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가호호 家家戶戶
[한자] 집 가, 지게(집) 호
[의미] 한 집 한 집. 집집마다.
○ 가담항설 街談巷說
[한자] 거리 가, 말씀 담, 거리 항, 말씀 설
[의미] 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소문. 뜬소문으로 순화.
○ 가렴주구 苛斂誅求
[한자] 독할 가, 거둘 렴, 벨 주, 구할 구
[의미] 세금을 가혹하게 거두어들이고, 무리하게 재물을 빼앗음.
○ 가인박명 佳人薄命
[한자] 아름다울 가, 사람 인, 엷을 박, 목숨 명
[의미] 아름다운 여인은 수명이 짧음을 비유한 말. 소식(蘇軾)
[참조] = 미인박명
○ 가정맹어호 苛政猛於虎
[한자] 독할 가, 정사 정, 사나울 맹, 어조사 어, 범 호
[의미]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는 뜻으로, 혹독한 정치의 폐가 큼을 이르는 말. <예기>의 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 말.
○ 가화만사성 家和萬事成
[한자] 집 가, 화목할 화, 일만 만, 일 사, 이룰 성
[의미] 가정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 된다.
○ 각계각층 各界各層
[한자] 각각 각, 계층 계, 각각 각, 층 층
[의미] 사회 각 분야의 여러 계층. 여러 분야, 여러 계층으로 순화.
○ 각고면려 刻苦勉勵
[한지] 새길 각, 쓸 고, 힘쓸 면, 힘쓸 려
[의미] 어떤 일에 고생을 무릅쓰고 몸과 마음을 다하여, 무척 애를 쓰면서 부지런히 노력함.
[예문] 그 부부는 이십 년 동안 각고면려한 끝에 집 한 채를 장만했다.
○ 각골난망 刻骨難忘
[한자] 새길 각, 뼈 골, 어려울 난, 잊을 망
[의미] 남에게 입은 은혜가 뼈에 새길 만큼 커서 잊혀지지 아니함.
○ 각골통한 刻骨痛恨
[한자] 새길 각, 뼈 골, 아플 통, 한할 한
[의미] 뼈에 사무칠 만큼 원통하고 한스러움. 또는 그런 일.
○ 각양각색 各樣各色
[한자] 각각 각, 모양 양, 색 색
[의미] 각기 다른 여러 가지 모양과 빛깔.
[참조] 천태만상
○ 각주구검 刻舟求劍
[한자] 새길 각, 배 주, 구할 구, 칼 검
[의미]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유래] 초나라 사람이 배에서 칼을 물속에 떨어뜨리고 그 위치를 뱃전에 표시하였다가 나중에 배가 움직인 것을 생각하지 않고 칼을 찾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여씨춘추”의 찰금편(察今篇)에 나오는 말.
○ 간단명료 簡單明瞭
[한자] 단출할(대쪽, 편지) 간, 홑 단, 밝을 명, 맑을(아득할) 료
[의미] 간단하고 분명함.
○ 간담상조 肝膽相照
[한자] 간 간, 쓸개 담, 서로 상, 비출 조
[의미] 서로 속마음을 터놓고 친하게 사귐.
○ 간어제초 間於齊楚
[한자] 사이 간, 어조사 어, 제나라(가지런할) 제, 초나라 초
[의미] 약자가 강자들 틈에 끼어서 괴로움을 겪음을 이르는 말.
[유래] 중국의 주나라 말엽 등나라가 제나라와 초나라 사이에 끼어서 괴로움을 겪었다는 데서 유래.
○ 갈이천정 渴而穿井
[한자] 목마를 갈, 말 이을 이, 뚫을 천, 우물 정
[의미] 목이 말라야 비로소 샘을 판다는 뜻으로, ① 미리 준비를 하지 않고 있다가 일이 지나간 뒤에는 아무리 서둘러 봐도 아무 소용이 없음 ② 자기가 급해야 서둘러서 일을 함.
○ 감가상각 減價償却
[한자] 덜 감, 값 가, 갚을 상, 물리칠 각
[의미] 토지를 제외한 고정자산의 가치감소를 산정하여 그 액수를 고정자산의 금액에서 공제함과 동시에 비용으로 계상하는 절차.
○ 감언이설 甘言利說
[한자] 달 감, 말씀 언, 이로울 리, 말씀 설
[의미] 귀가 솔깃하도록 남의 비위를 맞추거나 이로운 조건을 내세워 꾀는 말. 달콤한 말로 순화.
○ 감탄고토 甘呑苦吐
[한자] 달 감, 삼킬 탄, 쓸 고, 토할 토
[의미]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으로, 자신의 비위에 따라서 사리의 옳고 그름을 판단함을 이르는 말.
○ 갑남을녀 甲男乙女
[한자] 갑옷 갑, 사내 남, 새 을, 계집 녀
[의미] 갑(甲)이라는 남자와 을(乙)이라는 여자라는 뜻으로, 신분이나 이름이 알려지지 아니한 그저 평범한 사람들을 이르는 말, 보통 평범한 사람들.
[참조] = 장삼이사, 초동급부, 필부필부
○ 갑론을박 甲論乙駁
[한자] 갑옷(아무개) 갑, 논의할 논, 새(아무개) 을, 논박할(얼룩말) 박
[의미] 여러 사람이 서로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며 상대편의 주장을 반박함.
○ 강구연월 康衢煙月
[한자] 편안할 강, 거리 구, 연기 연, 달 월
[의미] 번화한 큰 길거리에서 달빛이 연기에 은은하게 비치는 모습을 나타내는 말로, 태평한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을 이르는 말.
○ 개과천선 改過遷善
[한자] 고칠 개, 지날(잘못) 과, 옮길 천, 착할 선
[의미]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 개관사정 蓋棺事定
[한자] 덮을 개, 널 관, 일 사. 정할 정
[의미] 시체를 관에 넣고 뚜껑을 덮은 후에야 일을 결정할 수 있다는 뜻으로, 사람이 죽은 후에야 비로소 그 사람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됨을 이르는 말.
○ 개물성무 開物成務
[한자] 열 개, 만물 물, 이룰 성, 힘쓸 무
[의미] 만물의 뜻을 깨달아 모든 일을 이룸.
[참조] 각고면려, 개물성무 - 어떤 일에 고생을 무릅쓰고 몸과 마음을 다하여 부지런히 노력하면, 만물의 뜻을 깨달아 모든 일을 이룸.
○ 개봉박두 開封迫頭
[한자] 열 개, 봉할 봉, 닥칠 박, 머리 두
[의미] ① 봉지나 봉투 등을 열어보는 시간이 바짝 다가왔다는 뜻. ② 보통 영화관 등에서 새로 상영할 영화에 대해 그것을 상영할 시기가 며칠 안으로 바짝 다가왔다는 것을 알리려는 의도.
○ 객반위주 客反爲主
[한자] 손님 객, 돌이킬 반, 될 위, 주인 주
[의미] 손님이 도리어 주인 노릇을 한다는 뜻으로, 부차적인 것을 주된 것보다 오히려 더 중요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참조] → 주객전도
○ 거두절미 去頭截尾
[한자] 없앨(갈) 거, 머리 두, 끊을 절, 꼬리 미
[의미] ① 머리와 꼬리를 잘라 버림. ② 어떤 일의 요점만 간단히 말함.
○ 거안사위 居安思危
[한자] 살 거, 편안할 안, 생각 사, 위태할 위
[의미] 편안할 때에 어려움이 닥칠 것을 미리 대비하여야 함.
○ 거안제미 擧案齊眉
[한자] 들 거, 책상 안, 가지런할 제, 눈썹 미
[의미] 밥상을 눈썹과 가지런하도록 공손히 들어 남편 앞에 가지고 간다는 뜻으로, 남편을 깍듯이 공경함을 이르는 말. 남편/아내/타인 공경은 자신을 위하는 것으로 알라는 의미의 사자성어.
○ 건곤일척 乾坤一擲
[한자] 하늘 건, 땅 곤, 한 일, 던질 척
[의미] 주사위를 던져 승패를 건다는 뜻으로, 운명을 걸고 단판으로 승부를 겨룸을 이르는 말.
○ 건양다경 建陽多慶
[한자] 세울 건, 볕 양, 많을 다, 경사 경
[의미] 옛날 사람들은 밝은 기운을 양기라고 했다. 건양이란 '밝은 기운을 세운다, 즉 받아들인다.'는 의미이고, 다경이란 '경사스러운 일이 많다.'는 의미. 그러므로 입춘을 맞이하여 밝은 기운을 받아들이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기를 기원하는 글.
○ 격물치지 格物致知
[한자] 격식 격, 만물 물, 이를 치, 알 지
[의미] 실제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지식을 완전하게 함. 사서의 하나인 '대학'에 나오는 말
○ 격세지감 隔世之感
[한자] 막을 격, 세상(세대) 세, 어조사 지, 느낄 감
[의미] 오래지 않은 동안에 몰라보게 변하여 아주 다른 세상이 된 것 같은 느낌.
○ 격화소양 隔靴搔癢
[한자] 막을 격, 신 화, 긁을 소, 가려울 양
[의미] 신을 신고 발바닥을 긁는다는 뜻으로, 어떤 일을 할 때 그 정통을 찌르지 못하고 겉돌기만 하여 안타깝다는 말.
○ 견강부회 牽强附會
[한자] 끌 견, 강할 강, 붙을 부, 모일 회
[의미] 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억지로 끌어 붙여 자기에게 유리하게 함.
○ 견리사의 見利思義
[한자] 볼 견, 이로울 리, 생각 사, 옳을 의
[의미] 눈앞의 이익을 보면 의리를 먼저 생각함.
○ 견마지로 犬馬之勞
[한자] 개 견, 말 마, 어조사 지, 수고로울 로
[의미]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이라는 뜻으로, 윗사람에게 충성을 다하는 자신의 노력을 낮추어 이르는 말.
○ 견문발검 見蚊拔劍
[한자] 볼 견, 모기 문, 뺄(뽑을) 발, 칼 검
[의미] 모기를 보고 칼을 뺀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에 크게 성내어 덤빔을 이르는 말.
[참조] → 교각살우
○ 견물생심 見物生心
[한자] 볼 견, 만물 물, 날 생, 마음 심
[의미] 귀한 물건을 보게 되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
○ 견원지간 犬猿之間
[한자] 개 견, 원숭이 원, 어조사 지, 사이 간
[의미] 개와 원숭이의 사이라는 뜻으로, 사이가 매우 나쁜 두 사람의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견토지쟁 犬兎之爭
[한자] 개 견, 토끼 토, 어조사 지, 다툴 쟁
[의미] 개와 토끼의 다툼이라는 뜻으로, 두 사람의 싸움에 제삼자가 이익을 봄을 이르는 말.
[참조] 어부지리
○ 결자해지 結者解之
[한자] 맺을 결, 사람 자, 풀 해, 어조사 지
[의미] 맺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는 뜻으로, 자기가 저지른 일은 자기가 해결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 결초보은 結草報恩
[한자] 맺을 결, 풀 초, 갚을 보, 은혜 은
[의미]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유래] 중국 춘추시대에, 진나라의 위과(魏顆)가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에 서모를 개가시켜 순사(殉死)하지 않게 하였더니, 그 뒤 싸움터에서 그 서모 아버지의 혼이 적군의 앞길에 풀을 묶어 적을 넘어뜨려 위과가 공을 세울 수 있도록 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
○ 경거망동 輕擧妄動
[한자] 가벼울(경솔할) 경, 들(일으킬) 거, 허망할(망령될) 망, 움직일 동
[의미] 경솔하여 생각 없이 망령되게 행동함. 또는 그런 행동. 경망한 행동으로 순화
○ 경국지색 傾國之色
[한자] 기울 경, 나라 국, 어조사 지, 색 색
[의미] 임금이 혹하여 나라가 기울어져도 모를 정도의 미인이라는 뜻으로, 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을 이르는 말.
○ 경전하사 鯨戰蝦死
[한자] 고래 경, 싸울 전, 새우 하, 죽을 사
[의미]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는 뜻으로, 강한 자끼리 서로 싸우는 통에 아무 상관도 없는 약한 자가 해를 입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천동지 驚天動地
[한자] 놀랄 경, 하늘 천, 움직일 동, 땅 지
[의미] 하늘을 놀라게 하고 땅을 뒤흔든다는 뜻으로, 세상을 몹시 놀라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천애인 敬天愛人
[한자] 공경할 경, 하늘 천, 사랑 애, 사람 인
[의미] 하늘을 공경하고 인간을 사랑함.
○ 계구우후 鷄口牛後
[한자] 닭 계, 입 구, 소 우, 뒤 후
[의미] 큰 조직의 말석을 차지하기보다 작은 조직의 우두머리가 되는 편이 낫다는 뜻.
[유래] 계구(鷄口)는 닭의 주둥이, 즉 닭의 머리를 말하며 우후(牛後)는 소의 궁둥이를 말한다. 이 말은 사기(史記)의 소진전(蘇秦傳)에 나오는 “寧爲鷄口 勿爲牛後(계구가 될지언정 우후는 되지 말라)” 에서 유래.
[참조] → 용두사미
○ 계륵 鷄肋
[한자] 닭 계, 갈비 륵
[의미] 닭의 갈비라는 뜻으로, 그다지 큰 소용은 없으나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을 이르는 말. 후한서(後漢書)의 양수전(楊修傳)에 나오는 말.
○ 계명구도 鷄鳴狗盜
[한자] 닭 계, 울 명, 개 구, 도둑 도
[의미] 비굴하게 남을 속이는 하찮은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유래] 중국 제나라의 맹상군이 진(秦)나라 소왕(昭王)에게 죽게 되었을 때, 식객(食客) 가운데 개를 가장하여 남의 물건을 잘 훔치는 사람과 닭의 울음소리를 잘 흉내 내는 사람의 도움으로 위기에서 빠져 나왔다는 데서 유래.
○ 고군분투 孤軍奮鬪
[한자] 외로울 고, 군사 군, 떨칠(힘쓸) 분, 싸움 투
[의미] ① 외로이 떨어져 있는 군사가 많은 수의 적군과 용감하게 잘 싸움. ② 남의 도움을 받지 아니하고 힘에 벅찬 일을 잘해 나가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립무원 孤立無援
[한자] 외로울 고, 설 립, 없을 무, 도울 원
[의미] 고립되어 구원을 받을 데가 없음.
○ 고식지계 姑息之計
[한자] 잠시(시어머니) 고, 숨(쉴) 식, 어조사 지, 꾀할 계
[의미] 우선 당장 편한 것만을 택하는 꾀나 방법. 한때의 안정을 위해 임시로 둘러맞추어 처리하거나 이리저리 주선하여 꾸며 내는 계책.
[참조] → 임기응변, 궁여지책
○ 고육지계 苦肉之計
[한자] 괴로울 고, 고기 육, 어조사 지, 꾀할(셈할) 계
[의미] 적을 속이기 위하여 자신의 괴로움을 무릅쓰고 꾸미는 계책
[참조] = 고육지책(苦肉之策), 고육책
○ 고장난명 孤掌難鳴
[한자] 외로울 고, 손바닥 장, 어려울 난, 울 명
[의미] 외손뼉만으로는 소리가 울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혼자의 힘만으로 어떤 일을 이루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 고정관념 固定觀念
[한자] 굳을 고, 정할 정, 볼 관, 생각(할) 념
[의미] 잘 변하지 아니하는, 행동을 주로 결정하는 확고한 의식이나 관념.
○ 고진감래 苦盡甘來
[한자] 쓸(괴로울) 고, 다할 진, 달 감, 올 래
[의미]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으로,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옴을 이르는 말.
○ 고침안면 高枕安眠
[한자] 높을 고, 베게(벨, 잘) 침, 편안할 안, 쉴(잘) 면
[의미] 베개를 높이 하여 편안히 잔다는 뜻으로, 근심 없이 편안히 지냄을 이르는 말.
○ 곡학아세 曲學阿世
[한자] 굽을 곡, 배울 학, 언덕(의지할) 아, 세상(세대) 세
[의미] 바른 길에서 벗어난 학문으로 세상 사람에게 아첨함.
○ 공리공론 空理空論
[한자] 빌 공, 이치(다스릴) 리, 빌 공, 이론(논할) 논
[의미] 실천이 따르지 아니하는, 헛된 이론이나 논의.
[참조] → 실사구시, 탁상공론
○ 공명정대 公明正大
[한자] 공평할 공, 밝을 명, 바를 정, 큰 대
[의미] 마음이 공평하고 사심이 없으며 밝고 큼.
○ 공사다망 公私多忙
[한자] 공평할 공, 사사로울 사, 많을 다, 바쁠 망
[의미] 공적·사적인 일 따위로 매우 바쁨.
○ 공적부조 公的扶助
[한자] 공평할 공, 어조사 적, 도울 부, 도울 조
[의미] 국가나 지방 공공 단체가 생활 능력이 없는 사람에게 최저 한도의 생활수준을 보장하기 위하여 보호 또는 원조를 행하는 일. 현대 선진 국가에서는 사회보험제도와 함께 사회보장의 일환으로 이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참조] = 국가부조, 사회부조
○ 공전절후 空前絶後
[한자] 빌 공, 앞 전, 끊을 절, 뒤 후
[의미] 비교할만한 것이 이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음.
[참조] = 전무후무
○ 공즉시색 空卽是色
[한자] 빌 공, 곧 즉, 이것(옳을) 시, 색 색
[의미] 우주 만물은 모두 실체가 없는 공허한 것이지만, 인연의 상관관계에 의해 그대로 제각기 별개의 존재로서 존재한다는 반야심경(般若心經)의 말.
○ 공평무사 公平無私
[한자] 공평할 공, 평평할 평, 없을 무, 사사로울 사
[의미] 공평하여 사사로움이 없음.
○ 과대망상 誇大妄想
[한자] 자랑할 과, 큰 대, 망령될 망, 생각 상
[의미] 턱없이 과장하여 엉뚱하게 생각함.
○ 과대평가 過大評價
[한자] 지나칠 과, 큰 대, 평할 평, 값 가
[의미] 실제보다 지나치게 높이 평가함.
○ 과소평가 過小評價
[한자] 지나칠 과, 작을 소, 평할 평, 값 가
[의미] 사실보다 작거나 약하게 평가함.
○ 과유불급 過猶不及
[한자] 지날 과, 오히려(원숭이) 유, 아니 불, 미칠 급
[의미]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뜻으로, 중용(中庸)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선진편(先進篇)에 나오는 말.
○ 관포지교 管鮑之交
[한자] 대롱 관, 절인 어물 포, 어조사 지, 사귈 교
[의미] 아주 친한 친구 사이의 사귐을 이르는 말.
[유래] 중국 춘추시대의 관중과 포숙의 우정이 아주 돈독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
○ 관혼상제 冠婚喪祭
[한자] 갓 관, 혼인할 혼, 죽을(잃을) 상, 제사 제
[의미] 관례, 혼례, 상례, 제례를 아울러 이르는 말.
[참조] 관례 - 예전에, 남자가 성년에 이르면 어른이 된다는 의미로 상투를 틀고 갓을 쓰게 하던 예식. 유교에서는 원래 스무 살에 관례를 하고 그 후에 혼례를 하였으나 조혼이 성행하자 관례와 혼례를 겸하여 하였다.
○ 괄목상대 刮目相對
[한자] 비빌 괄, 눈 목, 서로 상, 대할 대
[의미] 눈을 비비고 상대편을 본다는 뜻으로, 남의 학식이나 재주가 놀랄 만큼 부쩍 늚을 이르는 말.
○ 광음여류 光陰如流
[한자] 빛 광, 그늘 음, 같을 여, 흐를 유
[의미] 세월이 흐르는 물과 같이 빠름.
○ 교각살우 矯角殺牛
[한자] 바로잡을 교, 뿔 각, 죽일 살, 소 우
[의미] 소의 뿔을 바로잡으려다가 소를 죽인다는 뜻으로, 잘못된 점을 고치려다 그 정도가 지나쳐 오히려 일을 그르침을 이르는 말. 즉, 작은 일로 인해 큰일을 그르침.
[참조] → 견문발검
○ 교언영색 巧言令色
[한자] 교묘할 교, 말씀 언, 영(아름다울) 영, 색 색
[의미] 아첨하는 말과 알랑거리는 태도. 듣기 좋도록 교묘하게 말을 꾸미고, 보기 좋게 얼굴색을 꾸미는 것.
[참조] 교언영색 선의인(巧言令色 鮮矣仁) – 공자의 가르침으로, 약삭빠른 말과 꾸미는 얼굴에는 군자의 근본인 인(仁)이 깃들기 힘들다는 말.
○ 교외별전 敎外別傳
[한자] 가르칠 교, 바깥 외, 다를 별, 전할 전
[의미] <불교> 선종에서, 부처의 가르침을 말이나 글에 의하지 않고 바로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여 진리를 깨닫게 하는 법.
[참조] 불립문자 염화미소, 염화시중, 이심전심
○ 교토삼굴 狡兎三窟
[한자] 교활할 교, 토끼 토, 석 삼, 굴 굴
[의미] 교활한 토끼는 세 개의 숨을 굴을 파 놓는다는 뜻으로, 사람이 교묘하게 잘 숨어 재난을 피함을 이르는 말.
○ 교학상장 敎學相長
[한자] 가르칠 교, 배울 학, 서로 상, 클 장
[의미] 가르치고 배우면서 성장함.
○ 구개음화 口蓋音化
[한자] 입 구, 덮을 개, 소리 음, 될 화
[의미] 끝소리가 ‘ㄷ, ㅌ’인 형태소가 모음 ‘ㅣ’나 반모음 ‘ㅣ[j]’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그것이 구개음 ‘ㅈ’, ‘ㅊ’이 되거나, ‘ㄷ’ 뒤에 형식 형태소 ‘히’가 올 때 ‘ㅎ’과 결합하여 이루어진 ‘ㅌ’이 ‘ㅊ’이 되는 현상. 굳이가 구지로, 굳히다가 구치다로 발음되는 것.
○ 구구절절 句句節節
[한자] 글귀 구, 마디 절
[의미] 한 구절 한 구절마다.
○ 구밀복검 口蜜腹劍
[한자] 입 구, 꿀 밀, 배 복, 칼 검
[의미] 입에는 꿀이 있고 배 속에는 칼이 있다는 뜻으로, 말로는 친한 듯하나 속으로는 해칠 생각이 있음을 이르는 말.
○ 구설수 口舌數
[한자] 입 구, 혀 설, 운수(셈) 수
[의미] 남에게 시비하거나 헐뜯는 말을 듣게 될 신수.
[참조] 구설수에 오르다. 구설수에 휘말리다.
○ 구우일모 九牛一毛
[한자] 아홉 구, 소 우, 한 일, 털 모
[의미] 아홉 마리의 소 가운데 박힌 하나의 털이란 뜻으로, 매우 많은 것 가운데 극히 적은 수를 이르는 말.
[참조] = 창해일속
○ 구제금융 救濟金融
[한자] 구원할(도울) 구, 건널(구제할) 제, 쇠(돈) 금, 녹을(유통할) 융
[의미] 기업의 도산 방지를 위하여 금융기관이 특정 기업에 대하여 정책적으로 자금을 융자해 주는 일.
○ 구태의연 舊態依然
[한자] 옛 구, 모양(태도) 태, 의지할 의, 그럴 연
[의미] 조금도 변하거나 발전한 데 없이 예전 모습 그대로임.
○ 국정감사 國政監査
[한자] 나라 국, 정사 정, 볼 감, 조사할 사
[의미] 국회가 국정 전반에 대해서 정기적으로 조사하는 것.
[참조] 정기적(매년 9~10월)으로 국회에서 행정부처(행자부, 법무부, 재경부 등 우리나라의 모든 정부부처)에 자료를 요구하고 국정을 제대로 수행했는지, 비리는 없는지, 예산 집행은 제대로 되고 있는지 조사도 하고, 필요하면 행정부 관료들 불러다 질문도 하고 하는 것.
○ 국정조사 國政調査
[한자] 나라 국, 정사 정, 조사할(고를) 조, 조사할 사
[의미] 행정부의 업무수행에 관한 특별한 사안에 대해 국회가 필요하다고 생각될 때 직접 행하는 조사.
[참조] 국가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의혹적인 사건이 있을 때, 검찰수사와는 별도로 국회에서 위원회 등을 구성해서 조사한다.
○ 군계일학 群鷄一鶴
[한자] 무리 군, 닭 계, 한 일, 학 학
[의미]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참조] = 백미
○ 군자삼락 君子三樂
[한자] 군자 군, 접미사 자, 석 삼, 즐거울 락
[의미]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설명] 전국시대, 철인(哲人)으로서 공자의 사상을 계승 발전시킨 맹자(孟子)는 <맹자(孟子)> 진심편(盡心篇)에서 이렇게 말했다.
君子有三樂 (군자유삼락)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
而王天下不與存焉 (이왕천하불여존언) 천하의 왕이 되는 것은 여기에 들어 있지 않다.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 (부모구존 형제무고 일락야) 양친이 다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이 첫 번째 즐거움이요
仰不愧於天 俯不怍於人 二樂也 (앙불괴어천 부부작어인 이락야) 우러러 하늘에 부끄럽지 않고 굽어보아도 사람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것이 두 번째 즐거움이요
得天下英才 而敎育之 三樂也 (득천하영재 이교육지 삼락야)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교육하는 것이 세 번째 즐거움이다.
君子有三樂, 而王天下不與存焉 (군자유삼락 이왕천하불여존언) 군자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으나, 천하를 통일하여 왕이 되는 것은 여기에 들어 있지 않다
맹자가 말한 세 가지 즐거움 중에서 첫 번째 즐거움은 하늘이 내려 준 즐거움이다. 부모의 생존은 자식이 원한다고 하여 영원한 것이 아니므로 오랫동안 함께할 수 있다면 그 자체로써 즐겁다는 말이다. 두 번째 즐거움은 하늘과 땅에 한 점 부끄럼이 없는 삶을 강조한 것으로, 스스로의 인격 수양을 통해서만 가능한 즐거움이다. 세 번째 즐거움은 자기가 갖고 있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베푸는 즐거움으로, 즐거움을 혼자만 영위할 것이 아니라 남과 공유하기를 바라는 것이다.
맹자는 세 가지 즐거움을 제시하면서 왕이 되는 것은 여기에 들어 있지 않음을 두 차례나 언급하여 강조하고 있는데, 국가를 경영할 경륜도 없고 백성을 사랑하는 인자함도 없으면서, 왕도정치에는 귀도 기울이지 않고 오직 전쟁을 통해서, 백성들의 형편이야 어찌 되든 패자가 되려고만 했던 당시 군왕들에게, 왕 노릇보다 기본적인 사람이 되라는 맹자의 질책이었다.
○ 궁여지책 窮餘之策
[한자] 다할(궁할) 궁, 남을 여, 어조사 지, 꾀 책
[의미] 궁한 나머지 생각다 못하여 짜낸 계책.
[참조] = 임기응변, 고식지계
○ 권모술수 權謀術數
[한자] 권세 권, 꾀할 모, 꾀 술, 셈(꾀,재주) 수
[의미]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아니하는 온갖 모략이나 술책.
○ 권토중래 捲土重來
[한자] 주먹(말) 권, 흙 토, 거듭(무거울) 중, 올 래
[의미] ① 땅을 말아 일으킬 것 같은 기세로 다시 온다는 뜻으로, 한 번 실패하였으나 힘을 회복하여 다시 쳐들어옴을 이르는 말. ② 어떤 일에 실패한 뒤에 힘을 가다듬어 다시 그 일에 착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극기복례 克己復禮
[한자] 이길 극, 몸(자기) 기, 돌아올 복(다시 부), 예도 례
[의미] 자기의 욕심을 누르고 예의범절을 따름.
○ 극악무도 極惡無道
[한자] 지극할 극, 악할 악, 없을 무, 길 도
[의미] 더할 나위 없이 악하고 도리에 완전히 어긋나 있음.
○ 근묵자흑 近墨者黑
[한자] 가까울 근, 먹 묵, 사람 자, 검을 흑
[의미] 먹을 가까이하는 사람은 검어진다는 뜻으로, 나쁜 사람과 가까이 지내면 나쁜 버릇에 물들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근하신년 謹賀新年
[한자] 삼갈 근, 하례할 하, 새로울 신, 해 년
[의미] 삼가 새해를 축하한다는 뜻으로, 새해의 복을 비는 인사말.
○ 금과옥조 金科玉條
[한자] 쇠 금, 과목 과, 구슬 옥, 조목 조
[의미] 금이나 옥처럼 귀중히 여겨 꼭 지켜야 할 법칙이나 규정.
○ 금상첨화 錦上添花
[한자] 비단 금, 위 상, 더할 첨, 꽃 화
[의미]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참조] ↔ 설상가상
○ 금성탕지 金城湯池
[한자] 쇠 금, 성 성, 끓일 탕, 연못 지
[의미] 쇠로 만든 성과, 그 둘레에 파 놓은 뜨거운 물로 가득 찬 못이라는 뜻으로, 방어시설이 잘되어 있는 성을 이르는 말. <한서>의 괴통전(蒯通傳)에 나오는 말.
○ 금수강산 錦繡江山
[한자] 비단 금, 수놓을 수, 강 강, 산 산
[의미]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이르는 말.
○ 금시초문 今始初聞
[한자] 이제 금, 비로소 시, 처음 초, 들을 문
[의미] 바로 지금 처음으로 들음.
○ 금의야행 錦衣夜行
[한자] 비단 금, 옷 의, 밤 야, 다닐 행
[의미] ①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다닌다는 뜻으로, 자랑 삼아 하지 않으면 생색이 나지 않음을 이르는 말. ② 아무 보람이 없는 일을 함을 이르는 말.
○ 금의환향 錦衣還鄕
[한자] 비단 금, 옷 의, 돌아올 환, 시골 향
[의미] 비단옷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출세하여 고향에 돌아옴을 이르는 말.
○ 금지옥엽 金枝玉葉
[한자] 쇠 금, 가지 지, 구슬 옥, 나뭇잎 엽
[의미] ① 금으로 된 가지와 옥으로 된 잎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말. ② 귀한 자손을 이르는 말.
[참조] 애지중지
○ 금치산자 禁治産者
[한자] 금할 금, 다스릴 치, 낳을 산, 사람 자
[의미] 가정법원에서 심신 상실의 상태에 있어 자기 재산의 관리·처분을 금지하는 선고를 받은 사람.
○ 기각지세 掎角之勢
[한자] 끌 기, 뿔 각, 어조사 지, 기세 세
[의미] ① 사슴을 잡을 때 사슴의 뒷발을 잡고 뿔을 잡는다는 뜻으로, 앞뒤에서 적을 몰아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② 두 영웅이 대치하여 세력을 다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기고만장 氣高萬丈
[한자] 기운 기, 높을 고, 일만 만, 길이(어른) 장
[의미] ① 펄펄 뛸 만큼 대단히 성이 남. ② 일이 뜻대로 잘될 때, 우쭐하여 뽐내는 기세가 대단함.
○ 기사회생 起死回生
[한자] 일어날 기, 죽을 사, 돌아올 회, 날 생
[의미] 거의 죽을 뻔하다가 도로 살아남.
○ 기상천외 奇想天外
[한자] 기이할 기, 생각 상, 하늘 천, 바깥 외
[의미] 착상이나 생각 따위가 쉽게 짐작할 수 없을 정도로 기발하고 엉뚱함.
○ 기성세대 旣成世代
[한자] 이미 기, 이룰 성, 세대 대, 시대(대신할) 대
[의미] 현재 사회를 이끌어 가는 나이가 든 세대.
○ 기승전결 起承轉結
[한자] 일어날 기, 이을 승, 바꿀(구를) 전, 맺을 결
[의미] ① <문학> 한시에서, 시구를 구성하는 방법. 기는 시를 시작하는 부분, 승은 그것을 이어받아 전개하는 부분, 전은 시의를 한 번 돌리어 전환하는 부분, 결은 전체 시의(詩意)를 끝맺는 부분. ② 논설문 따위의 글을 짜임새 있게 짓는 형식.
○ 기시감 旣視感
[한자] 이미 기, 볼 시, 느낄 감
[의미] 최초의 경험인데도 이미 보거나 경험한 적이 있다고 느끼게 되는 심리상태. 일부 심령학계에서는 이를 전생의 기억이나 예지력 같은 초능력 현상으로 보기도 하지만, 현대 의학에서는 '지각장애'의 일종으로 파악한다. 과거에 매우 보고 싶어했던 것, 누구한테인가 들은 것 따위가 잠재해 있다가 어떤 찰나 현실에 겹쳐지는 기억의 착오 현상이라는 설명이다. 기시감과 반대로 잘 알고 있는 장소를 처음 보는 장소로 여기는 현상은 미시감이라고 한다.
[참조] Deja-vu(데자뷰 or 데자뷔)
○ 기인지우 杞人之憂
[한자] 나라이름 기, 사람 인, 어조사 지, 근심 우
[의미] 앞일에 대해 쓸데없는 걱정을 함. 또는 그 걱정.
[유래] 옛날 중국 기(杞)나라에 살던 한 사람이 ‘만일 하늘이 무너지면 어디로 피해야 좋을 것인가?’ 하고 침식을 잊고 걱정하였다는 데서 유래 (= 기우, 杞憂)
○ 기정사실 旣定事實
[한자] 이미 기, 정할 정, 일 사, 열매(실제) 실
[의미] 이미 결정되어 있는 사실. 이미 정해진 일로 순화.
○ 기진맥진 氣盡脈盡
[한자] 기운 기, 다할 진, 혈관(맥박) 맥
[의미] 기운과 의지력이 다하여 스스로 가누지 못할 지경이 됨.
○ 기호지세 騎虎之勢
[한자] 말 탈 기, 범 호, 어조사 지, 기세 세
[의미]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형세라는 뜻으로, 이미 시작한 일을 중도에서 그만둘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길흉화복 吉凶禍福
[한자] 길할 길, 흉할 흉, 재앙 화, 복 복
[의미] 길흉과 화복을 아울러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