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소의 전략은 왜 성공적이었을까? 다이소는 어떻게 지금의 위치까지 올라갈 수 있었을까? 사업을 꾸려나가면서 행해지는 전략은 무수히 많지만 그 전략들에 기초가 되는 비전과 가치는 일관되어야 한다. 그리고 다이소는 그 규칙을 지금까지 지키고 있다. 그것이 다이소의 성공 요인이다. 위 기사는 다이소의 박정부 회장이 쓴 '천원의 행복'이라는 도서를 간추린 내용인데, 나도 최근에 읽은 책이라 다이소의 비전과 가치, 그리고 그 전략이 왜 성공했는지 간단히 적어보려 한다.
다이소는 상품이 잘 팔릴 수 있는 환경을 잘 조성했다. 그리고 그 환경에는 다이소의 기업 비전인 ‘합리적인 가격’, ‘믿을 만한 품질’, ‘편리한 고객접근’이 포함된다.
상품은 싸다고 무조건 환대 받지 않는다. 제품은 싸면 싼 만큼 그 품질이 떨어진다고 생각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이소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식으로 품질보증규격인 ISO9001 인증과 4단계에 걸친 다이소 품질 검증 방식을 도입했다. 소비자들에게 위와 같은 검증 방식을 통해, 다이소의 제품 품질이 타 사의 고가 제품들에 비해 뒤쳐질지 언정, 그 상품성만큼은 가격 이상의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다이소 제품의 가성비는 그 가격에서도 드러난다. 500원, 1000원, 1500원, 2000원, 3000원, 5000원 6개로 이루어진 다이소의 상품 가격은 소비자에게 거품이 있을 수 없다는 확신을 심어줬다. 일례로 다이소는 최근에 ‘제이엠솔루션’이라는 브랜드의 스킨케어 제품 6종을 마스크 팬 1000원, 클렌징 폼 3000원, 토너 5000원 등의 합리적인 가격으로 판매했다. 이 중 5000원짜리 앰플 화장품 ‘모이스처라이징 앰플’은 ‘미샤’, ‘더페이스샵’, ‘이니스프리’ 등 기존 1세대 로드샵조차 평균 2만~3만원 대 가격에 판매해왔던 제품이다. 이 뿐만이 아니다. 다이소에서 판매된 ‘모이스처라이징 앰플’은 위에서 언급한 품질 검증 외에 ‘피부 저 자극 테스트’와 독일의 ‘더마 테스트’가 추가로 이뤄졌다고 한다. 여기서도 다이소의 제품성을 위한 세심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아무리 우수한 가게라고 해도 그 접근성이 떨어진다면 상품이 잘 팔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래서 다이소는 전국 1080여개의 매장을 동시 운영하는 ‘다 점포 전략’ 으로 고객들에게 다가섰다. 때문에 고객들은 전국 팔도 어디를 가든 다이소의 제품과 만나볼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다이소 제품의 가성비가 아무리 좋다고 한들, 고객 입장에서 매번 같은 제품을 구매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때문에 다이소는 압도적인 취급 품목의 수(대략 3만 2000여 개)와 신상품의 수(대략 600여 개)로 고객들에게 언제나 새로운 얼굴을 내비쳤다.
이것이 기본이다. 물론 단가 조정을 위한 유통망 확보, 협력업체와의 신뢰 조성 등 여러가지 세부 전략들은 있지만 기업이 제시한 3가지 비전이야말로 다이소의 근간이다. 사업은 기본에 충실해야 하고, 경쟁적 도전을 회피해서는 안된다. 그것을 다이소는 몸소 보여준다. 책을 읽고 나서, 난 박정부 회장에 대한 강한 경외감이 들었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을 우리 학우들에게 추천한다. 한번쯤 읽어보면 창업자가 어떤 고뇌를 거쳐 사업을 일궈냈는지 들여다 볼 수 있을 것이다. 좋은 기회 잡아보길 바라며, 글을 마친다.
역시 경영자의 철학이 다이소 기업 운영에 그대로 반영되는 것이 인상 깊습니다. 솔직히 전자제품의 경우에는 다이소가 좋지 않은 경우가 있었으나 생활용품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품질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느꼈는데 다이소만의 품질 검증 방식이 있었음을 기사를 통해 확인하니 흥미롭습니다.
첫댓글 나도 다이소를 이용한단다.
막연히 다이소를 일본기업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는데 다이소는 분명 대한민국 기업 이란다.
역시 경영자의 철학이 다이소 기업 운영에 그대로 반영되는 것이 인상 깊습니다.
솔직히 전자제품의 경우에는 다이소가 좋지 않은 경우가 있었으나 생활용품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품질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느꼈는데
다이소만의 품질 검증 방식이 있었음을 기사를 통해 확인하니 흥미롭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