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산대군의 생애와 활동사항
----월산대군 묘----
일찍이 아버지를 잃고 할아버지인 세조의 총애를
받으면서 궁정에서 자랐다.
7세 때인 1460년(세조 6) 월산군에 봉해졌고,
1468년(예종 즉위년) 동생인 잘산군(乽山君: 성종)
과 함께 현록대부(顯祿大夫)에 임명되었다.
1471년(성종 2) 월산대군으로 봉해졌고,
같은 해 3월 좌리공신(佐理功臣) 2등에 책봉되어
전지(田地)·노비·구사(丘史) 등을 왕으로부터
받았다.
이러한 좌리공신의 책봉은 월산대군이 자신에게
돌아올 수 있었던 왕위를 상실한 것에 대한 배려에서
나온 조처였다.
예종 사후에 왕세자인 제안대군(齊安大君)
이현(李琄)과 월산대군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성종이 왕위에 즉위한 것은
어떤 정치적 내막이 깔려 있었다.
곧, 성종의 즉위는 세조비 정희왕후(貞熹王后)가
세조의 유명을 받들어 시행한 것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당시의 최고 권신이자 성종의 장인인
한명회(韓明澮)의 주선에 의한 것이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성종의 즉위에 대한 종실의
반발을 막기 위해 종실의 대표자격이며
당시 막강한 세력을 구축하던
구성군(龜城君) 이준(李浚)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권신들은 스스로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조치의 하나로 좌리공신을 책봉하였다.
당시의 왕위 계승에서 가장 유리한 위치에 있었던
월산대군은 권신들의 농간에 의해 왕위를 놓치고
좌리공신에 책봉되는 비운을 맞자, 이로 인해
현실을 떠나 자연 속에 은둔해 조용히 여생을
보내야만 하였다.
이후 서호(西湖)의 경치 좋은 양화도(楊花渡)
북쪽 언덕에 위치한 희우정(喜雨亭)을 개축해
망원정(望遠亭)이라 하고, 서적을 쌓아두고
시문을 읊으면서 풍류생활을 계속하였다.
그 뒤 어머니인 덕종비 인수왕후(仁粹王后: 뒤에
소혜왕후로 추존)의 신병을 극진히 간호하다가
병들어 35세로 죽었다. 적자는 없고,
측실에서 난 두 아들이 있었다.
1473년 이후 덕종을 추존하고 종묘에
부묘(祔廟)하기 이전에는, 월산대군이 별묘를 세우고
봉사(奉祀)해 덕종의 맏아들로서
행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덕종이 종묘에 부묘되면서 월산대군의
위치는 종실의 한 사람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일찍부터 학문을 좋아해 종학(宗學)에 들어가 배웠고,
경·사·자·집(經史子集)을 두루 섭렵했다고 한다.
성품은 침착, 결백하고, 술을 즐기며
산수를 좋아했다고
한다.
또한 부드럽고 율격이 높은 문장을 많이 지었으며,
시문 여러 편이 『속동문선(續東文選)』에 실릴
정도로 수준이 높았다.
저서는 『풍월정집』이 있다.
시호는 효문(孝文)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