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2년 2월 25일 일본 나고야의 300석짜리 소극장에서 90분간 공연을 했다. 객석에는 단 한 사람이 앉아 있었다. 2000년 무렵 한국의 대학에서 강의하며 내 공연장에 빠지지 않고 찾아오던 일본인 이나가키였다.
당시엔 얼굴과 이름만 아는 정도였고, 일본으로 돌아갔는지 한동안 연락이 뜸했던 이나가키의 근황을 알게 된 건 2002년 초였다. 그의 친구들로부터 "이나가키가 암에 걸려 살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 지금 살고 있는 나고야로 와서 공연을 해줄 수 있느냐"는 연락을 받은 것이다. 이것이 계기가 돼 급하게 나고야 공연 일정이 잡혔다.
공연 전날 병실에 누운 이나가키와 재회했다. 비쩍 마른 그는 간신히 숨 쉬고, 연방 가래를 뱉으며 "이 상태로는 도저히 공연장에 못 갈 것 같다"고 힘겹게 말했고, 나는 "당신을 생각하며 멋지게 공연 하겠다"고 약속했다. 정작 주인공이 객석에 없다는 아쉬운 마음으로 다음 날 낮부터 리허설을 했다. 그런데 공연 두 시간 전 누군가 극장에 들어섰다. 부인과 친구들의 부축을 받고 들어온 이나가키였다. 그는 지팡이를 짚고 비틀거리며 간신히 걸어와 앞좌석에 앉았다. 나는 반사적으로 스태프에게 "바로 공연에 들어갑시다. 딱 한 사람을 위해!"라고 소리쳤다.
그렇게 그를 위한 공연이 리허설 대신 열렸다. 전날과는 비교할 수 없이 정정한 모습으로 자신만을 위한 공연과 이어 열린 본 공연까지 감상한 뒤 혼자 지팡이를 짚고 비틀거리며 퇴장했다. 내가 할 수 있는 거라곤 최선을 다해 노래하는 것, 그리고 공연 끝 무렵 "오늘은 이나가키의 날이다. 손뼉을 쳐 달라"고 부탁한 것뿐이다.
1주일 뒤 그의 부고를 들었다. 이듬해 서울에서 그의 부인과 만났다. 남편 유골이 든 주머니를 지니고 온 그녀는 유골 주머니를 향해 "지금 장 선생님이랑 함께 있다"고 속삭였다. 지금도 나는 삶의 끝자락에서 죽을힘을 다해 극장으로 와서 내 공연을 보던 이나가키의 모습, 그리고 상기된 듯 속삭이던 부인의 얼굴을 떠올린다.
2014.3.19. 프리미엄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