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동(動動)
德으란 곰배예 받잡고, 福으란 림배예 받잡고
德(덕)이여 福(복)이라 호날 나사라 오소이다.
아으 動動(동동) 다리
正月(정월) ㅅ 나릿 므른 아으 어져 녹져 하논대
누릿 가온대 나곤 몸하 하올로 녈셔
아으 動動(동동) 다리
二月 ㅅ 보로매 아으 노피 현 燈(등) ㅅ블 다호라.
萬人(만인) 비취실 즈시샷다
아으 動動(동동) 다리
三月 나며 開(개)한 아으 滿春(만춘) 달욋고지여
나매 브롤 즈슬 디녀 나샷다
아으 動動(동동) 다리
四月 아니 니저 아으 오실서 곳고리새여
므슴다 錄事(녹사)니만 녯 나랄 닛고신뎌
아으 動動(동동) 다리
五月 五日애 아으 수릿날 아참 藥(약)은
즈믄 핼 長存(장존)하샬 藥(약)이라 받잡노이다.
아으 動動(동동) 다리
六月 ㅅ 보로매 아으 별해 바룐 빗 다호라
도라 보실 니믈 조금 좃니노이다.
아으 動動(동동) 다리
七月 ㅅ 보로매 아으 百種(백종) 排(배)하야 두고
니믈 한대 녀가져 願(원)을 비삽노이다.
아으 動動(동동) 다리
八月 ㅅ 보로만 아으 嘉俳(가배) 나리마란
니믈 뫼셔 녀곤 오날낤 嘉俳샷다
아으 動動(동동) 다리
九月 九日애 아으 藥이라 먹논 黃花(황화)
고지 안해 드니, 새셔가 만하얘라
아으 動動(동동) 다리
十月애 아으 져미연 바랏 다호라
것거 바리신 後(후)에 디니실 한 부니 업스샷다.
아으 動動(동동) 다리
十一月 ㅅ 봉당 자리예 아으 汗衫(한삼) 두퍼 누워
슬할사라온뎌 고우닐 스싀옴 녈셔
아으 動動(동동) 다리
十二月 ㅅ 분디 남가로 갓곤 아으 나살 盤(반)앳 져다호라
니믜 알패 드러 얼이노니 소니 가재다 므라삽노이다
아으 動動(동동) 다리
<현대어 풀이>
덕(德)을랑 뒷배(後盃)로 받자옵고
복(福)을랑 앞배(前盃)로 받고자 하오니
덕이여, 복이여 나아 오십시오.
아으 동동다리
정월(正月)의 냇물은
아! 얼려 녹으려 하는데
세상에 태어나서는
몸이여 홀로 지내는구나
아으 동동다리
이월(二月) 보름에
아! 높이 켠 등불 같구나
만인(萬人)을 비치실 얼굴이로다.
아으 동동다리
삼월(三月) 지나면서 핀
아! 늦봄의 달래꽃이여
남의 부러워할 모습을
지니어 태어나셨구나
아으 동동다리
사월(四月)을 잊지 아니하여
아! 찾아오셨구나 꾀꼬리새여
무슨 까닭으로 녹사(綠事)님은
옛날을 잊고 계심이여
아으 동동다리
오월오일(五月五日)에
아! 단오(端午)날 아침 약(藥)은
오천(午天)을 기리 사실
약(藥)이라 바치나이다
아으 동동다리
육월(六月) 보름에
아! 벼랑에 버린 빗과 같구나
돌보아 주시는 임을
잠깐이나마 따랐습니다.
아으 동동다리
칠월(七月) 보름에
아! 백종(百種)을 벌리어 두고
님과 한 곳에 가고자
원(願)을 비옵나이다
아으 동동다리
팔월(八月) 보름은
아! 가윗날이지마는
님을 모시고 가매
오늘이 가윗날이로다.
아으 동동다리
구월(九月) 구일(九日)에
아! 약(藥)이라 먹는
황화(黃花)꽃이 집안에 드니
세서(歲序)가 저물었도다.
아으 동동다리
십월(十月)에
아! 저미는 보로쇠 같구나
꺽어버리신 후(後)에
지니실 한 분이 없도다
아으 동동다리
십일월(十日月) 봉당 자리에
아! 한삼(汗衫) 덮고 누워
슬픈 일보다 더함이여
고운이를 갈라져서 한 사람씩 지내는구나
아으 동동다리
십이월(十二月) 분지나무로 깎은
아! 소반의 저와 같아라
님의 앞에 들어 가지런히 놓으니
손이 가져다 무는군요
아으 동동다리
[어구 풀이]
곰배예 : 뒤에, 뒷잔에
림배예 : 앞에, 앞잔에
나자라 : 드리러, 진상(進上)하러
어져 녹져 : 얼려 하고 녹으려 하고
누릿 : 세상의
하올로 : 홀로 혼자
다호라 : 답구나, 다워라
즈시샷다 : 모습이시다
디녀 나샷다 : 지니고 나시었도다
錄事니만 : 녹사님은, '녹사'는 고려 때 벼슬 이름
수릿날 : 단오날
즈믄 : 천 년
별해 바룐 빗 : 벼랑에 버린 빗
百種 : 음력 7월 15일. 절에서 죽은 이를 위하여 많은 음식을 차려 놓고 제사를 지냄
排하야 : 벌리어, 차려
한대 녀가져 : 같은 곳에 가고자
嘉俳나리마란 : 가윗날이지마는, '가배'는 음력 8월 15일 추석
뫼셔 녀곤 : 모시어 가서는
가만하얘라 : 고요하구나, 조용하구나
져미연 : 저민, 잘게 자른
바랏 : 보리수 나무
슬할사라온뎌 : 슬픈 일이로다
盤앳 : 쟁반에의
얼이노니 : 가지런히 놓으나니
므라잡노이다 : 무옵나이다, 무옵니다
[핵심 정리]
갈래 : 고려 속요, 4구 3음보. 전 13연의 달거리 노래
성격 : 이별의 노래, 민요풍, 頌禱歌(송도가)
표현 : ① 영탄법, 직유법, 은유법
② 여음구. '動動'은 북 소리를, '다리'는 악기 소리를 흉내낸 의성어
내용 : 남녀의 이별을 주제로 하여, 계절의 변화에 다라 새로워지는 임을 여읜 한 여인의 그리움
을 표현한 노래
주제 : 임에 대한 頌禱(송도)와 哀戀(애련)
의의 : 월령체 노래의 효시, 슬픔과 원한을 讚美(찬미)로 승화시킴
구성 : 全 13연, 월령체 구성(序詞와 本詞인 1월에서 12월까지의 달거리로 구성
세시 풍속일
·2월 보름 : 연등절
·5월 5일 : 수릿날
·6월 보름 : 유두절(流頭節)
·7월 보름 : 백중(百中)
·8월 보름 : 한가위, 추석, 중추절
·9월 9일 : 중양절(重陽節)
기타 : 조선조를 통하여 궁중에서 牙拍(아박)과 함께 연주되었으며, 儺禮(나례) 뒤에는 處容戱(처
용희) 속에 動動舞(동동무)가 포함되었다. 그러나 중종 때에 와서 '정읍사'와 함께 男女相悅之詞(남
녀상열지사)라 하여 폐지됨.
임을 표상하는 구절 : 2월-보름에 켠 등불, 3월-진달래꽃, 4월-녹사님
"화자" 자신을 비유 : 6월-보름에 벼랑에 버려진 빗, 10월-저민 보리수 나무, 12월-본디 나무로
깎은 젓가락
월별 |
소 재 |
주 제 |
세 시 풍 속 |
序詞 |
德·福 |
頌禱(송도) |
|
正月 |
나릿믈 |
孤獨(고독) |
|
二月 |
燈ㅅ불 |
頌祝(송축) |
燃燈(연등) |
三月 |
달욋곳 |
頌祝(송축) |
|
四月 |
곳고리 |
哀戀(애련) |
|
五月 |
아참 藥 |
祈願(기원) |
端午(단오) |
六月 |
빗 |
哀戀(애련) |
流頭日(유두일) |
七月 |
百種(백종) |
戀慕(연모) |
百中日(백중일) |
八月 |
嘉俳(가배) |
戀慕(연모) |
한가위 |
九月 |
黃花(황화) |
寂寥(적요) |
中央節(중앙절) |
十月 |
바랏 |
哀戀(애련) |
|
十一月 |
汗衫(한삼) |
悲戀(비련) |
|
十二月 |
져 |
哀戀(애련) |
|
[시상이 일관되지 않음](맺을 수 없는 사랑의 비극성을 내포한 서정시)
-서사, 2.3.5월= 님에 대한 순수한 송도
-정월, 4월= 개인적 정서, 구체적 나의 고독, 님에 대한 원망
-6.7.8월- 공적 정서와 개인적 정서의 애한 중간적 정감
* 월령체 작품- 농가월령가, 사친가, 청상요, 관등가
[감상의 길잡이]
작자·연대 미상의 고려속요의 하나. 고려 시대에 구전되어 내려오다가 조선 시대에 문자로 정착
된 듯하다. 가사는 한글로 <악학궤범>에, 작품 해설은 <고려사>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에 각
각 실려 있다. 내용에 남녀간의 애정을 그린 것이 많다 하여 고려시대의 속요(俗謠)로 보는 견해
가 다수이다. 노래 형식은 전편 13장으로 된 연장체로, 첫머리의 서장(序章)을 제외하고는 달거
리(月令體)로 되어 있다. 고려시대부터 이 노래는 아박(牙拍:고려시대 궁중 무용의 하나)의 반주
가로 불리었다. 민요의 달거리는 달마다 세시풍속(歲時風俗)을 노래의 발판응로 삼고 있는데 보
통 1월은 답교(踏橋), 2월은 연등(燃燈), 5월은 단오(端午)를 노래 배경으로 삼고 있다. 이 점은 <
동동>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동동>은 세시 풍속이 달마다 설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달은 확실히 드러나 있
고 어떤 달은 무엇을 노래하는지 불확실한 것도 있다. 이 작품에서 2월은 연등, 5월은 단오, 6월
은 유두(流頭), 7월은 백중(伯仲), 8월은 추석, 9월은 중양(重陽)을 각각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
러나 1월은 답교, 3월은 산화(散花), 12월은 나례(儺禮)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할 뿐이다.
<동동>은 본디 정초에 그 해 매달의 운수를 점쳐 보는 달불이[月滋 : 콩에 일년의 각 달을 표시
하고 수수깡 속에 넣어 우물 속에 집어넣은 뒤 대보름날 새벽에 건져 그 불은 정도로 그 해 매
달의 운수를 점치는 민속]처럼 월운제의(月運祭儀)였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즉, 고려 때 해
마다의 국가 행사였던 팔관회(八關會)에서 월운제의를 하며 <동동>을 불렀을 것이라는 것이다.
이 월운제의의 목적이 풍요의 기원에 있었으므로, 한편은 신에게 기도하는 송도(頌禱)·송축(頌
祝)의 내용이 주가 되었을 것이다. <고려사>에 "동동에는 송도의 말이 많다."(권 71), "선풍(仙風)
은 용천(龍天)을 기쁘게 하고 민물(民物)을 안녕하게 한다."(권 81)라고 한 두 기록은 이러한 의
미로 풀이될 수 있다.
제 1장에서는 '곰배·님배'를 대상으로 덕(德)과 복(福)을 송축하고 있다. 제 2장 이하의 달거리에
서는 '님'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제 2장에서는 정월이 되어 얼었다 녹았다 하는 변화를 겪고 있는 냇물과 변함없이 님이 없어
고독하기만 한 자신을 대조시키고 있다.
제 3장에서는 님을 연등의 등불에 견주어 '만인(萬人) 비치실 모습이로다'라고,
제 4장에서는 님을 진달래에 견주어 '남이 부러워할 모습을 지니고 나셨다.'라고 하면서 님의
아름다움을 찬송하고 있다.
제 5장에서는 여름이 시작되는 4월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꾀꼬리와 님을 견주어, 님아 찾아주
지 않는 자신의 처지를 노래하였다.
제 6장에서는 단옷날 아침에 빚은 약을 님에게 바치면서 '천년토록 오래 사시게 할 약이라 바치
옵니다.'라고 님의 행복을 기원하고 있다.
제 7장에서는 유둣날 님을 따라가면서 '돌아보실 님을 적곰(넘어지며 엎어지며) 좇아가옵니
다'라고,
제 8장에서는 백중날 여러 음식을 차려 놓고, '님과 함께 살아가고자 소원을 비옵니다'라고
제 9장에서는 한가위를 님과 함께 맞이하면서 '님을 모시고 가서 노니 오늘이 한가위로다'라고
님과의 행복을 노래하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제 11·12장에서는 제 2·5장과 마찬가지로 님을 잃은 고독을 노래하고 있다.
제 11장에서는 꺾이어 버려져 아무도 돌보지 않는 보로쇠에다 자기 신세를 견주어 외로움을 울
고 있다.
제 12장에서는 그 울음이 한층 처절해진다. 동짓달 봉당자리에 한삼을 덮고 누워 추위에 떨면서
도 '고운 님 생각하며 살아가네'라고 하며 그리움에 몸부림치고 있다.
<동동>의 성격에 대해서는 민요, 벽사진경(벽邪進慶)의 제의가, 남녀간의 사랑을 노래한 서정
시가 등 여러 견해가 엇갈려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이 작품이 지닌 복합적 성격에서 오는 것이
다. 본디 민속과 관련된 단순한 민요 혹은 제의가였던 것이 궁중악으로 채택되면서 서정적인 노
래로 변모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동동'이라는 제목은 매장마다 되풀이되는 후렴구 "아으 동동다리"에서 따온 것이다. '동동'은
북소리의 구음(口音) '동동'을 표기한 것이라는 견해와 '다리'·'두리' 등과 같이 '영(靈)'을 뜻하
는 주술어일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첫댓글 고전문학시간..어렴풋이 옛생각이 나는데......선생님의 설명이 따라야
우둔한 학생이라....
동동다리 다롱디리 같은 의성어는 들리는데...
동동하니 자꾸만 정지로 생각이 굴러가는게...오~! 酒여 저를 용서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