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줄. 목줄. 바늘 ♣ 대구, 경북권에서 새우대물낚시하시는 조우님들은 누구나 수초 군이 형성되어 있는 저수지를 선호하며 또한 수초와 대물 붕어와는 떨어 질레야 떨어질 수 없는 관계이며 모든 조사님이 수초지역을 포인트로 대물낚시를 하는 편입니다. 예민한 찌 맟춤을 하여 손맛을 즐기는 떡밥낚시보다는 무거운 부력으로 손맛과 물소리 맛을 느끼며 강한 챔질을 하는 새우대물낚시는 수초 밭을 공략함으로 튼튼하며 장력이 없는 원줄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1. 원줄 새우대물낚시에서 사용하는 원줄은 카본사를 권하고 싶습니다. 카본사는 장력이 없으며 강한 챔질에도 견딜 수 있으며 원줄이 물속으로 침수가 되므로 바람과 억샌 수초지역에서 견딜 수 있습니다. 떡밥낚시는 낚시대의 초릿 대를 물속으로 심어주는 방법으로 원줄을 침수 시키고 있으며 새우대물낚시는 자연적으로 원줄이 침수되어야 합니다. 새우대물낚시 원줄 사용호수는 4호 또는 5호 줄 사용하는 편입니다. 이는 대물을 걸었을 때와 수초로 형성되어 있는 포인트에서 대물을 기록한 조우님들의 경험의 바탕으로 설명 드립니다. 2. 목줄 새우대물낚시에서 즐겨 사용하는 목줄은 캐브라 줄을 사용하고 있는 편입니다. 지금은 P. E 줄이 출시되어 부드러 워면서도 강한 목줄이 시판되고 있습니다. 목줄의 줄이는 약 7~9cm의 길이로 사용하고 있으며 수초지역에는 약 6~7cm 짧은 목줄이 걸림 현상이 없고 수초 밭의 마닦에 안착시키는 확률이 나은 편입니다. 목줄의 길이는 바늘의 귀부터 시작하여 목줄 끝 길이를 말합니다. 3.바늘 새우대물낚시에서 즐겨 사용하는 바늘은 잉어바늘(지누) 향어바늘(이두메지나)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 잉어바늘(지누)은 바늘 끝(인)이 예리하여 새우.콩.사용시 편리하며 바늘의 품이 틀어져 있어 재 물림이 잘 되며 지금은 카본소재로 만들어져 생산하고 있어 강하고 튼튼한 바늘입니다. ★ 향어바늘(이두메지나) 바늘의 품은 넓은 편이나 바늘의 끝(인)은 안쪽 뻗어 있어 챔질 시 걸림이 잘되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 붕어바늘(다나고) 바다의 망상어 바늘에서 시작하여 민물의 떡밥 지렁이 바늘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바늘입니다. ★ 돌돔바늘 (소기) 바다의 왕자를 낚는 바늘이며 강한 챔질 시 부러짐이 없습니다. 성개. 따개비. 참소라. 참 갯지렁이 등 딱 딱한 먹이 활동을 하며 통으로 된 돌돔 이빨에 견딜 수 있게 품이 넓고 굻은 카본소재 강철로 만들었으며 바늘의 끝(인)이 빨리 손실 되며 무거운 편입니다. (잉어바늘.향어바늘.특징) 잉어바늘과 향어바늘은 바늘의 꾸부러질 때 어느 정도의 휘어 졌을 때 뿌려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바늘에는 열처리가 되어 있어 강한 만큼 뿌려지는 바늘이 좋은 바늘입니다. 새우대물낚시에서 즐겨 사용하는 바늘은 계절에 따라 호수를 조정하여 사용하는 편입니다. 초봄.... 잉어바늘(지누)4호 향어바늘(이두메지나)12호 저수온기의 붕어는 먹이 활동이 왕성하지 않으므로 작은 호수의 바늘을 사용하여 먹이 활동에 거부감을 없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산란시기부터 여름 .... 5호~6호 붕어의 산란 온도는 18도에서 21도 입니다. 이때부터 붕어는 먹이 활동을 왕성하게 할 시기이며 당길 힘이 붙어 보다 강하고 큰 호수를 사용합니다. 새우 대물낚시에 사용하는 바늘 역시 자신의 바늘의 선택에 달려 있습니다. 예전에 새우대물낚시 시작할 때는 붕어(다나고)9호 바늘을 사용하여 월척 대물 붕어를 낚았다는 조사님도 여러분 계십니다. 낚시 장비의 발전에 보다 튼튼한 낚시대와 원줄과 바늘을 사용하여 한 마리의 대물붕어를 만났을 때 낚기 위한 방법이며 수초지역에서 대물붕어를 걸었을 때 보다 쉽게 낚아내기 하여 대물조사님이 즐겨 사용하는 채비임을 설명합니다. 수초가 없는 맹탕 저수지에서는 원줄 2~3호 바늘 붕어바늘 6~8호에도 대물급 붕어를 낚아낼 수도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