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대구복자성당
 
 
 
카페 게시글
세분 복자 스크랩 [부산교구] 울산 병영장대
서시몬 추천 0 조회 104 15.09.04 19:13 댓글 2
게시글 본문내용

 

북소리에 실려 천상으로

 

 

동래에 있는 수영 장대와 마찬가지로 울산시 중구 남외동에 위치한

울산장대벌은 천주교인들이 무참하게 처형된 순교 터이다.

  병인박해는 한국 교회사상 가장 혹독했던 박해로 기록된다.

울산 장대벌에서 처형된 순교자들은 소위 군문 효수(軍門梟首)의 형에 처해졌는데,

이는 처형된 이들의 목을 죽어서도 장대 위에 매달아 두는 대단히 가혹한 처형 방법이었다.

  박해 당시 이곳에는 좌도 병마 절도사가 있었고 장대(將臺)마당이 있었다.

그래서 이곳은 군인들의 주둔지로서 군사 훈련뿐 아니라

 중죄인을 처형하는 장소로도 쓰였다.

 

1860년 경신박해 때와 병인박해 중인 1868년,

 두 처례의 큰 박해 때 수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이곳에서 순교했다.

경신박해 때는 백지 사형으로 순교한 오치문, 병인박해 때에는 경주 감옥에 갇혔던

 허인백, 김종륜, 이양등 회장 등이 이곳에서 군문 효수를 당했다.

 

언양 사람으로 해주(海州) 오(吳)씨 명문가의 자손인 오치문은

 1801년 이곳 언양에 귀양 온

 강이문에 의해 이 지방에서는 처음으로 교인이 된 것으로 전해진다.

학자이면서도 벼슬길에 나서지 않고 외교인들과도 별로 가까이하지 않던 그는

오로지 산골에서 숯을 굽는 교우들과 깊은 교분을 가지며 신앙 생활에충실하다가

1860년 체포되어 울산 장대벌에서 백지 사형으로 순교했다.

 

허인백(야고보)은 김해 출신으로 언양 간월로 이주해 살다가

경신박해 때 체포되었으나 풀려 난 바 있다.

그 후 1868년 병인박해 때 간월보다 더 깊은 산중의 대재 공소로 숨어들었다.

그곳에서 그는 충청도 공주에서 박해를 피해 온 김종률(루가)과

대재 공소 회장이던 이양등(베드로)의 가족들을 만난다.

이 세 가족은 안전한 피난처를 물색하다가 범굴을 찾고 이곳에 가족들을 피신시켰다.

 

이들은 목기(木器)를 만들어 팔고부락으로 내려가 밥을 빌어 오는 등

어려운 생활을 했으나 밤마다 가족들이 둘러앉아 기도를 드리는 등 열심한 신앙 생활을 했다.

 하지만 포졸들은 이 깊은 산중에까지 들이 닥쳐 결국 이들은 경주로 끌려간다.

 

이 즈음은 오페르트의 남연군묘 도굴사건으로 대원군이 크게 노해

 매우 혹독한 박해령을 내렸기 때문에 포졸들은 혈안이되어 산 속 깊은 곳까지

 신자들을 찾아 샅샅이 뒤지고 다녔던 때인다.

경주에서 가혹한 형벌과 신문을 받던 이들은 다시 2개월 후 울산으로 이송되어 문초를 받다가

마침내 1868년 8월 14일 이곳울산 장대벌에서 순교했다.

 

순교자들의 유해는 허인백의 부인이 수습해 사형장 근처에 가매장했다가

 신앙의 자유가 허용되어 교인들의 장례가 가능해지자

 연고가 있는 월성군 산내면 진목정안산에 합장된다.

그러다가 1932년 허인백의 손자 허명선과 김종률의 손자

김명옥에 의해 대구 월배 천주교회 묘지로 다시 옮겨졌다.

1962년에는 대구 가톨릭청년회 주선으로 월배 묘지 내 성모상 앞의 석함 속에 안장됐다가

또다시 1973년 대구 복자 본당으로 이장됐다.

 

[출처 : 주평국, 하늘에서 땅 끝까지 -

향내나는 그분들의 발자국을 따라서, 가톨릭출판사, 1996]

 

 

울산 장대에서 대구로 이어진 신앙

울산 시내 동쪽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동해 남부선의 효문 역 근처에는

 이 지역의 유명한 순교 터인 '울산 장대'(울산시 중구 남외동 567번지)가 있다.

 '장대'란 군대 지휘관이 올라서서 군사를 지휘하던 곳으로 대부분 돌을 쌓아 만들었다.

이 곳 울산에는 경상좌도 병마 절도사의 지휘소가 있었고, 장대 앞에는

 군인들의 주둔지와 연병장이 위치해 있었으므로 자주 중죄인들의 처형장으로 이용되었으며,

경신박해와 병인박해 때는 교우들의 형장이 되었다.

 

그 첫 번째 순교자인 오치문(베드로 ?)은 언양의 명문 가정에서 태어났는데

신앙을 받아들인 뒤에는 오로지 교리만을 실천하려고 애썼다.

주변의 유력한 사람들이 그에게 벼슬길을 열어 주겠다고 유혹했지만

그의 굳은 마음을 돌릴 수는 없었다.

1860년 경신박해가 경상도 지역을 휩쓸게 되자,

이름이 알려져 있던 오치문은 곧바로 포졸들에게 체포되어

울산 장대로 압송되었고 그 곳에서 순교하였다.

순교 당시 그는 얼굴을 한지로 덮은 채 물을 뿌림으로써 숨이 막혀 죽게 하는

 백지사(白紙死, 일명 도모지) 형벌을 받았는데, 무의식 중에 혀를 내밀어 물 묻은 한지를 뚫자

 군사들이 그 구명을 막아 질식시켰다고 전한다.

 

경신박해 때의 또 다른 사적지로는 울산 '죽림굴'(울산시 상북면 이천리)이 있다.

 이 곳은 간월산 아래의 깊은 산중에 있으며, 최양업 신부가 곳곳의 교우들을 순방하던 중에

 박해를 만나게 되자 은거한 곳이다.

토마스 신부는 이곳에서 4개월 동안 모든 것을 주님께 의탁한 채

교우들과 함께 생쌀을 먹으며 박해를 피했고,

스승에게 마지막 서한(1860년 9월 3일자)을 작성하면서

자신의 애처로운 모습을 설명하기도 하였다.

 

울산 장대의 두 번째 광란은 1868년에 일어났다.

 병인박해가 계속되면서 교우들은 아무도 살지 않는 곳으로 옮겨가야만 했고,

 이 때 울산 간월산 아래에 살던 허인백(야고보)도 더 깊은 산중인

 대재(울주군 상북면 이천리) 교우촌으로 이주하였다.

당시 대재 마을에는 이양등(베드로) 가족을 비롯하여

문경 멍에목(문경군 동로면 명전리)에서 이주해 온

 김종륜(루가) 등이 함께 생활하고 있었다.

 

포졸들의 포위망이 점점 좁혀 오자

대재의 교우들은 범바위굴을 찾아 가족들을 피신시킨 다음

 목기(木器)를 만들어 팔거나 구걸을 하면서 어렵게 살았다.

이러한 생활 속에서도 그들은 신앙을 버리지 않았고,

오히려 기도 생활 안에서 즐거움을 찾았다.

그러나 포졸들은 그들의 조그마한 흔적까지도 찾아내려 하였고,

1868년 5-6월경에는 마침내 범바위굴에 있던 신앙 공동체를 발견하였다.

 이에 앞서 가족들을 피신시킨 이양등, 허인백, 김종륜은 순교를 각오하고 있다가 체포되어

 경주 진영으로 압송되었다.

그런 다음 그곳에서 형벌을 받고 울산으로 이송되어 장대 앞에서 참수형을 받으니,

 때는 1868년 8월 14일(양력 9월 30일)이었다.

 

한편 이들과 함께 체포된 간월 교우촌의 김영제(베드로)는

경주 진영에서 서울로 압송되어 9개월 동안 옥에 같혀 있으면서

종지뼈가 떨어져 나갈 정도로 심한 형벌을 받게 되었다.

이후 그는 석방되어 가족들이 있는

살티(울주군 상북면 덕현리) 교우촌으로 돌아오게 되었지만,

 형벌로 생긴 상처 때문에 고생하다가 6년 후에 선종하고 말았다.

그의 무덤은 지금 살티 공소 인근에 순교자 묘역으로 조성되어 있다.

 

들어간다. 들어간다. 우리 세 명 천국으로 들어간다. …

너희들 저 두 사람의 목을 먼저 베고 내 목을 맨 나중에 베되,

머리를 각각 제 몸에서 떨어지지 않게 해 다오. 훗날 부활할 육신이다

(김구정 편저, "영남 순교사", 1966년).

 

순교 직전에 허 야고보가 남긴 말이다.

형이 집행된 후 세 명의 시신은 허 야고보의 부인 조아에게 거두어져

인근에 매장되었다가 신앙의 자유를 얻게 된 후에 수습되어

경주 산내면 진목정(일명 참나무정이) 교우촌의 안산에 합장되었다.

 당시 이들의 유해는 조아가 묻을 때 잘 표시를 한 뒤에 아들들에게

그 장소와 표를 기억하고 있도록 한 덕택에 누구나 쉽게 구분할 수 있었다고 한다.

 

1932년에 대구 교우들은 진목정 순교자의 무덤을 발굴하여

그 유해들을 대구시 월배 감천리의 교회 묘역으로 옮겨 안장하기로 결의하였으며,

5월 29일에는 수백 명의 교우들의 운집한 가운데 장엄한 천묘식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41년 뒤인 1973년 10월 19일에는 순교자들의 유해가 병인박해 순교 기념 성당으로 건립된

 복자 성당(대구시 동구 신천 3동) 구내로 다시 옮겨짐으로써 울산 장대에서

꽃핀 신앙이 대구로 이어져 오게 되었다. 현재 부산교구 병영 본당 구역인

울산 장대는 순교 사적지로 조성되어 순례자를 기다리고 있다.

 

[출처 : 차기진, 사목 252호(2000년 1월호), pp.91-93]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15.09.04 19:13

    첫댓글 저희 pr.바다의 별에서는 다음주 토요일에서 성지순례 가려는 "울산 장대벌"를 자료를 찾다가 좋은 글이 있어 여기에 옮깁니다

  • 시몬회장님 감사 합니다,
    성지순례가 기대 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