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PR에서 맥박 확인 부위요. 영아는 대퇴, 상완, 유소아는 대퇴, 경동맥으로 알고 있는데..
성인도 유소아와 같이 대퇴, 경동맥으로 알고 있으면 되나요?
(성인은 경동맥에요. 유소아도 경동맥이 우선 순위고 안되면 대퇴죠)
2. 일사병(=열성실신=열허탈증)과 열성쇽(=열성피로)의 차이를 명확하게 모르겠어요
기전도 ‘피부혈관 확장으로 심장귀환 혈액량 감소로 인한 뇌 산소 부족으로 인한 실신’과 ‘고온노출로 교감신경계 활성화로 인한 발한’인 것도 같고.. 증상도 의식상실, 저혈압, 빈맥, 으로 비슷하고..
둘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둘 다 기전과 증상은 유사하지만, 열실신은 발한,혈류귀환감소로 인한 ‘대뇌의 허혈’의 증상이 Main(발한보다는 혈관이완으로 인한 귀환감소가 주), 열성피로(쇼크)는 발한과 혈류귀환감소로 인한 ‘부적절한 순환’으로 인해 신체조직과 세포에 산소공급부족이 Main이라고 생각하면 될까요?(열쇼크가 약간 더 심각?)
(네, 정도의 차이)
또 열쇼크에 사용하는 강심제, 일사병에도 사용 가능할까요?
(일사병은 눕히면 회복, 열소크는 순환성 쇼크로 강심제 가능)
그리고 열경련, 열실신에서 나타나는 차고 축축한 피부(혈액 감소로 증발감소로 인함), 열실신에서는 보이지 않는다고 전에 7~8월 문풀시간에 설명해 주셨는데요, 열실신에서 차고 축축한 피부가 보이지 증상으로 잘 나타나지 않는 이유가, 발한이 일어나기는 하지만 열쇼크나 열경련에 비해서 심하게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혈액량의 감소가 심하지 않기 때문에 보상(체액보존위해 증발 감소함)이 잘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라고 이해하면 되나요?
(네)
그리고 보통 쇼크시에 장의 운동성 감소로 금식을 하잖아요.. 열쇼크시에는 의식이 있으면 더운 커피마심(심장수축)(O), 열성쇼크로 식염수와 염분이 함유된 음료수를 마시게 함(O) 둘다 맞는 문장이고 나오던데.. 일단은 열성 쇼크도 쇼크인데.. 장의 운동성(기능)이 떨어질테니 금식해야 하지 않을까요? (열성 쇼크는 다른 쇼크에 비해서 쇼크의 증상이 심하지 않고 쇼크의 원인이 발한에 의한 체액상실과 혈관이완으로 인한 체액저류이기 때문에 수분공급해줌..인가요?)
(네, 오심이 심하지 않으면 주고 심한 오심, 구토에는 정맥 주사에요)
3. 익사시 복부압박을 피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ㅠ
(피하기 보다 물 제거 보다 심폐소생술이 더 중요합니다)
첫댓글 어른이나 유소아나 경동맥이 우선이되, 경동맥으로 맥박측정이 불가능할 때는 대퇴이용한다. 맞나요? ^^
성인에서 맥박 확인은 경동맥만 이에요. 맥박 확인으로 시간이 지연되면 안되니간요. 맥박 확인은 10초안에 이루어져야하니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