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도 1학기 기말>
22. 다음 중 접속에 의해 형성된 복문은 어느 것인가?
① 철수가 학교에 간다.
② 철수가 읽은 책을 내가 다시 읽었다.
③ 두 사람은 서로 결혼할 것을 약속했다.
④ 시험 공부를 하느라고 밤을 새웠다.
해설 - ① 단문
② 복문 - 내포문
③ 복문 - 내포문
정답 - ④
23. 다음 중 대등 접속 구성은 어느 것인가?
① 산은 높고 물은 맑다.
② 봄이 오면 꽃이 핀다.
③ 봄이 와도 꽃은 피지 않는다.
④ 책을 찾으러 도서관에 갔다.
해설 - 대등 접속 구성문은 두 문장의 순서가 바뀌어도 문장의 뜻이 변하지 않는다.
②③④번 문장은 종속 접속 구성으로 두 문장이 대등한 구성을 이루지 않는다.
정답 - ① 물은 맑고 산은 높다. - 두 문장의 순서를 바꾸어도 문장 구성 가능
<2004년도 1학기 기말>
24. 대등 접속과 종속 접속에 관련된 아래의 설명 가운데 올바른 것은?
① 종속 접속 구성은 접속된 두 문장의 위치를 바꾸어도 문장의 진리치가 같다.
② 대등 접속 구성에는 선행절과 후행절에 주제 보조사 '은/는' 등이 결합할 수 있지만 종속 접속 구성에는 결합될 수 없다.
③ 종속 접속 구성의 선행절은 후행절 속으로 이동할 수 없으나, 대등 접속 구성의 선행절은 후행절 속으로 이동할 수 있다.
④ 대등적 연결 어미와 종속적 연결 어미는 형태상으로 명확하게 구분되기 때문에 중복되어 쓰이지 않는다.
해설 - ① 대등 접속 구성은 접속된 두 문장의 위치를 바꾸어도 문장의 진리치가 같다.
③ 대등 접속 구성의 선행절은 후행절 속으로 이동할 수 없으나, 종속 접속 구성의 선행절은 후행절 속으로 이동할 수 있다.
④ 대등적 연결 어미와 종속적 연결 어미는 형태상으로 명확하게 구분되기 어렵고, 중복되어 쓰이기도 한다.
정답 - ②
25. 아래의 연결 어미 가운데 선행절과 후행절의 주어가 항상 같아야 하는 동일 주어 제약을 가지는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① -고자, -(으)러
② -려고, -도록
③ -다가, -(으)ㄹ수록
④ -자, -자마자
해설 - 동일 주어 제약을 가지는 연결 어미로는 '-고자, -(으)러, (으)려고'가 있다.
정답 - ①
<2005년도 1학기 기말>
59. 다음의 문장들은 모두 복문이다. 복문이 내포문과 접속문으로 나뉜다는 점을 생각할 때 그 성격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① 철수는 학교에 가고 영희는 집에 갔다.
② 갈릴레오는 지구가 둥글다고 주장했다.
③ 귀가 간지러운 느낌이 든다.
④ 그 사람이 사기꾼이라는 소문이 있어.
해설 - 내포문은 전성어미를 사용하고, 접속문은 연결어미 사용 및 두 문장이 대등하게 연결된다.
② 내포문 - 인용문
③ 내포문 - 관형절
④ 내포문
정답 - ①
60. 다음의 문장들은 연결어미 구성을 가진 것들이다. 이들 중에서 선행절의 주어와 후행절의 주어가 같지 않은 것은?
① 대학에 가고자 열심히 공부했다.
② 동생을 찾으러 공원에 갔다.
③ 여행을 가려고 짐을 꾸렸다.
④ 밥을 먹도록 해 주시오.
해설 - 선행절과 후행절에 주어를 넣어 본다.
① 나는 대학에 가고자 / 나는 열심히 공부했다.
② 나는 동생을 찾으러 / 나는 공원에 갔다.
③ 나는 여행을 가려고 / 나는 짐을 꾸렸다.
정답 - ④ 내가 밥을 먹도록 / 내가 해주시오. - 문장 성립이 되지 않는다.
내가 밥을 먹도록 / 당신이 해 주시오. - 주어가 달라야 문장 성립 가능.
<2006년도 1학기 기말>
60. 다음의 예문 중 하나의 문장이 다른 문장의 한 성분으로 기능하는 것은?
① 철수는 작년에 읽은 책을 다시 읽고 있다.
② 철수는 학교에 가고 영희는 집에 갔다.
③ 철수는 내 친구인데 운동을 꽤 잘한다.
④ 가을이 되면 낙엽이 진다.
해설 - 하나의 문장이 다른 문장의 한 성분으로 기능하는 것 - 내포문
②③④번은 모두 접속문이다.
정답 - ①
61. 연결 어미 구성의 통사적 제약과 관련된 아래의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
① '-고자, -(으)려고' 등은 선행절과 후행절의 주어가 같아야 한다.
② '-고서, -도록' 등은 동사와 형용사에는 결합될 수 있지만 서술격 조사에는 결합되지 못한다.
③ '-(으)러'는 후행절의 서술어가 '가다, 오다'등과 같은 이동 동사여야 한다.
④ '-(으)면서, -자'등은 동사, 형용사, 서술격 조사에 결합될 수 있다.
해설 - '-고서, -도록' 등은 동사에는 결합될 수 있지만
형용사와 서술격 조사에는 결합되지 못한다.
정답 - ②
<2004년도 동계 계절>
33. 다음의 문장 가운데 대등접속에 해당하는 것은?
① 몸이 아파서 병원에 갔다.
② 영희가 오니까 철수는 간다.
③ 철수는 큰데 영희는 작다.
④ 가을이 되면 낙엽이 진다.
해설 - 대등 접속 구성문은 두 문장의 순위가 바뀌어도 문장의 뜻이 변하지 않는다.
①②④번 문장은 종속 접속 구성으로 두 문장이 대등한 구성을 이루지 않는다.
정답 - ③ 영희는 작은데 철수는 크다. - 두 문장의 순서를 바꾸어도 문장 구성 가능
34. 다음의 연결어미 가운데 동사에만 결합될 수 있는 것은?
① -어서/아서
② -(으)니까
③ -(으)면
④ -(으)려고
해설 - 형용사를 대입 해 본다.
① 푸르러서
② 푸르니까
③ 푸르면
정답 - ④
35. 다음 □ 안의 예문이 비문법적인 문장이 되는 것과 관계없는 것은?
첫댓글 교과서도 없으시면서 정리 잘 하셨네요!! 어쩐지 열심히 받아적으시더라니.. 멋져요! ^^
그래서 어제 새벽에 그리 남아 있었던거군. //05년 기말 60번은 4번도 설명하는 게 좋습니다. (아이들이/우리가) 밥을 먹도록 (당신이(청자)) 해 주시오. 주어가 다르지요?
에구...새벽까지 늦게 정리한 것을 날름 받아먹는군요...감사해요!!^^
수정했어용~새벽에 일도 하고 문제도 올리고 그랬죠..
<2004년 동계 계절> 33. 다음의 문장 가운데 대등 접속에 해당하는 것은? 에서 위치를 바꾸는 것보다 '대등 접속 구성의 선행절은 후행절 속으로 이동할 수 없으나, 종속 접속 구성의 선행절은 후행절 속으로 이동할 수 있다'에서 더 선명하게 드러나는 것 같아요. 보기의 예에서 1. 몸이 아파서 병원에 갔다 (병원에, 몸이 아파서 갔다.) 2. 영희가 오니까 철수는 간다 (철수는, 영희가 오니까 간다.) 3. 철수는 큰데 영희는 작다 (영희는, 철수는 큰데 작다 ) 4. 가을이 되면 낙엽이 진다 (낙엽이, 가을이 되면 진다)로 1,2,4번은 자연스레 의미가 통하는데 3번은 비문법적으로 읽혀요. 고로 답이 3번 같은데 ^^ 한번 봐 주세요.
맞습니다. 공부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이해한 대로 올린 것이니 좀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보충설명으로 훌륭합니다.
<2006년 1학기 기말> 61번 어려워요. 예를 들어 주시면 좋겠는데...
②은 다음과 같이 고쳐야 바른 설명이 됩니다.=>['-고서, -도록' 등은 동사에는 결합될 수 있지만 형용사와 서술격 조사에는 결합되지 못한다.] 형용사와 서술격 조사는 활용, 제약 면에서 많이 닮았습니다. 구체적인 예문은 교재 233-237에 두루 나와 있습니다.
편입생인데 사업을 하다보니 공부는 뒷전이고 시험은 다가오고 누구 도움주실분 안계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