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반갑잖은 금·은메달…가계·기업 부채 증가율 세계 1·2위 < 경제 < 기사본문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mindlenews.com)
IMF 분석, 한국 가계부채 비중 GDP의 108%로 늘어
5년간 16%p↑…26개국 중 유일하게 두 자릿 수 증가
기업부채 비중도 147→173%, 룩셈부르크 이어 2위
정부부채는 GDP의 54%로 14%p 늘어나는 데 그쳐
가계 이자 부담 2년 새 52%↑…소득 대비 역대 최대
가계부채 (PG) 연합뉴스
'부채 공화국'이라는 오명을 써온 우리나라가 '기어이' 가계와 기업의 부채 증가율 세계 1, 2위를 기록했다. 정부 부채도 부담을 민간에 떠넘긴 덕분에 비록 메달권에 들지는 못했지만, 상당 폭 증가했다.
특히 가계부채가 크게 증가한 결과 가계의 소득 대비 이자 지출 비중이 역대 최대로 불어났다. 이미 미국 등 주요국들이 고금리를 상당 기간 지속하겠다고 밝히고 있어 가계를 비롯한 민간부문의 부채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3일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최근 업데이트한 '세계부채 데이터베이스'에 나타난 한국의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8.1%를 기록했다. 2017년 92.0%에서 5년 새 16.2%p 증가했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증가폭 상위 10개국
한국은 관련 데이터가 집계되는 26개국 가운데 가장 높았을 뿐 아니라 유일하게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한국 다음은 슬로바키아의 9.1%p로 비교하기가 머쓱할 정도다. 이어 일본 7.7%p, 요르단 6.0%p, 룩셈부르크 3.9%p, 칠레 2.8%p, 스위스 2.5%p, 독일 2.3%p 순이었다. 미국(79.5→77.0%)을 비롯해 캐나다, 네덜란드, 영국, 오스트리아, 덴마크, 노르웨이, 포르투갈, 그리스, 아일랜드, 폴란드 등은 가계부채 비중이 되레 감소했다,
한국은 가계부채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절대 수준도 스위스(130.6%)에 이어 두 번째였다. 2017년 26개국 중 7위에서 5년 만에 5단계나 뛰어올랐다.
'GDP대비 기업부채 비율' 증가폭 상위 10개국
가계부채와 함께 민간부채를 구성하는 기업부채도 빠른 속도로 불어나고 있다. 한국의 GDP 대비 비금융 기업부채 비율은 2017년 147.0%에서 지난해 173.6%로 26.6%p 증가했다. 이는 룩셈부르크(38.0%p)에 이어 2위다.
한국의 기업부채 비중은 MF가 데이터를 처음 집계한 2008년 152.6%를 시작으로 2009년 160.0%로 늘었다가, 2010~2016년 150%대 초중반을 유지했다. 2017년 147.0%로 낮아졌지만, 2018년 149.8%, 2019년 154.9%, 2020년 164.8%, 2021년 166.8%에 이어 지난해까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가계와 기업이 이런 양상을 보이면서 GDP 대비 민간부채(가계+기업) 비율도 초고속으로 상승했다. 한국의 민간부채의 비율은 2017년 238.9%에서 지난해 281.7%로 42.8%p 상승했다. 이는 데이터 확인이 가능한 26개국 중 가장 높은 증가 폭이다.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인 2017년 한국의 GDP 대비 민간부채 비율은 전체 11위였지만, 가파른 상승세로 매년 순위를 끌어올리면서 지난해에는 전체 2위로 올라섰다.
국가별 GDP 대비 민간부채 비율. 연합뉴스
첫댓글 ..
우리나라 정서상 집하나는 있어야지! 이런 인식과 그 인식과 함께커버린 비정상 집값, 그리고 인생 30-40년 담보잡고 평등하게 모두에게 대출을 제공한 은행과 정부 다 문제임
터지는거 얼마안남았다고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