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과 같이 《멀리간 중심의 도수치료》 강좌를 시행합니다.
그동안 멀리간 중심의 도수치료 강좌를 10주 과정으로 진행해왔습니다.
전신의 멀리간 방법의 적용을 10주 과정으로 진행하며, 전체적으로 실습시간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할 수 없어 안타까움이 많았습니다. 따라서 이번 강좌에서는 진단과 다른 방법의 적용, 그리고 멀리간 방법의 적용에 더 많은 실습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상체(경부를 포함한 상지), 하체(흉추, 요추를 포함한 하지)로 분리해서 각각 8주(20시간) 과정으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제1강: 9월 30일 목요일 20:00-22:30
멀리간 치료의 개요. 환자의 검진방법(Cyriax를 중심으로), Balancing Test의 연습
TP의 개념과 진단의 방법 및 압박 이완법에 대하여, 멀리간 방법 및 압박 이완법의 전신 적용법
제2강: 10월 7일 목요일 20:00-22:30
경추의 생체역학, 경추의 진단법(Balancing test를 포함한), NAGs & Reverse NAG,
SNAGs, Fist Traction
제3강: 10월 14일 목요일 20:00-22:30
SMWAMS, 승모근, 견갑거근, 흉쇄유돌근 등 경부 주위근의 압박이완법.
제4강: 10월 21일 목요일 20:00-22:30
견관절의 생체역학 및 병리학, 견관절의 검사법(표면해부학을 포함한),
견관절의 치료법(MWM, AC mobilization, 견갑하근, 극상 및 극하근, 소흉근 등의 압 박 이완법등)
제5강: 10월 28일 목요일 20:00-22:30
주관절의 생체역학 및 병리학, 주관절의 검사법(Tennis Elbow와 Joint lesion의 구분), 주관절에서 Balancing test,
주관절의 치료법(MWM, tapping, arm lines release tech.)
제6강: 11월 4일 목요일 20:00-22:30
수근관절(distal Raioulnar jt, & proper wrist jt)의 생체역학 및 병리학.
수근관절의 검사법, 수근관절에서 Balancing Test
MWM, Tapping
제7강: 11월 11일 목요일 20:00-22:30
수근관절과 지절관절의 생체역학과 병리학. 검사법, 지절골의 Balancing test.
MWM의 적용과 Tapping의 적용법
제8강: 11월 18일 목요일 20:00-22:30
전체적인 Review & 기타의 치료법에 대한 고찰
멀리간은 관절의 정상적인 joint play에 주목했으며, Maitland 등의 mobilization을 연구하였다. 그는 그러한 mobilization 치료의 효과를 인정하지만, 그 방법의 적용 자세에 의문을 품었다. 즉, mobilization을 적용하기 위한 loose-pack position이라는 것이 하나의 장애 요인인 것을 착안하였다.
즉, 우리가 느끼는 대부분의 통증 등의 문제는 그러한 자세에서 만들어지기보다 기능적인 동작-close-pack position -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며,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역시 기능적인 자세에서 제공됨이 옳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그래서 그는 Mobilization을 어떻게 하면 기능적인 자세와, 동작에 적용할 것인가 깊은 연구에 전념했으며, 그 결과물이 바로 그의 이름을 차용한 치료법이 아닌가 생각된다.
우리가 주장하는 Joint play란 우리가 어떤 동작(physiologic motion)을 할 때, 눈으로 보이지 않는 관절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동작으로 glide, roll, spin, compression, distraction ..... 등을 언급하는 것이며, 이러한 joint play의 임상적인 이용은 Maitland나 Kaltenborn 등의 Mobilization에서 진단과 치료를 위한 방법으로 이용된다. (예를 들면, compression과 distration은 진단에서, glide는 주로 치료에서 사용된다.)
멀리간 치료에 있어서 치료에 주로 이용되는 joint play는 glide가 되며, 어떤 기능적인 동작(주로 통증이나 제한을 야기하는)이 뒤따라 만들어진다.
개념적인 면에서 살펴볼 때, 멀리간은 통증이나 제한의 상태를 그 관절과 주변조직의 정렬상태에서 조화를 상실한 것으로 가정하며, 이러한 것을 Mal-position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Mal-position을 정상적인 정렬상태로 바꾸려고 시도하는 과정을 Re-position이라고 했으며, 이러한 Re-position 상태에서 문제가 있었던 기능적인 움직임을 시도한 후, 그 문제(통증, 제한)의 변화를 관찰한다. 이러한 과정을 그는 Tracking이라고 불렀다. 그 과정에서 이전의 문제가 있던 기능적 동작이 아무런 문제없이 최종 범위까지 시행될 수 있을 때 이것이 바로 올바른 normal tracking인 것이며 이것을 반복적으로 시술하므로, 문제의 그 관절에 정상적인 움직임의 track을 재-교육하여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요약하면, Mal-position ⇒ Re-position + motion ⇒ Normal position
(Tracking)
이러한 방법은 상당히 획기적이며, 임상적의 적용에서(본인의 경험에서) 상당히 탁월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다만, 문제점으로 제기하고 싶은 것은 그 Tracking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시도와 실패(try &error)가 급성기 환자에게 많은 고통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멀리간 치료법의 임상적용을 위하여, 정확한 진단은 필수적인 조건인 것이다
일시 : 2010년 9월 30일 (목) 오후 8시~10시 30분
장소 : 학회사무실(홍제동)
강사 : 정찬호 부회장
회비 : 20만원(교재 포함)
(학회전용통장 351-0084-7935-73 농협 이성기) 입금 후 문자 요망
문의: 총무이사 최장호 010-9810-3573
교육이사 고균석 010-2476-9439
<학회 사무실 오는 방법>
홍제 지하철역 4번 출구로 나오셔서 50미터 직진 하시면
좌측에 홍제 현대 아파트가 있으며 입구 들어가서
좌측에 상가 301호 사무실 입니다.
주소:서울 서대문구 홍제동 331번지 홍제현대아파트(또는 홍제현대아이파크)
첫댓글 장현정, 강태욱선생님 입금 확인되었습니다.
저도 강의 듣고 싶습니다^^
안녕 하세요. 전에 들으시려다 사정이 있어서 듣지 못하셨죠!!
입금하시고 문자 주세요. 010-3937-6237
이창현(김명희) 선생님 입금 확인되었습니다.
황선임 선생님 입금 확인되었습니다.
주경민선생 재교육,강지훈선생 강의 신청합니다-서강정형외과
네 알겠습니다.
이창현(김명희) , 장현정, 황선임, 김세영, 강태욱 선생님 입금완료!!!
최지혜 선생님 입금 확인되었습니다.
송가희 선생님 입금 확인!!!
김보미, 강지훈, 주경민 선생님 입금 확인되었습니다.
노은혜, 안희영 선생님 입금 확인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