써니=학창시절은 다 잘사는 애들로 묘사됨 (장미나 수지의 큰 이층집들, 자기방에서 밤마다 통화할 수 있는 여유, 기차 여행다니기, 졸라서 메이커 사입기, 자유롭게 꾸미고 개인 취미생활하고, 딱히 집안일을 돕거나 가계 걱정을 하는 묘사가 없고, 각 모부들이 돈 잘 버는게 티가나는 집안 분위기 등등)
응답하라 1998=중산층 그 이상 (대놓고 부자 정봉이네, 그 당시 커리어우먼 맞벌이하는 동룡이네, 한부모가정이지만 죽은 아빠 연금 등으로 따로 일하지 않는 선우네, 그나마 잘살다가 사기당한 덕선이네만 조금 힘들어함 등 응답하라 시리즈 자체가 중산층~중상층 이야기라)
80년대가 중산층이 많아지는 시기라 그걸 반영한 작품들이 많이 나오지만
그럼에도 가난하거나 여자라서 공장가거나 저런 청춘 즐거움 못누리는 사람들이 많았던 시절임
실제 우리 엄마는 써니랑 비슷한 나이대고 같이 써니를 봤는데 거의 공감을 못하더라고 잘사는 애들이네~ 하면서 고등학생이 대학을 당연하게 여기고 돈 많이드는 예술계통 준비하고 축제 준비하고 여행다니기 놀러다니기 메이커 입기 이런거 못느껴봤대 ㅋㅋㅋ 일단 집의 가계사정 돈 등에 대한 걱정이 전혀 없어보여서 공감 안갔다고 하더라 오히려 내가 학창시절 생각나서 공감을 많이했어 ㅋㅋㅋ
그렇게 자란 엄빠 세대들이 자녀는 그렇게 키우지 않으려 노력해서 우리 세대 (보통 80년대후반생부터)는 그래도 기본적인 학창시절 청춘하면 떠오르는 것들을 많이 누리고 자란편이라 오히려 몇몇 가정은 저런 작품들보고 엄빠보다 자식들이 더 공감을 많이하기도 함
첫댓글 글고 저때 서울보단 시골살던 엄빠들이 많아서 저런것보다 짱뚱이 만화 보면서 공감 많이하더라
슬프당..나도 예전에 한창 8090추억의거리 이런거 유행할때 엄빠데리고갔는데 엄마는 싫대..그때 너무 힘들어서 생각하고싶지않대..나는 즐거운 기억만 있는데 날 그렇게 키우기위해 엄청 고생하셧었나봄..
이거 좀 맘아프네ㅜㅜ 추억하기싫은 옛추억,,
울 부모님은 그것보다 써니애들 넘 노는 애들이였다고 공감못하더라...ㅋㅋㅋㅋ 걍 학교에서 공부만 하는 모범생이였어서 공감안된대 ㅋㅋ ㅠㅠ
222 날라리들이라고 ㅋㅋㅋㅋㅋㅋ
나도 써니나 응팔보면 엄마가 좋아할 줄 알았는데 그냥 그래하더라ㅋㅋㅋ 시골이어서 더 그랬나싶기도하고 본문대로 커서는 공장다니고 그랬어서 그냥 남 얘기일듯
검정고무신은 공감하시더라ㅋㅋ
우리엄마도 본드하고 이런거 기함함
맞아 오히려 그 전태일 관련 연극
갔는데 눈물 흘리심
엄마 어렸을 때 공장에서 일 했어서…
마음 아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