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관광공사는 "집성촌 종가집을 찾아서" 테마로 '2009년도 3월의 가볼만한 곳'으로
"살아있는 민속박물관, 흘러넘치는 전통미(충남 아산)",
"고택과 전통체험의 만남 고령 개실마을(경북 고령)",
"500년 비자나무숲이지키는 해남윤씨종택, 녹우당(전남해남)"
"유서 깊은 미르벌 아름다운 고택여행(경남 밀양)"
4곳을 선정하여 발표하였다.
살아있는 민속박물관, 흘러넘치는 전통미
▲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민속마을
위 치 : 충남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수도권 전철이 천안을 지나 온양온천역을 거쳐 신창역까지 연장 운행되면서 아산을 찾는 가족여행객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아산시의 핵심 여행 명소로는 외암민속마을과 현충사, 그리고 3군데의 온천단지 등이 손꼽힌다.
살아있는 민속박물관이라는 평을 듣는 외암민속마을은 설화산을 주산으로 두고 발달한 예안 이씨 집성촌으로 약 5백년 전부터 부락이 형성됐다. 마을의 전체적인 모양은 동서로 긴 타원형이다. 고택 답사와 돌담길 걷기, 숙박체험, 농촌체험 등을 통해 우리 민족 고유의 정서와 전통을 찾아볼 수 있는 곳이다.
그밖에 아산시에는 맹씨행단과 현충사, 온양과 도고온천, 온양민속박물관 등 연륜이 오랜 명소는 물론 세계 꽃식물원, 피나클랜드, 아산온천, 영인산자연휴양림 등 새로 조성된 여행지까지 다녀봐야 할 곳들이 많다.
문의 : 아산시청 문화관광과 041)540-2565 / 외암민속마을 관리사무소 041)540-2654
고택과 전통체험의 만남-고령 개실마을
▲ 경북 고령군 쌍림면 합가1리 개실마을은 영남 사람학파의 중심인물인 점필재 김종직 선생의 후손들이 350년간 살아온 집성촌이다.
위 치 : 경북 고령군 쌍림면 합가1리 개실마을
영남 사람학파의 중심인물인 점필재 김종직 선생의 후손들이 350년간 살아온 집성촌인 개실마을은 '꽃이 피는 아름다운 골' 이란 지명답게 봄이면 매화, 목련, 벚꽃이 지천에 핀다.
한옥이 만들어낸 기와 선을 감상하며 정겨운 돌담길 따라 마을을 산책하다보면 오랜 세월동안 기품을 간직한 점필재 종택을 만나게 된다. 서당인 도연재 마루에 앉아 마을 훈장으로부터 전통예절문화를 배울 수 있으며 한과, 엿, 두부, 칼국수 등 전통음식을 만들어 먹을 수 있다. 새콤달콤한 맛을 자랑하는 쌍림딸기 수확체험과 널뛰기, 그네타기, 윳놀이 등 전통놀이체험은 아이들이 좋아한다.
주산 능선 따라 200여 기의 고분이 몰려있는 지산동고분군과 대가야왕릉전시관, 대가야박물관은 고령답사 1번지로서 악성 우륵이 가야금을 연주한 곳에 세워진 우륵박물관과 연계해 둘러보면 좋다. 문의 : 개실마을 054)956-4022
00년 비자나무 숲이 지키는 해남 윤씨 종택, 녹우당
위 치 : 전남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81
땅끝 마을 전라남도 해남을 찾아가는 길은 봄빛이 따스하고, 눈이 시릴 듯 진초록인 비자나무숲에 둘러싸인 녹우당(綠雨堂)은 차향이 은은하다. 수백년을 이어오는 해남 윤씨 종가(宗家) 녹우당은 고산 윤선도를 조선 제일의 시인으로 키워냈고 공재 윤두서의 호방함과 다산 정약용의 차향을 지켜낸 곳이다.
세 개나 되는 사당을 돌보고, 30여 차례의 제례를 모시고, 종가만의 음식을 대물림하며 해남 윤씨 종가의 종손과 종부는 그렇게 녹우당과 세월을 지켜간다.
1억 년 전부터 뛰놀던 우항리 공룡들의 울음소리와 더불어 이순신장군의 호령소리가 들리는 해남땅, 대흥사 북미륵암 석조여래좌상의 미소가 해사하고 달마산 미황사가 고즈넉한 해남, 그 곳은 여느 땅과 같지만 그곳에 서 있는 것만으로도 의미 있는 곳이다.
문의 : 해남군청 문화관광과 : 061-530-5229 / 고산 윤선도 유적지 : 061-530-5548
유서 깊은 밀양의 아름다운 고택여행
위 치 : 경남 밀양시 교동
예로부터 밀양은 유일하게 안동을 보고 웃을 수 있는 양반의 고장이라고 하여 소(笑) 안동으로 불리었다. 퇴계 이황선생 이후로 비로소 양반고장이 된 안동에 비하면, 성리학 계보로 볼 때 퇴계의 증조부쯤 되는 점필재 김종직 선생이 버티고 계시니 그럴 만도 하다.
국내 3대 명루 중 하나로 손꼽히는 영남루, 밀양향교를 머리에 두고 소담하게 쌓여있는 교동의 밀성손씨 집성촌, 점필재 선비정신이 깃든 예림서원과 그의 생가 추원재 등 고택과 서원을 둘러보는 재미는 밀양 여행만의 특권이다.
![]() |
||
뿐만 아니라 밀양을 '씨크릿 썬샤인'이란 매력적인 이름으로 전세계에 알린 '밀양' 영화촬영지를 비롯하여 만 마리 물고기가 돌이 되었다는 만어사, 국난이 닥치면 땀을 흘린다는 표충비, 여름에도 얼음이 언다는 얼음골 등 신비로움으로 가득 찬 미르벌(밀양의 옛 지명) 여행을 시작해보자.
문의 : 밀양시청 문화관광과 055)359-5642
☆ 상추의 놀라운 효능 ☆
◆ 답답한 가슴을 확 뚫어 주는 상추의 효과
제철 맞은 상추를 많이 드실 것을 권한다.
◆ 상추를 가장 많이 먹는 나라는
특히, 쌈 문화의 대표적인 것이 바로 상추이다.
◆ 머리를 맑게 해주는 상추, 상추를 먹으면 머리가 맑아진다.
보통 상추에는 신경안정, 진통, 최면 작용이 있는
솟구쳐 나타나는 두통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녹색 상추는 더 차갑고, 붉은색 상추는 덜 차갑다.
◆ 가슴에 뭉친 화병을 풀어주는 상추
요즘처럼 가슴이 답답한 일이 많아 속에 화병이
상추는 가슴의 화병을 풀어주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풀어주는 좋은 식품이다.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 돼지고기와 찰떡 궁합인 상추
상추는 맛과 영양이 풍부하고 기호성이 좋아 천금을 주고
조상들은 상추를 ‘천금채’라고 불렀다.
우리 민족과 밀접한 관계를 지닌 채소이다.
◆ 장독대 주변에 상추를 심은 이유는?
뱀을 볼 수가 없는데, 그 이유가 있다.
뱀이 상추와 접촉하면 눈이 멀게 된다. ’라고 쓰여 있다.
만약 사람이 중독되면 생강 즙으로 해독할 수 있다.’라고 쓰여 있다.
◆ 다시 한번 느끼는 조상의 지혜.
지금은 구경하기 어렵지만,
장독대에는 간장, 된장, 소금 등이 보관된 항아리를 두는 곳이다.
주변에 심었던 것이었다.
담가 두었다가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 먹으면 안전하다.
◆ 상추 이야기
그리스 로마 시대에 중요한 채소로 재배하였다고 한다.
상추에는 독을 해소하는 성분이 들어 있어 숙취 해소나 피를 맑게 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특히 몸이 찬 사람이나 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이 상추를 과식하게 되면 배가 차가워지니 주의 하셔야겠네요.
물에 담가 두셨다가 건지시고,
느티떡 만드는 법과 동일하게 만드는 상추떡이 있습니다.
양파 등을 혼합하여 만드는 방법이 있지요.
좀 더 토속적인 맛을 내기 위해선 멸치육수에 된장을 풀고 각종 향신채나 버섯 등을 다져 넣고 바특하게 끓인 강된장이 제격입니다.
상추쌈은 여럿이 어울려 먹어야 맛도 즐거움도 배가됩니다.
상추쌈 맛은 더 할 나위 없이 근사해지지요.
◆ 상추의 효능
상추는 한방에서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체와 종자를 약재로 쓰는데,
종자는 고혈압과 산모의 젖이 부족할 때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해 여성들에게 좋다.
민간요법에서 상추는 외용약으로 유용하다.
설사를 자주하는 사람이나 몸이 찬 사람이 과식하면
배가 차가워지고 몸에 기운이 빠져서 약해지므로
지나치게 많이 먹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신경질 통증을 완화시킨다
▶피로 회복에 좋다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해 천연 강장제 역할을 한다.
▶눈 건강에 좋다
▶몸속 독소를 해독한다
각종 오염으로 인해 몸속에 쌓인 독소와 노폐물을 없앤다.
▶ 빈혈을 예방한다
조혈 효과가 있는 철분이 많이 들어 있어 빈혈 예방에 효과적이다.
숙취로 인한 두통을 해소해주는 역할도 한다.
풍부한 수분과 미네랄이 신장 기능을 활성화해 체내 노폐물 배출을 돕는다.
또 비타민과 미네랄, 수분이 신진대사를 촉진해 배변을 원활하게 한다.
|
![]() 02) 진시몬 - 미안한사랑 03) 김철민 - 가난한약속 04) 임재범 - 사랑보다깊은상처 05) 이신우 - 또 06) 이신우 - 마지막사랑 07) 지 노 - 장미의 눈물 08) 백미현 - 사랑 한줌을 편지로 보내며 09) 김돈규 - 나만의슬픔 10) 백미현 - 길 11) 김종환 - 존재의이유 12) 우승하 - 비가 13) 조관우 - 미로 14) 김태영 - 혼자만의 사랑 15) 김진영 - 사랑의기도 16) 유진영 - 아침같은 사랑 17) 차호석 - 내안의 눈물 18) 정선연 - 고독 19) 건아들 - 가버린친구에게바침 20) 이 리 - 어제 21) 한승기 - 여인 22) 김돈규 - 나만의슬픔 23) 김범용 - 밤의플랫트홈 24) 허 송 - 추억 25) 고한우 - 암연 26) 원민 - 12시가 27) 김재성 - 당신따라갈것을 28) 김신우 - 더 맨 29) 김진복 - 두렵지않은사랑 30) 권선국 - Stay With Me 31) 이승훈 - 마지막편지 32) 박강성 - 문밖에있는그대 33) 유상록 - 그여인 34) 최성수 - 해후 35) 진시몬 - 비련 36) 이창휘 - 괜찮아요 37) 임주연 - 보고싶어 38) 양현경 - 비몽 39) 남화용 - 홀로가는길 40) 김영태 - 내가 부를너의이름 41) 김목경 - 부르지 마 42) 서상억 - 부디부디 43) 유익종 - 9월에떠난사랑 44) 김동환 - 묻어버린아픔 45) 김세영 - 밤의길목에서 46) 바람꽃 - 비와외로움(원곡) 47) 백미현 - 길 48) 최성민 - 사랑하는사람에게 49) 홍종명 - 내가가야할길 50) 황승호제 - 멀어지는 너 52) 김동욱 - 미련한사랑 53) 추가열 - 나같은건없는건가요 54) 캐 슬 - 기다리는아픔 55) 이 안 - 물고기자리 56) 햇빛촌 - 유리창엔비 57) 적우 - 카사비앙카 58) 전원석 - 떠나지마 59) 포맨 - 나보다 더 나를 사랑한 60) 박완규 - 천년의사랑 61) 김남훈 - 창가에 62) 신계행 - 가을사랑 63) 김범수 - 일생동안 64) 김명상 - 널 사랑하니까 65) 박희수 - 그어느겨울 66) 양하영 - 영원한사랑인줄았았는데 67) 임형주 - The Salley Gardens 68) 정태춘 - 떠나가는배 69) 이동원 - 이별노래 70) 장철웅 - 이룰 수 없는 사랑 71) 솔개트리오 - 아직도 못다한사랑 72) 주니퍼 - 하늘끝에서흘린눈물 73) A.R.T - 하늘아 74) 차진영 - 애니아 (락발라드) 75) 이재성 - 그 집앞 76) 신촌부르스 - 골목길 77) 고한우 - 네가보고파지면 78) 권선국 - 작은사랑 79) 김신우 - 좋은사람 만나요 80) 박강수 - 부족한사랑 81) 박강성 - 이 마음 모를꺼야 82) 진시몬 - 둠바둠바 83) 캐 슬 - 천상재회(통기타) 84) 유익종 - 새보다 자유로워라 85) 원 민 -그 여인 86) 유상록 - 사랑을잃어버린나 87) 진시몬 - 애수 88) 추가열 - 슬픈사랑 89) 휘버스 - 그대로 그렇게 90) 안젤로 - 너를기다려 91) 예 민 - 꽃이 바람에게 전하는 말 92) 변진섭 - 홀로 된다는 것 93) 진시몬 - 애원 94) 도현아 - 혼자서울고있어요 95) 이현우 - 헤어진다음날 96) 사람과나무 - 쓸쓸한연가 97) 고한우 - 비연 98) 유익종 - 들꽃 99) 서상억 - 널사랑할수밖에 100) 신정숙 - 그 사랑이 울고 있어요 101) 김돈규&에스더 - 다시태어나도 102) 이선희 - 인연 103) 이승희 - 슬퍼하지마 104) 김부선 - 아쉬운이별 105) 이승훈 - 말해주지 그랬어 106) 임재범 - 너를 위해 107) 임희숙 - 내하나의사람은가고 108) 코요테 - Y Bobby 109) 이연실 - 그대 110) 김범수 - 하루 111) 강영호 - 사랑할수 없는 그대 112) 양혜승 - 아득히 먼 곳 113) 김동아 - 꽃잎처럼 지노라 114) 왁 스 - 여정 115) 김신우 - 좋은사람만나요 116) 심진스님 - 무상초 117) 김동아 - 와우정사 118) 신계행 - 사랑 그리고 이별 119) 서영은 - 너에게로 또다시 120) 박강성 - 장난감병정 |
첫댓글 좋은 정보를 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