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namu.wiki/w/SOS%20%EC%A1%B0%EB%82%9C%20%EC%82%AC%EA%B1%B4
1989년 7월 24일 일본 홋카이도
다이세쓰산 아사히다케에서 일어난 의문의 조난 사건이다.
1989년 7월 24일 오후
등산 중 행방불명된 조난자 2명을 찾기위해
홋카이도 경찰 측에서 헬리콥터로 수색을 했다.
그런데 수색 도중 등산로에서 떨어진 곳에서
쓰러진 나무로 만든 'SOS'라는 문자 표시를 발견한다.
조난자들은 그곳에서 2~3 km 떨어진 북쪽에서 무사히
구조되어 모든 사건이 일단락되는가 했더니,
그 조난자들은 경찰 조사에서 SOS 표시에 대해선 전혀 모른다고 대답했다.
또 다른 조난자가 표시를 만들었다고 판단한 경찰 측은
다시 헬리콥터로 조사했더니, 동물에 물린 흉터가 있는
유골의 파편과 구해달라고 외치는 남자의 목소리가
녹음된 카세트 테이프가 든 회색 가방을 발견했다.
가방에는 남자 목소리가 담긴 녹음 기능이 있는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를 포함해 카세트 테이프 총 4개가 있었다.
그 외에 비누, 칫솔, 치약, 샴푸가 든 비닐제 세면도구 가방,
녹색 플라스틱 컵, 라디오, 부적 등 물건이 나왔다.
유골을 감식한 아사히카와의과대학과 경찰은
입산 명부와 실종자 목록, 유류품으로 미루어 보아
유골을 1984년 7월에 조난당한, 아이치현에 거주하던 25살
남성 회사원으로 추정했다.
그런데 유골을 분석한 결과 사망한 시기는 당시로부터
약 5년 전이 맞긴 했지만 문제는 25~35세 남짓에
키 160 cm, O형 혈액형인 여성이었다.
또한 아사히카와의과대학에서 7월 28일 추가 감식을
실시한 결과, 해당 유골은 A형의 남성 뼈로 판정되었다.
이런 결과에 수사는 혼란에 빠졌다.
유골이 발견된 곳 주변에서 망자의 다른 유품은 나오지 않았고
유골과 같이 발견된 가방에서도 유골의 DNA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추가적인 수사 결과 1984년 7월에 조난당한
그 남자 회사원에게는 연인이 있었고,
그 여성도 같은 날 산에 올랐다가 행방불명되었음이 밝혀졌다.
그리고 DNA 검사 결과 연인의 DNA와 유골의 DNA가 일치해 신원이 확인됐다.
이후 경찰은 처음 유골이 발견된 장소 근처에서
또 다른 유골과 남성의 면허증, 남성용 시계를
함께 발견했는데, 유골은 남자 회사원의 것으로 밝혀졌다.
경찰은 회사원 커플이 등산 중 조난당했고,
구조를 요청하기 위해 SOS 문자를 만들고 헬리콥터를 향해
소리를 지르는 등 활동을 했으나 끝내 구조되지 못하고
사망한 것으로 잠정 결론 내렸다.
우여곡절 끝에 해결될 것 같았던 사건은 그 남성의 가족들에게
유품을 전달하던 시점에 다시 미궁에 빠졌다.
유품을 받은 가족들은 2차로 발견된 유류품인 면허증과
시계는 망자의 것이 맞지만 1차로 발견된 가방은 아니라고 주장한 것이다.
특히 문제의 카세트테이프에 녹음된 목소리 주인공은
자신의 가족 목소리와는 다르다고 진술했다.
설상가상으로 DNA 조사 결과 1차 유류품의 DNA와
2차 유류품의 DNA는 서로 불일치했다.
구조문자를 만들고 SOS 구조 신호를 보냈던 남성은
1984년에 조난당했던 회사원 커플이 아닌 제3의 인물이라는 뜻이다.
경찰은 문제의 제3의 인물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다시 유류품 조사에 매달리는 수밖에 없었다.
그러던 중 문제의 문자 표시 근처에서 또다른 가방이 발견되었다.
가방에는 부적과 만화책, 카메라 삼각대, 1983년에 만들어진
휴지 봉투, 보험회사 주소가 적힌 서류 봉투가 나왔다.
DNA 조사 결과 새로운 가방에서 검출된 DNA는
처음 발견된 가방의 DNA와 일치했다.
경찰은 제3의 인물과 회사원 커플 사이의 치정관계로 얽힌
사건으로 추측하기도 했다.
그런데 제3의 인물의 유류품 날짜는 회사원 커플이
조난당한 시점보다 1년이나 앞섰다.
즉 3명의 조난시점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수색 끝에도 제3의 인물의 유골만큼은 끝끝내 발견하지 못했다.
문자는 큰 자작나무를 3그루 이상 쌓아올려 만든 것이다.
그리고 문자의 한 폭은 5 m 이상이라 제작하려면
성인 남성이라도 매우 힘들었을 것이다.
이 표시는 발견되기 몇 년 전에 이미 일본 국토지리원에서
촬영한 항공사진에도 찍혔다는 사실이 추가로 드러났다.
다만, 문자 폭이 사진상에서는 불과 0.9 mm에 지나지 않았으므로.
사전정보 없이 표시를 찾아내기는 불가능이나 다름없었다.
의문점은 이 표시를 만든 조난자는 도대체 어디로 사라졌는가이다.
키 160 cm에 불과한 여자 한 명이 폭 5 m 너비로 산 속에서
나무 문자 표시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남겨진 카세트와 테이프
카세트 테이프의 케이스 중에는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그려진 스티커가 붙은 것도 있었고,
애니 마크로스의 주제가가 녹음된 테이프도 있었다.
https://youtu.be/18xRDnaOWew
유류품으로 남겨진 테이프의 녹음 내용 전문이다.
'헬기'를 언급했으므로 헬기가 조난자가 있던 곳의
상공을 비행한 적이 있었고, 다른 사람과 커뮤니케이션을
했다는 것도 짐작할 수 있다.
의문점은 녹음을 한 이유다.
테이프에 큰 소리로 녹음하고 최대 볼륨으로 재생하면
원래 목소리보다 더 큰 소리를 낼 수 있고 에너지를
비축할 수도 있으므로 구조를 위해 녹음했다는 설이 있다.
다른 추측은 녹음 도중 말이 두 번 끊기고, 숨소리도 거칠며
메아리가 크게 울린 점을 들어 조난당한 상황에서
헬기를 보고 소리치며 마구 움직이다가
가방 속 카세트 녹음 스위치가 눌러져 우연히 녹음되었다는 것이다.
또다른 의문점은 유류품이 발견된 장소 주변은 능선이라
벼랑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조난자는 벼랑이 있던 장소에서 녹음을 먼저 했고,
탈출을 위해 능선을 타고 내려오다가 무슨 이유에선지
소지품도 그대로 둔 채로 어디론가 사라졌다고 추측할 수 있다.
제 3의 인물은 누구인가?
지금 이 사건을 정리해보면
제3의 인물이 1983년에 조난당했고,
그로부터 1년 뒤 1984년에 아이치현에 거주하는
회사원 커플이 입산 후 조난당했고 문자 표시 근처에서
사망했다는 결론이 나온다.
그러나 끝내 1983년에 조난당한 제3의 인물의
행적과 정체는 밝혀내지 못했다.
첫댓글 레알 흥미돋... 살짝 홍콩
뭐지....
너무 재밌어 근데 뮤서워ㅠ
저기 위험하단거아냐
구조 성공해서 유골이 없는 거 아냐?🤔
뭐여 왜저리 조난자가 많아
뭐야무야
무서우ㅑ... 등산 진짜 위험한거같애ㅜㅜㅜ
헐 너무 무섭다…
이 말은 유골 두개가 섞였다는 건가?
유골을 분석한 결과 여자였는데 추가로 분석한 결과 다른 남자였다니.. 그럼 그 유골들이 서로 엉겨있어 두명의 유골일꺼라고 생각도 못한건가?
저사람은 어디로 갔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