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자평명리학 실전사주분석- 월지인수격과 녹겁격의 겸격인 신인양왕(身印兩旺) 사주 분석
교수님께 배우고자 질문드립니다. 아래의 사주를 순번대로 풀어보고 있는 데 어려움이 많습니다. 바쁘신데 자세히 가르쳐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교안 다운↓
①격(格); 이 사주는 乙元에 亥月이기 때문에 월지격은 인수격이나 천간에 갑목과 을목이 투간하였으므로 록겁격이다.
일부는 맞고 일부는 다릅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 질문에서 설명드리기로 하고, 이 사주는 <월지인수격>입니다. 실제 통변에서는 ‘먹이고 재우고 가르치고 보살피고 활인하는’ 특성과 자격증, 기술증, 등을 근원으로(월지인수격의 특성), 자기 독자적인 독립적인 자수성가적인 자존적인(투간비겁격) 특성의 그릇이다. 라고 표현합니다.
②상신(相神); 이 사주는 갑목이 冬令의 相令이므로 이를 抑해야 하므로 丁식신이 상신이 된다. 이로써 이 사주의 격국용신은 록겁용식신격이다.
일부는 맞고 일부는 다릅니다. 이 사주는 <해(亥)월 월지인수격>이자, 甲乙이 투간하여 실질적인 투간 겸격이라 할 수 있으나, 일원과 같은 오행의 투간은 투간격으로 칭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일원(日元)이란 일간이 체신(體身)의 기준이라는 뜻인데, 일간과 같은 오행의 글자가 천간에 투간하면 기준이 하나가 아니라 둘 이상이 되는 까닭에 격으로는 칭하지 않습니다. 하여 심효첨은 격인 것은 틀림이 없으나 격으로 사용하지는 않는다. 라고 한 것입니다.
하여 이 사주는 신인(身印;일원과 인수)이 모두 왕신이기에 이를 설기함이 가장 급하기에 정(丁)식신이 매우 요긴합니다. 따라서 정(丁)식신이 신인(身印) 모두를 균형할 상신(相神)인 것입니다. 즉, <해(亥) 월지인수격>이나 투간 甲乙비겁 모두 겸격으로서 결과적으로 정(丁)식신은 이래저래 상신이 되는 것은 같은 이치라 하겠습니다. 이에 이 사주의 격국용신 구조식은 <인수용식신격>이며, 더욱 정확하게 표현하면 <월지인수용식신격>이라 하겠습니다.
③대운의 변격;
7대운은 상관대운인데, 천간에 드러나지 않아 원국의 격인 록겁용이 되고 상신은 병화가 술월이므로 휴령의 쇠신인데 이때 상신은 무엇입니까?
7병술대운은 <월지인수용식신격>이 戌추령(秋令)으로 이동하였는바, 인수격은 상령(相令)으로 왕신(旺神)이고, 정(丁)식신은 수령(囚令)의 쇠신(衰神)입니다. 이에 상신(相神)인 정(丁)식신을 돕는 부신(扶神)인 甲乙겁재가 희신이 됩니다. 갑을(甲乙)중 엄밀히 구분하면 갑(甲)겁재는 양지(養地/戌)의 진기(進氣)이고, 을(乙)비견은 묘지(墓地/戌)의 퇴기(退氣)이기 때문에 7대운의 희신은 진기(進氣)인 갑(甲) 겁재라 하겠습니다. 물론 甲乙비겁이라 표현해도 되겠으나 십신은 육친을 구분하는 관계로 더욱 정밀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겁재, 즉 남명에서는 남매, 여자동료, 여자동업자, 여성의류, 여성상대 업종 등으로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7대운. 27대운은 록겁대운인데, 17대운은 을목이 유월이므로 수령의 쇠신인바 정화가 상신이되고, 27대운은 역시 수령이므로 정화가 상신이 된다. 결론적으로 17,27 대운은 록겁용식신격이 맞습니까?
17, 27대운은 말씀하신대로 乙과 甲이 대운의 천간에 투출하였기에 변격(變格)이 됩니다. 따라서 乙甲비겁이 변격 된 것은 틀림이 없으나, 서술한 바와 같이 체신(體身)의 신원(辛元)인 일간과 같은 오행의 비겁이 천간에 드러날 때는 이를 격으로 칭명하지는 않습니다. 쉽게 말씀드려 비겁(녹겁)격이라 표현하더라도 비겁은 인수를 원신으로 하여 표출된 것이기에 이때의 비겁은 인수의 영향력이 비겁과 다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를 원전에서는 신인양왕(身印兩旺)이라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17, 27대운은 비겁(녹겁)의 변격이 아니라기보다는 비겁(녹겁)격이라 칭명하지 않기에, 이 대운 역시 <월지인수격>이며, 인수격이 신유술(申酉戌)의 추령(秋令)에 이르렀기에 상령(相令)으로 왕신(旺神)입니다. 따라서 비겁격이라 부르지 않을 뿐 비겁이 변격된 것이 아닌 것이 아니기에 신인(身印:일원과 인수)이 거대한 당(黨)을 이루고 있으므로 균형신(상신)은 마찬가지로 정(丁)식신입니다. 이를 굳이 격국용신의 구조식으로 표현하면 <월지인수용식신격>이며, 목화(木火)운을 반긴다 하겠습니다(희신喜神).
37,47대운은 인수가 투간하였고, 수령이므로 오행 금(관성)이 상신이어야 하나 천간에 없다. 이러한 경우에 지장간에 있는 금오행을 상신으로 쓸 수 있는데, 반드시 행운에서 나타날 때의 당해 연도에만 상신이 되어 격이 이루어집니까? 마침 시지에 경금의 지장간이 있습니다.
37, 47대운은 癸壬이 대운의 천간에 투간하여 인수 변격대운입니다. 이를 원전에서는 ‘행운에서의 변격’이라 서술하고 있습니다. 변격된 癸壬인수격은 사오미(巳午未)의 하령(夏令)으로 이동하였기에 수령(囚令)의 쇠신(衰神)입니다. 이에 부신(扶神)의 금수(金水)의 관성과 인성이 상신인데, 원국의 천간에 없는 관계로 신(申)중의 경(庚)관성이 세운에서 활성화가 되거나 해(亥)중 임(壬)이 활성화가 되면 희신(喜神)이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상신(相神)과 희신의 명칭인데, 본래 격과 상신은 사주원국의 천간에 드러날 때 취용(取用) 하거나, 대운의 천간에 드러나는 경우에는, 행운에서의 변격 또는 성격(成格)이라 명칭합니다. 따라서 이 대운의 경우에는 경신(庚辛)관성과 임계(壬癸)인성이 원국의 천간에 없으며, 또한 대운의 천간에도 드러나지 않았기 때문에 상신(相神)이라 명칭하지 않고, 세운에서 금수(金水)를 만나면 이를 상신이라 하지 않고 희신이라 표현합니다. 그렇다고 상신이 사라진 것이 아니라 비로소 격의 상신격인 십신이 나타난 것이기에 이를 기뻐하는 것이라 하여 희신이라 일컫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57,67 대운은 관성대운이나 천간에 투간하지 않아 원국의 록겁격을 그대로 적용하고, 57 대운은 신금이 하령이므로 상령이기 때문에 갑목, 을목, 정화중에서 어느 것으로 상신을 정하는 것입니까?
57, 67 대운은 관성대운이나 천간에 투간하지 않았기에 원국의 <해(亥) 월지인수격>이 환원되는 것이며, <월지인수격>이 휴수(休囚)한 까닭에 부신(扶神)인 경신(庚辛)관성이 상신입니다. 그러나 원국의 천간에는 없으나 대운의 천간에 투간 되었기에 <행운에서의 성격>이 됩니다. 이에 57辛巳대운은 편관이 상신이기에 편관의 육친과 특성이 내용물이 되며, 67庚辰대운은 정관이 상신이므로 정관의 육친과 특성이 내용물이 된다고 하겠으며, 이를 돕는 재관운을 기뻐합니다.
67대운은 경금이 춘령이므로 쇠신인 바 기운을 도와주어야 하는데 , 원국의 천간에 없으므로 지장간에서 찾는 것이기 때문에 時支의 지장간에 있는 금오행을 상신으로 삼아 격을 정하는 것인지요?
67대운 역시 <행운에서의 변격>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원국의 <월지인수격>이 제강(提綱; 관장하여 이끌어감)하게 되나, 인수격이 휴령(休令)의 쇠신(衰神)이므로 부신(扶神)의 금수(金水)가 상신이 됩니다. 이에 대운의 천간 경(庚)정관이 상신이 되어 10년을 끌고 가게 되므로 토금(土金) 운을 기뻐합니다. 금년 신축년은 축(丑)중 계신기(癸辛己)가 활성화가 되어 직업 명예운과 재운과 건강운 등은 좋으나, 곧바로 응기(應期)되는 것이 아니라 간지결합의 활성화가 일어나는 해당 월이 좋다 하겠습니다.
다른 질문입니다. 가령 이 사주에서 67대운은 경진대운인데, 실제 이 나이의 간지와 다릅니다. 이에 대하여 교수님께 여쭙고자 합니다.
이상으로 답변에 가름합니다.
이 질문에 대한 교안과 동영상은 스크랩 출처 게시판에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동양학박사 담원 김성수
동영상강의
https://youtu.be/_uFVc0MQPOg
첫댓글 * 카톡으로 온 질문을 옮깁니다.
병술대운은 투간되지 않았기에 원국의 격인 <월지인수격>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이해했습니다. 이 때 상신의 조건은 丙火가 술월이므로 휴령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병화를 생해주는 것이 상신이라고 생각했습니다.
①그런데 교수님께서 인수격이 추령으로 이동하여 상령이라고 하신 것이 궁금합니다.
② “정(丁)식신은 수령(囚令)의 쇠신 (衰神)이다” 정 식신을 왜 언급하신 것입니까?
[답변] 병술대운은 <亥월지인수격>의 실제 제강월령은 亥중 본기인 壬입니다. 이에 壬인수격이 추령(秋令)의 술운(戌運)에 이르렀기에 수기(水氣)가 가을령이니 상령(相令)이며, 왕상(旺相)은 왕신(旺神)이므로 이의 균형을 위해서는 원국의 丁식신이 상신이 되는 것입니다.
질문에서의 丙은 아마도 원국에는 丙이 없으므로 대운의 丙을 일컫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대운의 丙은 원국의 丁상신을 돕는 것이기에 병술대운은 상신(내용물/균형신)을 돕는 대운이므로 희신대운입니다.
@담원김성수 [답변] 그리고 질문 ② “정(丁)식신은 수령(囚令)의 쇠신 (衰神)이다” 정 식신을 왜 언급하신 것입니까? 는,
상신 역시 대운에 따라 왕쇠도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가늠하기 위해 서술한 것입니다.
이에 가을령(戌운)의 丁식신은 수령(囚令)의 쇠신 (衰神)이라 표현하였으며, 이는 이 대운에서는 그릇(격)보다 상신(내용물)이 다소 빈약하다는 뜻입니다. 하여 이를 돕는 식상의 대운은 기뻐한다 하겠으며, 이를 돕는 세운과 월운과 일진은 희신이라 하겠습니다.
[카톡으로 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교수님, 신인양왕격 보고 또보고...정말 유익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담원간명지 모음'이 있으면 베스트셀러가 될 듯 합니다. 하하...
저는 전번 방문때 말씀하신대로 교재 십신편을 반복해 읽고, 동영상 강의 팔법 형충회합부분을 읽었습니다.
읽다보니 예를 들어 인연론, 혼인응기 강의와 팔법실전편등의 내용이 있습니다. 혹시 그러한 동영상 강의와 교재, 자료 등이 있는지요?
지금 제가 학습의 방향을 잃고 우왕좌왕하는 느낌입니다.
부디 나아갈 길을 이끌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건강 조심하세요. 교수님.
[답변]
혼인응기는 결국 재와 관의 변화를 읽는 방법론일뿐이나 훈련과 응용의 문제라 하겠습니다.
즉, 남명에 재성이 배우자성인데 이것이 언제 활성화가 되는가를 살피는 것입니다.
다만 혼인응기는 다른십신과 달리 일지의 배우자궁이 있는 관계로 궁성(宮星)을 함께 참고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별도의 영상은 아쉽게도 없습니다. 강의가 없었던것이 아니라 실전스킬 강의인 관계로 촬영분이 없습니다.
간명의 핵심은 당황하지 말고 [담원순번식간명법]의 순서대로 살피되 통변술의 스킬이 중요합니다.
이는 반복과 실전이 가장 중요하며 도제학습이 더욱 중요한데 제가 건강과 집필이 여의치 않아 안타까움이 큽니다.
이에 답변이 늦어지더라도 궁금한것은 질문을 통해 해소 하시기 바랍니다.
건강을 염려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다음에 오시면 실전상담 요령과 방법론에 대해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카페개설을 계획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사모님과 함께 운영을 하시면 좋을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카페에 적합한 상담 방법에 대해서도 후학들의 경험을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많이 노력해야 할것 같습니다.
건강하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