二三一. [集成]截瘧常山飮
常山 草果 穿山甲(炙) 甘草(炙) 檳榔 知母 烏梅
上等分 用水 酒各一鍾 煎至一鍾 露一宿. 發前二時溫服. 如吐則順之.
231. [집성]절학상산음([集成]截瘧常山飮)
상산(常山) 초과(草果) 천산갑(穿山甲)(자(炙)) 감초(甘草)(자(炙)) 빈랑(檳榔) 지모(知母) 오매(烏梅)
등분(等分)하고 물과 주(酒) 각 1종(鍾)으로 달여 1종(鍾)이 되면 노(露)하기를 일숙(一宿)하고 발(發)하기 전 2시(時)(: 4시간)에 온복(溫服)하느니라. 토(吐)하면 순(順)한 것이니라.
二三二. [寶鑑]交加飮子
治痰食瘴氣虛寒等瘧.
肉荳蔲 草豆蔲 各二個(一煨一生) 厚朴 二錢(半炒半生) 大甘草 二寸(半生半炙) 生薑 一兩(半生半煨)
上水一鍾半 煎八分. 發日空心服 未愈再服.
232. [보감]교가음자([寶鑑]交加飮子)
담(痰) 식(食) 장(瘴) 기(氣) 허(虛) 한(寒) 등의 학(瘧)을 치료(治)하느니라.
육두구(肉豆蔲) 초두구(草豆蔲) 각 2개(個)(하나는 외(煨)하고 하나는 생(生)) 후박(厚朴) 2전(錢)(반(半)은 초(炒)하고 반(半)은 생(生)) 대감초(大甘草) 2촌(寸)(반(半)은 생(生)하고 반(半)은 자(炙)) 생강(生薑) 1량(兩)(반(半)은 생(生)하고 반(半)은 외(煨))
물 1종반(鍾半)으로 달여 8분(分)이 되면 발일(發日)에 공심(空心)에 복용하느니라. 낫지 않으면 다시 복용하느니라.
二三三. 柴平湯
治脈濡濕瘧 一身盡痛 手足沈重 寒多熱少.
柴胡 人蔘 半夏 黃芩 甘草 陳皮 厚朴 蒼朮
水二鍾 加薑 棗煎服.
233. 시평탕(柴平湯)
맥(脈)이 유(濡)한 습학(濕瘧)으로 일신(一身)이 진통(盡痛)하고 수족(手足)이 침중(沈重)하며 한다(寒多) 열소(熱少)한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시호(柴胡) 인삼(人蔘) 반하(半夏) 황금(黃芩) 감초(甘草) 진피(陳皮) 후박(厚朴) 창출(蒼朮)
물 2종(鍾)에 생강(生薑) 대조(大棗)를 가하고 달여 복용하느니라.
二三四. [局方]人蔘養胃湯
治外感風寒 內傷飮食 寒熱頭痛 身體拘急 山嵐瘴氣 疫癘瘧疾等證.
半夏 厚朴(薑製) 橘紅 各八分 藿香 草果 茯苓 人蔘 各五分 蒼朮 一錢 炙甘草 三分
薑七片 烏梅一個 水煎服.
234. [국방]인삼양위탕([局方]人蔘養胃湯)
풍한(風寒)의 외감(外感)과 음식(飮食)의 내상(內傷)으로 한열(寒熱) 두통(頭痛)하고 신체(身體)가 구급(拘急)하며 산람(山嵐)의 장기(瘴氣)와 역려(疫癘) 학질(瘧疾) 등의 증(證)을 치료(治)하느니라.
반하(半夏) 후박(厚朴)(강(薑)으로 제(製)) 귤홍(橘紅) 각 8분(分) 곽향(藿香) 초과(草果) 복령(茯苓) 인삼(人蔘) 각 5분(分) 창출(蒼朮) 1전(錢) 자감초(炙甘草) 3분(分)
생강(生薑) 7편(片) 오매(烏梅) 1개(個)를 넣고 물에 달여 복용하느니라.
二三五. 和解散
治瘴病初作 胸腹滿悶 頭眩發熱.
厚朴(薑汁炒) 陳皮 各二兩 甘草 四兩(炒) 藁本 桔梗 各三兩 蒼朮(半斤米泔浸一宿) 二兩
上爲粗末. 每服五七錢 水鍾半 薑三片 棗二枚 煎七分 熱服. 日三服 夜一服. 此藥不拘傷風傷寒 初作未分證候 任服之 大能助胃祛邪 和解百病.
235. 화해산(和解散)
장병(瘴病)의 초작(初作)에 흉복(胸腹)이 만민(滿悶)하고 두현(頭眩) 발열(發熱)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후박(厚朴)(강즙(薑汁)으로 초(炒)) 진피(陳皮) 각 2량(兩) 감초(甘草) 4량(兩)(초(炒)) 고본(藁本) 길경(桔梗) 각 3량(兩) 창출(蒼朮)(반근(半斤)을 미감(米泔)에 침(浸)하기를 일숙(一宿)) 2량(兩)
조(粗)하게 가루 내고 매 5~7전(錢)을 복용하니 물 1종반(鍾半)에 생강(生薑) 3편(片) 대조(大棗) 2매(枚)를 넣고 달여 7분(分)이 되면 열복(熱服)하느니라. 낮에 3번 복용하고 밤에 1번 복용하느니라. 이 약(藥)은 상풍(傷風) 상한(傷寒)을 불구(不拘)하고 초작(初作)에 증후(證候)가 미분(未分)할 때 임복(任服)하느니라. 크게 조위(助胃) 거사(祛邪)하고 백병(百病)을 화해(和解)하느니라.
二三六. 檳榔煎
治山嵐瘴氣 寒熱嘔吐腹滿 不思飮食.
檳榔 蒼朮 厚朴(薑製) 陳皮 草果 各一錢 甘草 一寸 煨生薑 一塊
水一鍾半 棗三枚 煎八分. 食遠熱服.
236. 빈랑전(檳榔煎)
산람(山嵐) 장기(瘴氣)의 한열(寒熱) 구토(嘔吐) 복만(腹滿)과 불사음식(不思飮食)을 치료(治)하느니라.
빈랑(檳榔) 창출(蒼朮) 후박(厚朴)(강(薑)으로 제(製)) 진피(陳皮) 초과(草果) 각 1전(錢) 감초(甘草) 1촌(寸) 외생강(煨生薑) 1괴(塊)
물 1종반(鍾半)에 대조(大棗) 3매(枚)를 넣고 달여 8분(分)이 되면 식원(食遠)에 열복(熱服)하느니라.
二三七. 屠酥酒
辟山嵐瘴氣 瘟疫等氣.
麻黃 川椒(去合口者) 細辛 防風 蒼朮(製) 乾薑 肉桂(去粗皮) 桔梗 等分
上爲粗末 絹囊貯浸酒中 密封甁口 三日後可服. 每日空心服一二杯. 冒露遠行 辟諸邪氣 但不宜多飮使醉.
237. 도소주(屠酥酒)
산람장기(山嵐瘴氣) 온역(瘟疫) 등의 기(氣)를 벽(辟)하느니라.
마황(麻黃) 천초(川椒)(합구(合口)한 것은 거(去)) 세신(細辛) 방풍(防風) 창출(蒼朮)(제(製)) 건강(乾薑) 육계(肉桂)(조피(粗皮)는 거(去)) 길경(桔梗) 등분(等分)
조(粗)하게 가루 내고 견낭(絹囊)에 저(貯)하고 주(酒)에 침(浸)하여 병구(甁口)를 밀봉(密封)하며 3일 후에 복용할 수 있느니라. 매일 공심(空心)에 1~2배(杯)를 복용하느니라. 이슬을 맞으며(:冒露) 원행(遠行)할 때 모든 사기(邪氣)를 벽(辟)하니 단지 다음(多飮)하여 취(醉)하게 하면 불의(不宜)하느니라.
二三八. 降椒酒
辟一切瘴氣 尋常宜飮之.
降眞香 二兩(細剉) 川椒 一兩(去合口者)
上用絹囊貯浸無灰酒中 約二斗許 每日飮數杯 百邪皆不能犯 兼治風濕脚氣 疝氣冷氣 及背面惡寒 風疾有效.
238. 강초주(降椒酒)
일체(一切)의 장기(瘴氣)를 벽(辟)하니 심상(尋常)으로 마땅히 음(飮)하느니라.
강진향(降眞香) 2량(兩)(세(細)하게 좌(剉)) 천초(川椒) 1량(兩)(합구(合口)한 것을 거(去))
견낭(絹囊)에 저(貯)하고 무회주(無灰酒) 약 2두(斗) 정도에 침(浸)하고 매일 수(數) 배(杯)를 음(飮)하느니라. 백사(百邪)가 모두 범(犯)할 수 없고 겸하여 풍습(風濕)의 각기(脚氣), 산기(疝氣) 냉기(冷氣)를 치료(治)하고 및 배면(背面)의 오한(惡寒), 풍질(風疾)에 유효(有效)하느니라.
二三九. [局方]省風湯
治中風挾熱挾痰 口噤 口眼歪斜 攣急疼痛 風盛痰實.
防風 南星(生用) 各二錢 半夏(浸洗 生用) 黃芩 甘草 各一錢
水二鍾 生薑五片 煎八分. 不拘時服. 此藥同導痰湯合服尤妙.
239. [국방]생풍탕([局方]省風湯)
중풍(中風)의 협열(挾熱) 협담(挾痰)으로 구금(口噤) 구안왜사(口眼歪斜) 연급(攣急) 동통(疼痛)의 풍성(風盛) 담실(痰實)한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방풍(防風) 남성(南星)(생(生)으로 용(用)) 각 2전(錢) 반하(半夏)(침(浸)하여 세(洗)하고 생(生)으로 용(用)) 황금(黃芩) 감초(甘草) 각 1전(錢)
물 2종(鍾)에 생강(生薑) 5편(片)을 넣고 달여 8분(分)이 되면 시(時)에 불구(不拘)하고 복용하느니라. 이 약(藥)과 도담탕(導痰湯)을 같이 합(合)하여 복(服)하면 더 묘(妙)하느니라.
二百四十. [局方]八風散
治風氣上攻 頭目昏眩 肢體拘急煩疼 或皮膚風瘡癢痛 及寒壅不調 鼻塞聲重.
藿香(去土) 半斤 前胡(去蘆) 白芷 各一斤 黃芪(炙) 甘草(炙) 人蔘 各二斤 羌活 防風 各三斤
上爲細末. 每服二錢 水一鍾 入薄荷少許 煎七分. 食後溫服. 或用臘茶淸調服一錢亦可. 小兒虛風 用臘茶淸調下半錢 更量兒大小加減服.
240. [국방]팔풍산([局方]八風散)
풍기(風氣)의 상공(上攻)으로 두목(頭目)이 혼현(昏眩)하고 지체(肢體)가 구급(拘急) 번동(煩疼)하거나 피부(皮膚)의 풍창(風瘡)의 양통(癢痛) 및 한옹(寒壅)의 부조(不調)로 비색(鼻塞) 성중(聲重)하는 것을 치료(治)하느니라.
곽향(藿香)(토(土)를 거(去)) 반근(半斤) 전호(前胡)(노(蘆)를 거(去)) 백지(白芷) 각 1근(斤) 황기(黃芪)(자(炙)) 감초(甘草)(자(炙)) 인삼(人蔘) 각 2근(斤) 강활(羌活) 방풍(防風) 각 3근(斤)
세(細)하게 가루 내고 매 2전(錢)을 복용하니 물 1종(鍾)에 박하(薄荷) 소허(少許)를 넣고 달여 7분(分)이 되면 식후(食後)에 온복(溫服)하느니라. 혹 납차청(臘茶淸)에 조(調)하여 1전(錢)을 복(服)하여도 되느니라. 소아(小兒)의 허풍(虛風)에는 납차청(臘茶淸)에 조(調)하여 반전(半錢)을 하(下)하니, 다시 아(兒)의 대소(大小)를 헤아려 가감(加減)하고 복용하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