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공무원 하면 9급, 7급 공무원으로 만 알고 있는데 공식적인 명칭은 아래와 같습니다. 내부 호칭은 담당하고 있는 업무 "과장님" 계장님"으로 호칭하나 부서 특성상 및 T/O 문제로 직급은 높은 데 직책이 낮은 경우는 직급을 불러 줍니다. " 서기관님" " 사무관님" 공무원은 직방직과 중앙직 공무원으로 분류됩니다. 중앙직( 검찰, 재경부, 내무부, 국방부 등 주요 중앙 부처 )기준으로
장관
차관
차관보
(위 3개는 정치적 결정이고)
1급 관리관 - 중앙 부처 실장, 차관보
2급 이사관 - 높은 국장, 각 부처의 실장 : 보통 여기서 퇴직하여. 아닌 사람도 있고
3급 부이사관 - 국장, 담당관, 과장급 : 5급위로 진급은 능력에 따라서...
4급 서기관 - 중앙부처 과장, :5급 위로 진급은 능력에 따라서...
5급 사무관 - 계장 :고시 합격후 임용,6급 중에서 임용.
6급 주사 :사무관진급못하면 보통의하위직공무원은 여기서 퇴직.
7급 주사보 :공채, 특채나 8에서 진급
8급 서기 :9 급에서 진급
9급 서기보 :공채나 특채로 임용
장,차관은 대통령이 임명하는 정무직이기 때문에 급수가 없습니다.
서기관과 사무관이 하는 업무는 그들이 속한 부서에 가장 중추적인 일을 진행합니다.
5급이상 사무관부터 흔히 고위 공무원이라 부르며, 그 임명장도 대통령이 줍니다.(직접 수여하지는 않지만)
우리 주변에 새로운 법( 부동산관련, 세금, 교통, 주택, 등 )이나 행정편의 및 변경 등을 진행할 때 대부분 해당 기관의 서기관, 사무관선에 실무적 검토와 내용이 만들어 집니다.
부이사관급이상에선 과장, 계장에서 올라온 기안이나 결재서류를 검토, 결재하는 일을 주로 합니다.
공무원의 꽃은 국장이지만 그 핵심은 과장, 계장급 입니다.
유능한 서기관, 사무관이 많아야 그 부처가 발전하고 더불어 우리나라도 발전합니다. 어쩌면 우리나라를 실제 움직이는 최고의 파워 엘리트집단입니다.
서울특별시장은: 장관급
광역시장하고 도지사는 차관급
기초자치단체 시장과 군수는 서기관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