가의 단계에 의하여 또는 몇 가지인가의 조합에 의하여 발휘된다고 생각되고 있다.
[항 남성호르몬의 피지분비조절기구] ⓐ 테스토스테론의 조직내의 흡수저해 ⓑ 테스토테론 5α-Reductase(리덕타제)의 저해활성 ⓒ 안드로겐과 수용체(Receptor)의 결합저해
기타 사용되고 있는 피지분비 억제제 항 남성호르몬제 외에 일반적으로 의약품, 화장품 등에 배합되고 있는 피지분비 조절 제로서는
| |||||||||||||||
2. 피지분비 촉진제 (Sebum accelerater) 1) 감마오리자놀(r-oryzanol) 쌀 눈에서 정제한 물질로서 스테롤의 페놀산에스테르의 혼합물이다. 동물(Rat) 도포시험 결과 피지선의 비대와 기능항진이 확인되었다. 실제로 1% 함유한 크림에 대한 사용시험 결과에서도 피지분비 촉진작용이 확인되었다(小林敏夫). 2) 콜레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Choleterol fatty acid ester) 콜레스테롤의 분지 지방산 에스테르류에 피지선 부활작용이 밝혀져 있다(佶 直伸). 최근 이 성분은 건조성 습진이나 아토피(Atopy)성 피부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3) 기타 생약류 모과, 인삼, 결명자, 율무추출물 등은 피지선을 비대화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
3. 피지분비조절 화장품 (Anti-sebum cosmetics) 보습 및 보호의 목적으로서는 화장수, 유액 및 크림 등의 화장품이 이용되고 있으며, 세정목적으로서는 물리화학적인 탈지기능을 갖는 팩을 포함한 세안제품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지분비조절 화장품의 중심은 「여드름」,「지성피부」에의 대응제품으로서 팩을 포함한 미용제품이다.
※ 여드름과 지성피부에의 대응을 위한 생리학적 요점
세안에 의해 피지선유래 피지 및 표피세포유래 피지가 제거되는데 표피세포유래 피지의 제거가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표피세포유래 지질이 각질층 수분유지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에서도 명확하다. 세정제 등에 의한 표피세포유래지질의 제거는 각질세포간 지질구조를 파괴하여 경피수분손질(TEWL/Trans Epidermal Water Loss)의 상승을 초래하여 피부의 부분보유기능을 저하시킴으로써 건조낙설성 피부변화와 연결된다. 따라서 세정제에서 요구되는 기능의 한가지는 피지선유래지질의 적당한 제거와 표피세로유래지질을 과도하게 제거하진 않는 것이다.
그 예로서, 대표적인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주로 샴퓨류의 주세정제, 기포제로 이용되는 SLS(Sodium lauryl sulfate), SLES(Sodium lauryl ether sulfate)등과 Soap 등은 피지선유래 지질에 대한 표피세포유래지질의 제거율이 높은 반면, 아실글루타민계(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와 MAP계 계면활성제는 상대적으로 표피세포유래지질의 제거율이 낮아 Mild한 세정제로 평가되어 미용관련 세안료화장품에 사용이 권유되고 있다.
피지의 제거효과를 높이는 성분으로서 Clay성분과 Scrub제가 있다. 일반적인 세안에 의해 피지를 어느 정도 제거한 후에도 Clay(벤토나이트계 등)를 피부표면에 도포하여 피지를 흡착시키면 모낭내 피지까지 흡수된다. 또한, Clay Pack 세안을 하면 몇 일간 피지분비가 약간 저하하고 여드름도 어느 정도 개선되는 효과가 관찰되는데, 이것은 피지의 과잉분비 및 저유된 피지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피부 Trouble에 Clay Pack 세안이 유효하다고 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이 때 피부로부터 제거되는 피지는 표피세포유래지질 보다는 피지선유래지질이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된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스크럽제 역시 피지의 제거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라는 보고도 있다.
피부표면의 지질은 90~95%가 피지선 유래의 지질로서 그 조성은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스쿠알렌(Squalene) 및 왁스(Wax), 왁스에스테르(wax ester)각 약 5~10% 정도로 조성되어 있다. 스쿠알렌은 이소프렌(Isoprene)이 6분자 결합한 구조로 2중결합을 6개나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피부지질에 비하여 산화되기 쉬운 화학구조를 지니고 있다.
사람피부에는 이러한 지질의 산화를 억제하는 기능이 존재하는데, 이 자율 방어기능을 넘어 과산화지질이 생될 때 여러 가지 피부질환이 발증한다. 피지에 의해 야기되는 이러한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는 것도 피지조절 Skin Care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이다.
노화 및 피부 Trouble의 방지를 포함하여 피지분비조절이라는 Skin Care는 미용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연구되어야 할 과제라 아니할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