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 | 생 애 | 재 위 | 업 적 | |
1 | 박혁거세 | 전69~후3 | 전57~후3 | 신라의 시조. 왕호는 거서간. 13세에 왕위에 올라 재위 17년에 전국을 순시하여 농사와 양잠을 장려하였으며, 21년에는 수도를 금성이라고 하고 성을 쌓아 나라의 기 틀을 닦았다. |
2 | 남해왕 | ?~24 | 4~24 | 박혁거세의 맏아들로, 시조의 능을 짓고 석탈해를 사위 로 맞아 대보로 삼고 정사를 맡겼다 = 남해 차차웅 |
3 | 유리왕 | ?~57 | 24~57 | 성은 박.육부의 이름을 고치고 성을 내렸으며 17등 관 제를 제정하였다. 28년에 신라 가악의 기원인〈도솔가> 를 지었다. = 유리 이사금.노례이사금 |
4 | 탈해왕 | ?~80 | 57~80 | 성은 석. 토해라고도 한다. 국호를 계림이라 하였으며, 일본과 화친하면서 백제·가야와 자주 싸움을 벌였다. = 석탈해·탈해 이사금·토해 이사금. |
5 | 파사왕 | ?~112 | 80~112 | 성은 박. 월성을 쌓아 백성을 옮겨 살게 하였으며 음집 벌국을 정벌하고 여러 나라를 병합하여 국위를 떨쳤다. = 파사 이사금 |
6 | 지마왕 | ?~134 | 112~134 | `지마’라고도 부른다. 왜국과 수교를 맺고, 백제의 협조를 얻어 말갈의 공격을 물리침. =지마 이사금·지마왕. |
7 | 일성왕 | ?~154 | 134~154 | 성은 박. 말갈의 침입을 자주 받았으나, 농본국의 정책 을 펼쳐 제방을 고쳐 쌓고 농지를 개간하는 한편 백성들의 사치를 금하고 검소한 생활을 장려.=일성 이사금 |
8 | 아달라왕 | ?~184 | 154~184 | 성은 박. 현의 설치, 도로의 개통 따위의 내치에 힘썼다. ≒= 아달라 이사금. |
9 | 벌휴왕 | ?~196 | 184~ 196 | 성은 석. 탈해왕의 손자로 처음으로 좌군주,우군주의 군직을 만들어 소문국을 정벌하였다 =발휘 이사금 |
10 | 내해왕 | ?~230 | 195~230 | 209년 포상 팔국의 침입을 받은 가락국의 요청으로 구 원병을 파견하여 이를 물리쳤다. 재위 기간에 여러 차례백제의 침입을 받았으나,격퇴하였다.=내해 이사금. |
11 | 조분왕 | ?~247 | 230~247 | 성은 석. 감문국을 정벌하여 군으로 만들고 왜병의 침입을 물리쳤으며, 골벌국의 항복을 받았다. =제귀왕· |
12 | 첨해왕 | ?~261 | 247~261 | 성은 석. 사량벌국을 쳐서 통합하고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어 화친을 맺었으며, 달벌성을 축조하여 백제를 견제하였다. =첨해 이사금. |
13 | 미추왕 | ?~284 | 262~284 | 김씨 왕가의 시조로, 농사를 장려하고 여러 차례에 걸친백제의 침입을 물리쳤다. = 미추 이사금. |
14 | 유례왕 | ?~298 | 284~298 | 286년에 백제와 수교하였고, 297년에는 삼한 소국의 하 나인 이서국의 침입을 격퇴하였다.=유례 이사금. |
15 | 기림왕 | ?∼310 | 298~310 | 성은 석. 조분왕의 손자이며 이찬 걸숙의 아들로,300년 에 왜국과 사신을 교환하였고 빈민을 구제하는 선정을 폈다. =기림 이사금·기립왕. |
16 | 흘해왕 | ?~356 | 310~356 | 기림왕이 대를 이을 자식이 없이 죽자 대신들의 추대로 즉위하였다. =흘해 이사금. |
17 | 내물왕 | ?~402 | 356~402 | 고대 국가 체제를 갖추고 왕권을 강화했으며, 이 시기에 한자가 처음 사용된 듯하다. =내물 이사금. |
18 | 실성왕 | ?~417 | 402~417 | 성은 김(金). 내물왕이 죽자 즉위하였으며, 고구려·일 본과 수호를 맺었다. =실금왕. |
19 | 눌지왕 | ?~458 |
| 고구려에 볼모로 갔다가 돌아와 실성왕을 죽이고 왕위에올랐다. 백제와 공수 동맹을 맺어 고구려를 견제하였으며, 왕위의 부자 상속제를 확립하였다. =눌지 마립간. |
20 | 자비왕 | ?~479 | 458~479 | 459년 월성에 침입한 왜인을 격퇴하였고, 474년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였을 때 백제와 나제 동맹을 맺었다. |
21 | 소지왕 | ?~ 500 | 479~500 | 각 지방에 우역을 두었고, 경주에 시장을 설치하였다. 백제와는 혼인 동맹을 맺고, 고구려와는 여러 번 싸웠 다. = 비처 마립간·소지 마립간. |
22 | 지증왕 | 437~ 514 | 500~514 | 성은 김. 이름은 지대로,지도로,지철로. 국호를 신라로 정하고 왕이라는 칭호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순장법을금하고 농사를 장려하여 우경법을 처음으로 시행하였으며, 울릉도를 점령하여 국토를 개척하고, 중국식을 따라왕에게 시법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지증 마립간. |
23 | 법흥왕 | ?~540 | 514~540 | 이름은 김원종. 이 무렵 불교가 들어왔고, ‘건원’이라는연호를 썼다. 처음으로 율령을 반포하여 백관의 공복을정하는 등 국가 체제의 확립에 힘을 기울였다. |
24 | 진흥왕 | 534~576 | 540~576 | 성은 김. 이름은 삼맥종·심맥부. 한강 하류 지역을 빼 앗아 삼국 통일의 기반을 마련하였고, 변경에 순수비를 세웠다. 팔관회를 처음 열었으며, 황룡사를 지어 불교 진흥에 힘썼다. 화랑 제도를 창시하고 《국사》를 편찬케 하였으며, 가야금을 제작·연주하게 하는 문화 창달에도 이바지하였다. |
25 | 진지왕 | ?~579 | 576~579 | 성은 김, 이름은 사륜,금륜. 내리서성을 쌓아 백제의 잦은 침공을 방비하였다. 상대등 거칠부에게 국사를 맡겼으며, 중국 진나라에 조공을 바쳐 화친하였다. |
26 | 진평왕 | ?~632 | 579~632 | 이름은 김백정. 중국 수나라와 친교를 맺고 불교의 진흥을 꾀하였다. 609년에 수나라의 도움을 받아 고구려를 원정하였고, 당나라가 선 뒤에도 계속 친교를 맺어 고 구려를 견제하였다. |
27 | 선덕여왕 | ?~647 | 632~647 | 성은 김. 이름은 덕만. 김춘추에게 중국 당나라의 원군 을 청하게 하여 백제를 침공하고, 640년에는 당나라에 유학생을 보내어 그 문화를 받아들였다. |
28 | 진덕여왕 | ?~654 | 647~654 | 이름은 김승만. 연호를 태화로 정하고, 648년 김춘추를 당나라에 보내 군사 원조를 받았으며 김유신을 기용하여국력을 키워 삼국 통일의 기초를 닦았다. |
29 | 태종 무열왕 | 602~661 | 654~661 | 이름은 김춘추. 묘호는 태종. 율령을 정비하고, 당나라 와 연합하여 백제를 멸망시키고 삼국 통일의 기반을 닦 았다. = 무열왕. |
30 | 문무왕 | 6??~681 | 661~681 | 성은 김. 이름은 법민. 태종 무열왕의 맏아들로 김유신 |
31 | 신문왕 | ?~692 | 681~691 | 성은 김. 이름은 정명·명지. 자는 일초. 국학을 세워 학문을 장려하고, 관제를 다시 정비하여 신라의 황금시 대를 이룩하였다. |
32 | 효소왕 | 643~702 | 692~702 | 성은 김, 이름은 이홍·이공. 관제를 정비하고 당나라 및 일본과 외교 관계를 맺었으며, 처음으로 의학 박사를두었다. 또 이찬,경영의 모반을 평정하였다. |
33 | 성덕왕 | ?~737 | 702~737 | 이름은 김흥광. 본명은 융기. 당나라 문화를 받아들이는데 힘썼다. |
34 | 효성왕 | ?~742 | 737~742 | 이름은 김승경. 성덕왕의 둘째 아들로, 740년에 파진찬 영종의 모반을 평정하고, 당나라와 교섭하여 원만한 관 계를 이루었다. |
35 | 경덕왕 | ?~765 | 742~765 | 이름은 김헌영. 당나라의 문물을 받아들여 제도와 관직 을 당나라식으로 고치고 국내 지명도 한자식으로 고쳤 다. 국학 진흥과 불교 중흥에 힘써, 통일 신라 문화의 황금시대를 이루었다. |
36 | 혜공왕 | 758~780 | 765~780 | 이름은 김건운. 재위 중 천재지변이 자주 일어나 민심이 흉흉하였으나 사치와 방탕을 일삼고 국사를 돌보지 않다가, 780년에 이찬 김지정의 난으로 살해되었다. |
37 | 선덕왕 | ?~785 | 780~785 | 이찬 김지정의 반란을 진압하고, 혜공왕이 죽자 왕이 되었다. |
38 | 원성왕 | ?~798 | 785~798 | 이름은 김경신. 상대등에 올랐다가 선덕왕이 후사가 없 이 죽자 왕으로 추대되었다. 788년에 독서삼품과를 두 어 인재를 고루 등용하는 한편 790년에는 벽골제를 증 축하여 농사에도 힘썼다 |
39 | 소성왕 | ?~800 | 798~800 | 이름은 김준옹. 왕세손으로 왕위를 계승하였으나 재위 2년 만에 죽었다. 그의 죽음은 신라 왕위 쟁탈전의 시발 점이 되었다. |
40 | 애장왕 | 788~809 | 800~809 | 이름은 김중희. 태종 무열왕과 문무왕의 묘당을 세우고 해인사를 창건하였다. 섭정을 하던 숙부 김언승에게 왕 위를 빼앗기고 시해되었다. |
41 | 헌덕왕 | ?~826 | 809~826 | 이름은 언승. 조카인 애장왕을 죽이고 즉위하여 친당 정책을 폈다. 김헌창과 그 아들 범문의 반란을 평정하고, 백영에게 명하여 패수에 300리나 되는 장성을 쌓게 하였다. |
42 | 흥덕왕 | ?~836 | 826~836 | 이름은 김수종. 뒤에 경휘로 고쳤다. 청해진을 만들고 장보고를 그 대사로 삼아 해적의 침입을 막게 하였으며, 복색 제도를 개정하고 백성의 사치를 금하였다. |
43 | 희강왕 | ?~838 | 836~838 | 이름은 김제륭. 흥덕왕이 후사가 없이 죽자 삼촌인 균정과 왕위 다툼 끝에 균정을 살해하고 왕위에 올랐으나, 뒤에 그를 도왔던 김명 등이 난을 일으키자 목매어 자살하였다. |
44 | 민애왕 | ?~839 | 838~839 | 이름은 김명. 시중으로 있을 때 흥덕왕이 승하하자, 김 제륭을 희강왕으로 내세우고 스스로 상대등이 되어 정권을 잡았으며, 3년 후 왕을 시해하고 스스로 왕위에 올 랐으나, 이듬해 신무왕에게 살해되었다. |
45 | 신무왕 | ?~839 |
| 이름은 김우징. 장보고, 김양 등의 도움으로 839년에 민애왕을 시해하고 왕이 되었으나, 수개월 뒤에 병사하 였다. |
46 | 문성왕 | ?~857 | 839~857 | 이름은 경응. 신무왕의 태자. 재위 연간은 신라의 쇠퇴 기로, 846년에 일어난 장보고의 반란을 비롯하여, 양 순,흥종,김식,대흔 등의 반란이 계속 일어났다. |
47 | 헌안왕 | ?~861 | 857~861 | 이름은 의정,우정. 제방을 쌓아 농사를 장려하였으며, 후사가 없어 왕족 응렴을 사위로 삼아 왕위를 물려줌 |
48 | 경문왕 | ?~875 | 861~875 | 성은 김. 이름은 응렴,의렴. 신라의 쇠퇴기에 즉위하여 중앙 귀족의 모반과 지방의 반란을 평정하는 데 힘썼고, 황룡사 탑을 세웠다. |
49 | 헌강왕 | ?~886 | 875~886 | 이름은 정. 황룡사에 백고좌를 베풀어 불경을 강론하게 하고 문치에 힘썼으나, 재위 중에 처용무가 크게 유행하는 등 신라는 사치와 환락에 젖어 쇠퇴기에 접어들음 |
50 | 정강왕 | ?~887 | 886~887 | 이름은 김황. 황룡사에 백고좌를 베풀어 청강하였으며, 이찬 김요의 반란을 평정하였다. |
51 | 진성여왕 | ?~897 | 887~897 | 이름은 김만. 재위 기간 중에 나라가 혼란에 빠졌으며 후삼국으로 다시 나누어지게 되었다. 888년 각간 위홍 과 대구 화상에게 향가집<삼대목>을 편찬하게 하였다. |
52 | 효공왕 | ?~912 | 897~912 | 이름은 김요. 진성 여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나, 궁 예와 견훤에게 많은 영토를 빼앗기고도 정사를 돌보지 않아 후삼국이 정립되는 것을 막지 못하였다. |
53 | 신덕왕 | ?~917 | 912~917 | 이름은 박경휘. 효공왕이 후사 없이 죽자 귀족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였다. 견훤과 궁예의 침입을 받았다. |
54 | 경명왕 | ?~924 | 917~924 | 이름은 박승영. 후삼국이 정립하여 패권을 다투던 때 왕위에 올라 기울어가는 국운을 회복하려고 노력하였으나 실패하였다 |
55 | 경애왕 | ?~927 | 924~927 | 이름은 박위응. 신라의 국세가 쇠퇴할 때 즉위하여 왕건과 견훤의 압박을 받았으며,927년 포석정에서 연회를 하다 견훤의 습격을 받자 자살하였다. |
56 | 경순왕 | ?~978 | 927~935 | 이름은 김 부. 경애왕이 죽은 뒤 견훤에 의해 왕위에 올랐으나, 935년 고려 왕건에게 항복하였다. |
|
첫댓글 나이 많음을 개의치 말고, 지위가 높음을 개의치 말고,
형제의 세력을 개의치 말고 벗을 사귀어라.
벗이란 상대방의 덕을 가려 사귀는 것이니,
여기에 무엇을 개재시켜서는 안 되느니라.-"孟子"-
좋은 날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