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화)~1/17(금)까지 해외 출장으로 인해 며칠간 업데이트를 못했습ㄴ디ㅏ.
43. Dominant 전략으로 배송 효율을 향상
편의점의 물류 시스템은 그 출점(出店) 전략, 점포 전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대기업 편의점의 대다수는 dominant 전략을 근본으로 출점 전략, 점포 전개를 행하고 있다. Dominant 전략이란 집중 출점 방식이다. 각 체인점을 일정 구역 내에 집중하여 출점 하는 것이다.
통상, 상품은 물류 센터 등으로부터 점포에 다다른다. 점포와 점포의 간격이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배송 코스트를 삭감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게다가 just in time으로 상품을 정해진 시간에 보충할 때에도, 점포가 인접하여 있다며 정확한 시간에 배송 가능하다.
대기업 편의점의 대다수는 POS(판매시점 정보관리) 시스템 등이 고도로 구축되어, 점포 정보가 본부와 공유되고 있다.
편의점에서 팔리는 도시락이나 반찬의 유통 경로는, 매일 다빈도 소량 배송이 대전제로 된다. 또한 도매업을 통하지 않고 메이커로부터 직접 들여오는 것으로, 유통 경로도 가능한 한 단축화, 압축화를 모색하고 있다.
반찬 메이커나 우유 메이커, 가공식품 메이커 등의 각각의 상품은 매일, 공동 배송 센터로 모아진다. 편의점의 물류 센터에서는 배송처의 점포에 맞춰 상품이 배분된다. 물론 복수의 온도대 관리에도 대응하고 있다. 식품의 온도 관리 및 품질관리는 편의점의 물류의 큰 특징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시락 등의 온도대와 냉동식품 등의 온도대는 다르다. 덧붙여 말하면 chilled라고 불리는 유제품 등이나, 상온이라고 불리는 스낵 과자 등의 관리 온도도 달라진다.
물론, 세밀한 온도 관리를 실천 가능한 것은, 세밀한 수요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 시스템의 구축을 필요로 한다. 또한 최근에는 DX로의 대응도 필수로 되어 있다.
요점 BOX 유통 경로를 가능한 한 압축 POS 시스템에 의한 상품관리를 추진 수요 예측의 철저로 고도의 logistics를 실천 |
<편의점의 물류 시스템: 온도대별 특징>
온도대 | 취급품목 | 온도대 관리 |
상온 | 스낵 과자, 가공식품, 조미료 등 | 온도관리는 행해지지 않음(단, 초콜릿 등은 25℃에서 관리) |
Chilled | 유제품, 어육련 제품, 면류 등 | -5℃~5℃릐 사리에서 관리 (통상, 0℃ 부근에서의 관리) |
Frozen | 아이스크림, 냉동식품 등 | -18℃ 이하의 보존, 관리 |
정온 | 밥, 구운 빵, 도시락 등 | 예를 들어 20℃에서 관리 |
#dominant #출점 #집중출점 #JIT #P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