音韻學에서 重視하는 平上去入과 平聲韻 三十字를 背誦하지 못하면 作詩할 수 없다. 以會書堂 諸益들은 반드시 외우시기 바랍니다.
上平聲 :
(01)東 (02)冬 (03)江 (04)支 (05)微
(06)魚 (07)虞 (08)齊 (09)佳 (10)灰
(11)眞 (12)文 (13)元 (14)寒 (15)刪
下平聲 :
(01)先 (02)蕭 (03)肴 (04)豪 (05)歌
(06)麻 (07)陽 (08)庚 (09)靑 (10)蒸
(11)尤 (12)侵 (13)覃 (14)鹽 (15)咸
七言仄起式(一三五不問, 二四六分明)
仄仄平平平仄仄,
平平仄仄仄平平.
平平仄仄平平仄,
仄仄平平仄仄平.
七言平起式
平平仄仄平平仄,
仄仄平平仄仄平.
仄仄平平平仄仄,
平平仄仄仄平平.
五言仄起式
仄仄平平仄,
平平仄仄平.
平平平仄仄,
仄仄仄平平.
五言平起式
平平平仄仄,
仄仄仄平平.
仄仄平平仄,
平平仄仄平.
<孟子>에 나타난 글자의 聲調
1.梁惠王章句(上下)
(1)平聲 : 惡(어찌오), 與(어조사), 使令(不足使令), 治(治禮義哉), 勝(不可勝誅),
(2)上聲 : 長(어른), 舍(王曰舍之), 放(至也), 勝(不勝其任), 幾(幾千人矣), 疆(疆爲善而已矣),
(3)去聲 : 乘(萬乘之國), 喪(害喪), 好(好戰), 衣(衣帛), 惡(惡之), 爲(위해서), 斂(薄稅斂), 易(治也), 語(出語人曰), 遠(遠疱廚也),
行(荒亡之行), 去(去之), 間(間於齊楚),
2.公孫丑章句(上)
(1)平聲
(2)上聲
(3)去聲 : 王(以齊王), 易(王若易然), 相(輔相之故), 舍(名也), 好(好勇乎), 惡(惡辱而居不仁)
첫댓글 漢詩는 평측,압운등 엄격한 정형성을 따라 익히고 배워야 할텐데 저는 능력이 안되어 포기했읍니다. 무엇보다도 영어와 같은 신학문에 치우쳐서 한자를 쓰는 훈련이 안되어 초래된 우리시대의 문제점입니다. 그러나 해설이 따른 古詩에는 개인적으로 관심이 많읍니다. 미래에 한문문화가 현재의 영어문화를 압도할때가 있을것입니다.
나는 태어나서 처음 접해 보는 과제라 무척 신기(?)해 보이기만 한다. 市隱께서 音韻學의 重要素를 제시한 명제가 비단 이회서당 諸益에게만 호소할 일이 아니고 우리 고성허문의 미래가 창창한 젊은이에게 전수 되었으면 좋겠다. 漢文問化가 英語文化를 압도 할 것이 아니라 동유형의 인류 발달사에 서로 기여 하는 바가 클 것이라고 본다.平上法入과 平聲韻 30자의 背誦하는 방법부터 익혀야 할 것 같다. 내 생전에 한 번 접해 볼 수 있는 계기가 있을까? 꿈이라도 꾸고 있어야지. 살아 온 삶이 후회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