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지역 언어의 “차다. 춥다. 가까운. ~없이. 빈(空)”은 우리말과 일치
■ 펀자브어. 힌디어. 한자의 "차다"는 우리말과 일치
구 분 | 펀자브어 | 힌디어 | 한자 |
언 어 | ਠੰਡਾ [Ṭhaḍā] | ठंडा [ṭḥāṉḍa:] | 찰 한(寒) |
우리말 | 차다,춥다 | 찬다.차다 | 차다.차갑다.얼다 |
발 음 | 타다[Ṭhaḍā] ⟶ 차다 | 탄다[ṭḥāṉḍa:] ⟶찬다 |
|
힌디어 | ◾(형용사) 찬. 추운. 차가운. 식은. 한랭한. ◾(형용사) 활기 없는. 자극이 없는. 맛이 없는. ◾(형용사) 무딘. 지루한. 무미건조한. 반응이 없는. 무감각한. |
■ 펀자브어. 한자. 영어의 “니,네 리”는 “가깝다”는 의미로 우리말과 일치
구분 | 펀자브어 | 한자 | 영어 |
언어 | ਨੇਡ਼ੇ [nēṛē] | 마을 리(里) | near |
우리말 | 가까운,가까이 | 리 | 가까이 |
◼ 펀자브어[nēṛē], 한자 리(里). 영어[near]에서 나오는 발음 중 네레. 리. 니어는 모두 가깝다는 의미로 그 어원이 같다고 볼 수 있다.
◼ 영어 neighbor에서 neigh 는 “네, 녚, 녁, 옆”을 의미하며, gh가 f발음이 나는 것을 보면 neigh는 “녚, 옆, 녘, 녁”으로 서로 발음이 호환 됨을 알 수 있다.
◼ 영어 enough,tough,cough,rough,laugh의 gh는 f발음이 나며, neighbor에서 “bor –보” 는 사람을 뜻한다. 티베트어는 “-빠” 가 사람이다.
◼ 일본어에서 つんぼ [聾] tsunbo 는 귀가 들리지 않는 것; 또, 그런 사람, 귀머거리를 뜻하며, どろぼう [泥棒·泥坊] dorobo는 도둑질; 또, 도둑(놈)을 뜻한다.
■ 펀자브어. 네팔어. 영어. 힌디아의 발음은 우리말 "비다. ~ 없이"와 일치
구분 | 펀자브어 | 네팔어 | 영어 | 힌디어 |
언어 | ਬਿਨਾਂ [binam] ਬਿਨਾ [Binā] | बिना [Binā] | bin [bɪn] | बिना [binā:] |
우리말 | ~없이 | ~없이 | 쓰레기통 | ~없이. ~ 없을 경우에. ~ 뺀. |
◼ 펀자브어[binam]. 네팔어[Binā]. 영어[bɪn] . 힌디어[binā:]의 발음은 우리말 비다(공허하다. 없다)와 일치
◼ 영어의 어근 bin (빈, 空)은 모든 것을 “뺀, 공허한, 없는, 없이”의 뜻으로 비어 있는 빈 통을 가르키고 비우는 것을 말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쓰레기통 (→dustbin, waste bin)이나 흔히 뚜껑이 달린 저장용 통을 말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