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노갈등 심해, 추석전 타결도 미지수
파국직전 극적 점정합의안을 마련해 타결기미를 보이던 현대차 임단협이 극심한 ‘노노갈등’ 속에 결국 부결됐다.
2년 연속 무분규 임단협 타결에 실패한 데 이어 한가닥 희망을 걸었던 조합원 찬반투표에서마저 잠정합의안이 거부되자 노사 모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현대차 노사의 임금 잠정합의안이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부결된 것은 2001년과 2002년 연속으로 부결된 이후 6년만으로, 이에 따라 현대차 노사는 조만간 재협상을 통해 새로운 잠정합의안을 다시 마련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그러나 노조 내부의 계파갈등이 극에 달해 있는데다 사측에서도 추가로 양보할 수 있는 여지가 적어 노사간 팽팽한 힘겨루기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안팎에선 추석 전 타결도 쉽지 않을 것 같다는 우려 섞인 전망도 나오고 있다.
총 4만4976명의 조합원 중 4만2886(투표율 95.35%)만명이 참여한 이번 투표에서 찬성표는 1만6034명으로 찬성률이 37.39%에 그쳤다. 반면 무려 61.21%인 2만6252명이 반대표를 던졌다.
앞서 임단협이 부결된 바 있는 2001년 임단협과 2002년 임협 때의 1차 투표 찬성률은 각각 45.66%와 49.5%였다. 이번 찬반투표의 부결표는 역대 최고치로 합의안에 대한 조합원들의 반발이 예상보다 컸음을 의미한다.
노노 갈등으로 합의안이 무산되는 결과가 나오자 회사 측은 크게 당황한 분위기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장의 분위기가 심상치 않아 쉽지 않을 것 같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결과를 보니 허탈하다”며 “잠정합의안이 부결됨에 따라 노조측과 재협상을 벌여야 하지만 더 이상 진전된 새로운 양보안을 내놓기가 쉽지 않을 것 같다”며 앞으로의 협상이 쉽지만은 않음을 내비쳤다.
이번 잠정합의안 부결의 가장 원인은 노조 내 계파간 선명성 경쟁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현대차 내부에선 찬반투표에 앞서 이미 윤해모 지부장을 포함한 현 노조 집행부에 반발하는 노조원들의 반대운동으로 찬반투표에서 부결될 공산이 크다는 우려가 나올 정도로 내부적으로 어수선한 분위기였다.
계파간의 소모적 선명성 경쟁은 지난달 19일 잠정합의안을 도출하기 직전 일부 대의원들이 노조 집행부의 협상장 입장을 막아서면서부터 본격화 됐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계파 지도부 몇몇의 자리싸움에 대다수의 노조원들이 볼모로 전락하고 소모적 파업과 지리한 노사협상으로 현대차 노사 전체가 피해를 입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날 부결은 지난 노사협상 과정에서 협상안에 불만을 제기하며 노조집행부의 발목을 잡아온 일부 현장노동조직이 잠정합의안 투표를 앞두고 한데뭉쳐 일제히 부결 운동에 나선데다 조합원 사이에 다른 업계와 비교해 임금인상 수준이 낮다는 부정적 여론 등이 크게 작용했기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대해 장규호 현대차지부 공보부장은 “잠정합의안에 대한 조합원의 뜻을 겸허히 수용하며 조속한 시일 내에 교섭위원회의를 개최해 향후 대책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현대차 노사는 지난 2일 제10차 임협에서 임금 8만5000원(기본급 대비 5.61%) 인상과 성과급 300% + 300만원 지급의 잠정합의안을 도출한 바 있다.
또 최대 쟁점 사인이었던 주간연속 2교대제는 2009년 9월중 전 공장에서 시행하되, 전주공장은 내년 1월중 시범실시하고 1·2조 각각 8시간과 9시간 근무, 생산물량과 임금은 현재의 주야간조 각 10시간 근무수준 유지키로 합의했었다.
김종윤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