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배지에서 보내는 정약용의 편지
第一信
아직은 미명이다.
강진의 하늘, 강진의 벌판,
새벽이 당도하길 기다리며 죽로차(竹露茶)를 달이는 치운 계절,
학연아 !
남해 바다를 건너 우두봉(牛頭峰)을 넘어오다
우우 소울음으로 몰아치는 하늬바람에 문풍지에
숨겨둔 내 귀 하나 부질없이 부질없이 서울의 기별이 그립고,
흑산도로 끌려가신 약전 형님의 안부가 그립다.
저희들끼리 풀리며 쓸리어 가는
얼음장 밑 찬 물소리에도 열 손톱들이 젖어 흐느끼고
깊은 어둠의 끝을 헤치다 손톱마저 다 닳아 스러지는 적소(適所)의 밤이여,
강진의 밤은 너무 깊고 어둡구나.
목포, 해남, 광주 더 멀리 나간 마음들이 지친 봉두난발을 끌고 와
이 악문 찬 물소리와 함께 흘러가고 아득하여라, 정말 아득하여라.
처음도 끝도 찾을 수 없는 미명의 저편은
나의 눈물인가, 무덤인가,
등잔불 밝혀도 등뼈 자옥이 깎고 가는 바람소리
머리 풀어 온 강진 벌판이 우는 것 같구나.
第二信
이 깊고 긴 겨울밤들을 예감했을까
봄날 텃밭에다 무를 심었다.
여름 한철 노오란 무꽃이 피어
가끔 벌, 나비들이 찾아와 동무해주더니
이제 그중 큰놈 몇 개를 뽑아
너와지붕 추녀 끝으로 고드름이 열리는 새벽까지
밤을 재워 무채를 썰면, 절망을 썰면,
보은산 컹컹 울부짖는 승냥이 울음소리가 두렵지 않고
유배보다 더 독한 어둠이 두렵지 않구나.
어쩌다 폭설이 지는 밤이면
등잔불을 어루어 시경강의보(詩經講義補)를 엮는다.
학연아 !
나이가 들수록 그리움이며 한이라는 것도 속절이 없어
첫해에는 산이라도 날려 보낼 것 같은 그리움이,
강물이라도 싹둑싹둑 베어버릴 것 같은 한이
폭설에 갇혀 서울로 가는 길이란 길은 모두 하얗게 지워지는 밤,
사의제(四宜齊)에 앉아 시 몇 줄을 읽으며
세상의 법도 왕가의 법도 흘러가는 법,
힘줄 고운 한들이 삭아서 흘러가고
그리움도 남해 바다로 흘러가 섬을 만드누나.
- 정일근 -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은 한국인 중에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을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그리고 그의 이름을 듣고 대부분이 떠올리는 것은 <목민심서>란 그의 저술과 유배생활일 것이다. 정약용은 조선 후기 학자 겸 문신으로 사실적이며 애국적인 많은 작품을 남겼고, 역사, 지리 등에도 특별한 관심을 보여 주체적 사관을 제시했으며, 합리주의적 과학 정신은 서학을 통해 서구의 여러 과학지식을 도입하기도 하였는데 그를 아끼던 정조가 세상을 떠나자 1801년 신유박해(辛酉迫害) 때 장기(長鬐)에 유배된 뒤에 다시 강진(康津)으로 옮겨졌다.
이 유배생활을 통해 그 학문적 깊이는 물론 백성들을 이해하는 깊이가 더해졌다고 하는데, 유배에서 풀려날 때까지 18년간 그는 학문에 몰두, 정치기구의 전면적 개혁과 지방행정의 쇄신, 농민의 토지균점과 노동력에 의거한 수확의 공평한 분배, 노비제의 폐기 등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의 이러한 개혁사상은 끝내 빛을 보지 못하고 마는데, 역사학자들은 그의 개혁사상이 묵살되거나 좌절되어가는 과정에서 조선왕조의 몰락 원인을 찾을 수 있다고까지 평가한다. 특히 그는 유배지 강진에서 두 아들 학연과 학유, 둘째 형님 그리고 제자들과 여러 편지를 주고받았는데 훗날 이 편지들이 책으로 출간되기도 한다.
정일근의 시 <유배지에서 보내는 정약용의 편지>는 강진에 유배되어 있을 때 정약용이 아들 학유에게 보내는 편지로 형상화되어 있다. 물론 정약용이 쓴 편지가 아니라 시인 정일근의 작품이다. 시인이 시위 주동 혐의로 경찰의 수배를 받을 때 거제 학동이란 곳에 숨어들었다는데 거기서 소설가 문순태의 <유배지>란 책을 통해 전남 강진이란 다산의 유배지를 알게 되었고 이를 당시 자신의 처지에 대입시켜 쓴 시라고 한다. 강진으로 유배되었던 다산, 시위 주동혐의로 경찰의 눈을 피해 숨어들었던 시인 - 어쩌면 시간을 뛰어 넘어 정신적 교감이 이루어져 잠시 정일근이 다산이 되어 편지를 썼는지도 모른다.
편지의 발신자는 당연히 다산 정약용이며 수신자는 아들 학유이다. ‘第一信’과 ‘第二信’으로 된 시 속 두 통의 편지에서 다산은 아들에게 기약 없는 유배생활의 절망적 상황을 알린 후에 그리움과 한을 내면으로 소화하며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第一信’은 겨울 그리고 새벽 아직 해가 뜨기 전인 ‘미명’에 쓴 것이다. 다산은 서울의 기별과 흑산도로 유배된 형님의 안부를 그리워한다. ‘치운 계절’이고 ‘우우 소울음으로 몰아치는 하늬바람’이 불며 ‘얼음장 밑 찬 물소리’가 들리는 ‘강진의 밤은 너무 깊고 어둡’다고 한다. 그러니 ‘멀리 나간 마음들이’ ‘이 악문 찬 물소리와 함께 흘러가고 아득하’단다. ‘정말 아득하여라’는 반복을 통해 그 아득함을 더하는데, 끝내는 ‘강진 벌판이 우는 것 같’다는 말로 그리움을 강조하며 유배지의 절망적 상황을 극대화하여 그려낸다.
그런데 ‘第二信’은 전혀 다르다. 다신은 유배지에서 가꾼 무 중에 큰놈 몇 개를 가져와 무채로 썬다. 유배지에서는 자급자족을 해야 했으니 무도 직접 썰어야 했을 것이다. 그런데 무를 써는 행위가 부정적인 것이 아니다. 오히려 ‘절망을 썰면’에 나타나듯이 긍정적이다. 다산에게 정신적으로 힘을 준다. 그러니 ‘컹컹 울부짖는 승냥이 울음소리가 두렵지 않고 유배보다 더 독한 어둠이 두렵지 않’다고 한다. 무를 썰며 두려움을 떨쳐낸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폭설이 지는 밤이면 등잔불을 어루어 시경강의보(詩經講義補)를 엮는’다거나 ‘사의제(四宜齊)에 앉아 시 몇 줄을 읽’으면 처음에는 ‘산이라도 날려 보낼 것 같은 그리움’이 사라지고 ‘강물이라도 싹둑싹둑 베어버릴 것 같은 한’도 하얗게 지워진다. 나아가 ‘세상의 법도 왕가의 법도 흘러가는 법’이란 것을 깨닫게 되어 자신의 ‘힘줄 고운 한들이 삭아서 흘러가고 그리움도 남해 바다로 흘러가 섬을 만드’는 것을 실감하는 것이다.
모든 병은 마음에서 오는 것이라 했던가. 첫 번째 편지에서 보여준 절망적 상황과 끝없는 그리움은 두 번째 편지에서는 무채를 썰며 절망도 썰어버리고 그리움만이 아니라 한까지 사라져 버린다. ‘흘러간다’는 표현을 통해 억지로 그렇게 한 것이 아니라 시나브로 마음의 평안을 찾았다는 것이리라.. 편지 속에 나타난 다산의 정서는 절망, 그리움, 한이었다. 물론 추상적인 것들이다 그러나 편지에서는 이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다산을 괴롭히던 것들은 승냥이 울음소리와 독한 어둠이었다. 그러나 무채를 썰며 이들뿐만이 아니라 첫 번째 편지 속의 그리움은 물론 ‘강물이라도 싹둑싹둑 베어버릴 것 같은 한’까지 하얗게 지워버린다. 결국 무채를 써는 행위나 책을 엮고 시를 읽는 행위는 다산으로 하여금 시름을 해소하고 자신을 위로하는 행위가 된다.
당시로서는 보기 드문 인재, 게다가 정조의 신임을 받아 요즘 말로 잘 나가던 학자이자 행정가였지만 갑작스런 정조의 죽음은 그의 인생을 바꾸어버렸다. 노론에 밀려난 남인, 게다가 천주교 탄압에 휘말린 그의 유배생활은 장장 18년이나 이어지지만 편지에서 나타나듯이 절망적 상황을 이겨내고 오히려 그 생활 속에 백성들의 삶을 살피며 이해하고 학문의 깊이를 더해 500 여 권의 저술은 물론 조선 후기 대 학자로서의 명성을 갖게 한 것은 바로 무채를 썰며 절망까지 썰어낸 결과이리라.
시위 주동자로 수배를 당하던 대학생 정일근이 숨어든 거제에서 책을 통해 알게 된 다산의 유배 생활 - 이를 자신의 처지와 연결시킨 정일근은 마치 자신이 다산이나 된 듯이 아들에게 편지를 썼고, 이 편지가 ‘유배지에서 보내는 정약용의 편지’란 제목의 시로 승화했으며 이는 1985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이 된다. 시란 시인의 상상력이라 하지만 어쩌면 시인과 다산이 어떤 소통이 있었지 않았을까, 하는 상상까지 하게 만들 정도로 다산의 마음이 잘 나타나 있는 시 - 정일근의 이 시를 30년이 지나 다시 읽는다. 나이가 들어서일까. 새삼 편지 속 다산의 마음이 가슴 깊이 다가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