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이야기제 555화 ♡
예전 대학천책방거리(대학천상
가)는 신간도서출판유통의 중심 지였고 청계천책방거리(평화시
장일부상가)는 헌책을 필요했던 많은 이들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던 기능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책방거리는 어려웠던 시
절 꿈을 키었던 사연과 추억이있
는 공간자리가 청계천박물관기
획전시실에서 3월12일까지 전시
하고있습니다.
서울 청계천. 대학천책방거리홍
보물(건물벽게시).
박물관건물입구 홍보물.
박물관전시장입구 홍보물.
동대문일대공간의 책방거리형성
과 변화.평화시장과 대학천상가
1962년. 1974년. 2019년당시
사진들.
1990년. 2007년당시 사진.
-흥인지문일대.임인식作1954년
-청계천과 대학천합수부일대. 임
인식作 1955년
1962년동대문일대 대학천상가
와 평화시장 "라""마"동 사진.
복개된 청계천위로 운영중인 노
점과 건립중인 평화시장.1961년
국가기록원. 좌측이 평화시장
[ 대학천책방거리주변 사진 ]
右上. 동대문전차차고와 복개전
청계천오간수교일대모습.
항공촬영 임인식作
1954년
右下. 겨울 눈오는날 동대문시장
모습. 한영수作 1957년
左上. 청계천복개공사현장.
1964년
左中. 흥인지문과 종로. 복개전
청계천전경. 항공촬영
임인식作 1955년
左下. 동대문전차사업소 내부전
경. 1966년
右上. 동대문짐진 지게꾼 홍순태
作 1974년
右中. 흥인지문과 동대문운동장.
노무라모토유끼作1970년
右下. 동대문고속터미널내 버스
와 대기승객들. 김녕만作
1977년
左中中.신문등을 파는 동대문행
상. 홍순태作 1976년
左中左. 동대문고속터미널의 할
아버지와 손자. 김녕만作
1977년
左下. 흥인지문과 버스터미널.
김한용作 1970년대
右下. 동대문고속터미널대합실.
홍순태作 1970년
[ 청계천책방거리 주변사진 ]
- 청계천복개공사개통식 1층에
상당수 서점들이 입주.1961년
- 평화시장건립직후 복개부지에
서 무를 파는 상인. 한영수作
1960년대
右上. 평화시장인근 청계고가도
로건설중인 모습.김한용作
1960년대후반
右下. 평화시장앞에 임시로 열린
김장시장. 1963
左上. 청계고가도로개통식전 모
습.청계5가방향 1969년
左上. 청계천고가도로개통식전
모습.청계7가방향1969년
左中. 평화시장전경(오간수교-
평화시장방향. 1965년
左下. 평화시장앞 출근시간버스
정류장주변.노무라 모토유
키作 1970년대
右上. 평화시장과 청계고가도로
김한용作 1970년
右下. 평화시장 가.나.다동과 라.
마동통로.노무라 모토유끼
作 1973년
左. 평화시장과 청계고가도로(청
계5가방향) 1981년
대학천책방거리
- 대광서적.신광서적
유한서적.계림서적外 다수
청계천책방거리
- 양지서림.육교서점外 다수
한때 책방이 100여곳에 이루었
으나 지금은 겨우 10여곳정도만
남아 책방거리의 명맥을 유지하
고있는 실정임.
[ 도시속의 책방거리 ]
부산 보수동책방거리
대구 남산동책방거리
대전 원동 책방거리
인천 배다리책방거리
전시를 마치며.
청계천박물관로비 장식물.
정릉천과 청계천이 만나는 합수
부주변(박물관.서울시설공단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