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망토돛양태 : Repomucenus virgis (Jordan and Fowler)
► 외국명 : (영) Virgin dragonet, (일) Horonumeri (ホロヌメリ)
► 형 태 : 크기는 전장 8~9㎝ 정도이다. 몸과 머리는 종편되고 앞몸은 약간 원통형이며 미병부는 측편되었다. 전새개골 가시는 짧고 위로 휘었으며 안쪽 변에 2~4개의 거치가 있다. 등쪽은 연한 황갈색 바탕에 작은 갈색 점들이 밀집 배열되어 있고 어두운 반점들과 백색 반점을이 드문드문 산재되어 있다. 수컷의 제1등지느러미는 매우 높고 넓으며 모든 극조가 실처럼 길게 연장되었다. 암컷의 제1등지느러미는 작다. 수컷의 제1등지느러미는 연한 황색 바탕이며 지느러미 막에 벌레 무늬가 있고 제2등지느러미의 아래 쪽에도 벌레 무늬가 있다. 암컷의 제2등지느러미에는 점이나 무늬가 거의 없다. 가슴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의 제3연조 기부에 이른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마지막 연조는 분지되어있다.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막으로 연결되어 있다. 눈은 머리 등쪽에 치우쳐 있고 양안간격은 약간 오목하다 안하관에는 아래로 난 가지가 없다. 측선은 미병부에서 등을 타고 넘어 반대편 측선과 연결되어 있다. 몸체의 하단에 수평으로 존재하는 피부 주름dermal fold)이 없다.
크기는 전장 8㎝ 정도이다. 두부는 종편되어 있으며, 체측은 원통이거나 약간 측편되어 있다. 두부와 체측의 전체 체색은 유백색이며, 두부의 복부와 체측 복부는 유백색이며, 반문과 반점이 없다. 두부 등 쪽과 체측 상단부에 황갈색 불규칙 소형 반문과 진갈색 반점이 전체적으로 밀집배열되어 있다. 백색 반점이 군데군데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다. 수컷 제1등지느러미는 연황색이며, 극조와 인접한 기저막에 수개의 백색 반문이 있다. 암컷 제1등지느러미 1극의 기저는 연황색이며, 2~4극의 기저는 황갈색이다. 제2등지느러미는 황갈색 반점열이 희미하게 종대배열되어 있다. 가슴지느러미에 황갈색 반점들의 횡대반문이 다수열로 희미하게 있다. 배지느러미의 기저는 연황색이며, 외연은 진회색이다. 뒷지느러미는 연황색 반점열이 1~2열이 있다. 꼬리지느러미의 하엽 외곽 연조는 진회색이며, 다른 부위는 황갈색 반점열의 횡대무늬가 있다. 등지느러미 기저 시점은 가슴지느러미 기저보다 훨씬 전방에 위치하며 아가미구멍의 등 쪽에 위치한다. 수컷 제1등지느러미의 모든 극조는 길게 사상구조로서, 제2등지느러미 연조 길이의 2~3배 정도이다. 암컷 제1등지느러미의 모든 극조는 사상구조가 아니며 제1극의 길이가 가장 길고 점차적으로 짧다. 제2등지느러미의 마지막 연조는 분지연조이다. 제2등지느러미는 제1등지느러미와 현저히 이격되어 있고 외연은 일직선이다. 제2등지느러미 기조 길이는 제1등지느러미 기조 길이보다 현저히 길다. 가슴지느러미는 체측 중앙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단부 외연은 약간 내만되어 있고 하단부 외연은 둥글다. 그 후단은 제2등지느러미의 2~4연조, 뒷지느러미의 1~2연조에 이른다.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막으로 연결되어 있다. 배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기저 전방의 복부에 있으며, 그 후단은 뒷지느러미에 이르지 못한다. 뒷지느러미 기저 시점은 제2등지느러미 연조시점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뒷지느러미 기저 후단은 제2등지느러미 기저 후단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꼬리지느러미는 절형이며 외연은 둥글다. 꼬리지느러미의 중앙 연조는 분지연조이다. 주둥이 전방의 상악은 하악보다 전방에 있다. 상악 후단은 안경 전방에 이른다. 안경은 두부의 등 쪽에 위치한다. 양안간격은 약간 오목하다. 전개부의 전방(antrose)돌기가 있으며 가시 후단은 낚시바늘형이 아니다. 4개의 소돌기가 있다. 아가미구멍은 안경 후단부터 가슴지느러미 기저 상단까지 형성되어 있다. 측선은 완전하여, 체측 상단부와 인접하여 미병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체측측선과 연결되는 체측 중앙의 횡대측선은 없으며 미병부의 횡대측선은 있다. 상하악에 작은 이빨이 있으며, 서골과 구개골에 이빨이 없다.
► 설 명 : 대개는 수심 30~100m 정도의 모래바닥에 서식한다. 양태류 중에서는 다소 깊은 곳에서 볼 수 있으며, 수심 190~260m 범위에서도 어획되고 있다. 식성은 육식성으로 동물성플랑크톤이나 저생 소동물을 잡아먹는다. 주로 연안 저인망에 어획되지만 소형종이어서 대개는 버려진다. 식용 가치는 없는 물고기이다.
제철은 명확하지 않다. 크기가 매우 작아서 요리법은 한정된다. 비늘은 없고 껍질 등에는 냄새가 없다. 살은 백색이고, 가열을 해도 살이 단단하게 조이지 않는다. 시장에 유통되는 일은 없으며, 산지에서는 주로 튀겨서 먹는다. 머리와 내장을 제거하고 녹말을 묻혀서 튀겨낸다. 비린내가 없고, 살은 백색으로 고소하고 맛이 좋다.
► 분 포 : 한국(서해안, 남해안), 일본, 대만, 중국, 뉴칼레도니아 등지의 연안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