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북 제천) 금수산 ; 상천리-정낭골-금수산-어댕이골-용담폭포 (07. 9. 9)
*상천휴게소-동문재-정낭골-정상-얼음골재-어댕이골-동문재-용담폭포-상천휴게소
*산행시작~종료시간 ; 10시 18분 ~ 3시 55분
*총 산행시간 ; 5시간 37분 = 산행 3시간 32분 + 정지 2시간 05분
*GPS 실거리 약 9.1 km (도상거리 약 8.1 km)
◎ <일시> 2007. 9. 9. 일 (대체로 맑음)
◎ <인원> 35명
◎ <산행 코스 및 주요지점 통과시간>
-상천리 상천휴게소 (10*18)
-백운산장 (10*24)
-보문정사 입구에서 우회전 (10*25)
-용담폭포 표석 삼거리에서 우회전(Y") (10*31)
-동문재에서 직진 (10*42~53)
-삼거리에서 우회전(Y")(정낭골 行) (10*55)
<월악14-06><↓상천주차장 1.2 / ↗금수산 2.3 / ↖탐방로아님>
-<월악 14-05><↓상천주차장 2.0 / ↑금수산1.5> (11*14)
-화전터 (11*18~28)
-밧줄 上 구간(지능선 오름)
-<↑금수산 1.1 / ↓상천주차장 2.4> (11*41)
-<월악 14-04><해발 900m ; 상천주차장 3 / 금수산 0.5> (12*03~17)
-입석바위에서 우회전(T'') (12*23)
-주능선 진입하여 좌회전(''T) (12*30)
-금수산 (12*36~43)
-중식 (12*44~1*24)
-상학마을 갈림길(↑-)에서 직진(바위 오르다)
<880m ; ↓금수산 0.3 / →상학마을 2> (1*31)
-얼음골재 사거리에서 좌회전 <금수-04> (1*57~2*11)
-<금수산-09> (2*39)
-묘2기 (2*51)
-<월악14-06><상천주차장 1.2 / 금수산 2.3 / 탐방로아님> (2*58)
-동문재에서 직진 (3*00~05)
-용담폭포 표석 삼거리에서 우회전(Y") (3*12~)
-용담폭포 (3*17~41)
-BACK
-용담폭포 표석 삼거리 (3*44)
-상천휴게소 (3*55)
◎ <산행지 소개>
.금수산은 이름 그대로 사계절 비단결에 수놓은 듯 아름다운 산이다. 금수산의 옛 이름은 백운산이었다. 그런데 조선조 때 단양군수로 부임한 퇴계 이황 선생이 백운산의 아름다움에 반해 금수산으로 산 이름을 고쳤다고 전해진다.
금수산은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산세도 여러 형태로 표현되고 있다. 구단양에서 바라보는 금수산은 아기를 밴 여인이 반듯하게 누워있는 모습이라고도 하고, 청풍 방면에서 바라보면 마치 동물의 왕인 사자가 앉아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이 산 들목인 상천리에서 올려다본 모습은 기와집 지붕 같기도 하고 말안장처럼 보이기도 한다. 금수산 산행은 적성면에서 오르내리는 코스가 운치 있다. 그러나 여름에는 수산면 방면 능강계곡이나 상천리 백운동에서 오르내리는 코스를 찾는 이들이 더 많다. 한여름에도 얼음을 구경할 수 있는 한양지 얼음골이 있고, 용담폭포와 선녀탕 등 계곡미가 뛰어나다.
◎ <산행 길잡이>
* 가는 길 ; 서대구 나들목(07*09)-고속도로 지체-군위휴게소(08*10~42)-단양 나들목(09*34)-단양나들목 나오자마자 우회전(단양 5번도로)-5번, 36번 도로 진행-36번도로로 좌회전(09*39)-36번, 59번 도로-우화삼거리에서 우회전(36번도로)(09*42)-장회나루 휴게소(09*50)-원대삼거리에서 우회전(옥순대교 이정표 有)(09*55)-옥순대교(10*00)-小다리 건너기 전 삼거리에서 우회전<보문정사 이정표 有>(10*05)-상천리/상천휴게소/주차장(10*08)
* 상천휴게소로 가는 길
.제법 가을다운 날씨가 가까이 온 것 같다. 새벽바람으로 느껴지는 바람이 한결 시원하게 와 닿는다.
벌초 때라 그런지 평소 일욜에도 붐비지 않은 중앙고속도로가 오늘따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서행하니 벌써 돌아 올 때가 걱정된다.
안동에서 조식할 것을 군위에서 해결하고 안동을 지나서야 비로소 버스는 속도를 내기 시작하니 단양나들목을 빠져 나와 옥순대교를 건너 5분여 가면 첫 번째 삼거리에서 다리를 건너지 않고 곧바로 우회전한다. 조그마한 이정표가 있는데 <보문정사> 이정표가 눈에 띈다.
마을로 진입하는 길을 포장 공사 중이라 서행하니 눈앞에 상천휴게소가 보이는데 주차장에도 공사 중이다.
상천휴게소 앞에 버스는 멈추고 상천휴게소 옆 백운동교(작은 다리)에 <금수산탐방로> 안내문을 따라 시멘트길 따라 진행하면 된다. (10*18 출발) (상천휴게소 맞은 편 상천식당 왼쪽으로 가은산 들머리가 있으나 통제구간)
* 용담폭포 표석 삼거리 찾아가기
.백운동교를 건너자마자 민박집 앞을 지나 ‘상천리경로당’ 을 지나면 폐가(?)가 있는 삼거리(1)에서 우측으로 <금수산탐방로> 안내문을 따라 가자마자 삼거리(2)에서 좌측으로 계속 시멘트길을 따라 가면 백운산장이다. (10*24)
백운산장을 지나면 이내 보문정사 입구에 커다란 <보문정사>표석이 세워져있는데 (10*25) 우측으로 가면 차량통제용 차단기가 설치된 작은 다리를 건너 계속 직진하면 (우측 길 무시할 것) 간이매점 뒤로 용담폭포 표석이 있는 삼거리에서 우회전(Y")한다. 용담폭포는 좌측인데 하산할 때 보기로 하고 곧바로 좁은 산길로 오르기 시작한다. (10*31~)
* 어댕이골(좌)과 정낭골(우) 갈림길... 하산할 때 다시 만나는 지점
.약간의 돌길이 섞인 오름길을 잠시 오르면 지능선이 가로 지르는 동문재에 이른다. (10*42~53)
좌우로 지능선길을 무시하고 직진방향으로 약간 내려가는 길에 표시기가 많이 달려있다. 잠시 내려가는 듯 하면 <월악14-06><↓상천주차장 1.2 / ↗금수산 2.3 / ↖탐방로아님>이정표가 있는 삼거리(어댕이골과 정낭골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진행한다. (10*55) (좌측은 “탐방로 아님” 으로 되어 있으나 하산로로 이용한 어댕이골이다.)
* 정낭골을 거쳐 지능선 오르기
.편안하게 이어진 등로는 좌측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계곡수 흐르는 소리가 들리더니 곧 계곡을 건너게 되고 (11*04) 이내 우측에 공터가 있는 조그마한 석축을 지나게 된다. (11*05) 아직까지는 별다른 오름길은 없으나 <월악 14-05><↓상천주차장 2.0 / ↑금수산1.5>이정표에 이르러 좌측으로 계곡수가 보인다. (11*14) 계곡수를 볼 수 있는 마지막 지점인 듯 하다. 이정표를 지나면 이내 너덜지대를 지나 조그마한 공터에 나무가 뒤섞인 석축이 있는 화전터(?)에서 잠시 쉬었다가 (11*18~28) 지능선으로 오르는 밧줄구간을 오르기 시작하니 본격적인 오름길이 나오나 보다.
* 꾸준한 오름 길을 따라 금수산에 이르고...
.제법 빡시게 오르면 커다란 슬랩바위 옆을 지나 (11*37) 오름길이 끝나는가 싶더니 약간 우회하여 다시 오름길은 시작되니 <↑금수산 1.1 / ↓상천주차장 2.4>이정표를 지나게 되고 (11*41) 밧줄구간이 이어지고는 우회로가 끝나면서 지능선 날등에 재진입하게 되면서 (11*46) 은근히 오름길은 계속 이어지면서 <월악 14-04><해발 900m ; 상천주차장 3 / 금수산 0.5>이정표에 이르는데 (12*03~17) 우측으로는 <탐방로 아님> 팻말이 있다.
직진 방향으로는 암릉(?암벽)이 있는 듯 약간 좌측으로 암릉(?암벽)을 우회하듯 가다가 오르게 되면 입석바위가 있는 곳에서 (12*23) 등로는 우측으로 이어지면서 주능선에 이르게 된다. (12*30) 좌측으로 바위를 지나면 충주호가 조망되는 조그마한 바위전망대를 지나 나무계단 및 전망대가 설치된 금수산 정상에 이르게 된다. (12*36~43) <금수산 1016m>정상석 뒤로 바라보이는 충주호의 조망은 좋으며 서쪽으로 망덕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자락이 고스란히 바라보인다.
* 상학마을 갈림길
.정상에서 나무계단을 따라 내려가면 또 하나의 나무계단 아래 조그마한 공터에서 중식을 한 다음 (12*44~1*24) 잠시 내려가다가 철제안전시설을 따라 오르고 계단을 오르니 바위전망봉에 이르고 (1*27) 다시 내려가서 나무계단을 2차례 내려가면 정면으로 바위가 길을 막은 듯한 곳에 <880m ; ↓금수산 0.3 / →상학마을 2>이정표가 있으니 상학마을 갈림길(↑-)이다. (1*31) 이정표가 없으면 우측으로 내려갈 뻔 할 지점이니 망덕봉, 얼음골재 방향으로 가려면 바위구간을 올라가야한다.
* 완만한 능선을 따라 가면 얼음골재에 이른다.
.바위를 잠시 오르면 이내 공터 같은 터를 직진하듯 내려가면 밧줄 下구간을 지나 완만한 숲길이 이어지다가 조그마한 공터 봉우리를 넘어 (1*42) 다시 살짝 내려가다 다시 언덕봉우리를 살짝 넘어 (1*54) 완만하게 내려가면 넓은 안부지대에 <금수-04><금수산 얼음골 안내도>가 있는 얼음골재 사거리에 이른다. (1*57~2*11)
직진하면 망덕봉, 우측 下길은 한양지얼음골을 거쳐 능강계곡으로, 좌측은 어댕이골을 거쳐 상천휴게소로 되돌아가게 된다.
* 지능선을 따라 내려가면 어댕이골
.좌측으로 완만하게 내려가는 듯 하더니 제법 경사진 지능선 하산 길은 (얼음골재에서) 25분만에 계곡을 건너게 되니 비로소 어댕이골에 이르게 되고 (2*36) 다시 <금수산-09>지점에서 계곡을 건너게 된다. (2*39) 계곡을 좌측에 두고 조금 떨어진 채 진행하다가 좌우로 묘 1개씩 있는 곳을 지나니 (2*51) 좌측 아래로 흐르는 계곡은 제법 수량이 있어 보인다. 다시 계곡을 건너면 (2*55) <월악14-06>지점이 있는 삼거리에 이르니 (2*58) 어댕이골과 정낭골 갈림길이다.
* 왔던 길로 되돌아가는 길에 용담폭포 구경하고...
.오전에 만났던 곳이니 이제부터 왔던 길로 되돌아가는 길만 남았으니 동문재를 지나 (3*00~05) 용담폭포 표석 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3*12~) 용담폭포를 보기로 한다. 금수산의 비경이라고 할 수 있는 곳이니 꼭 접수해야 할 곳이다. 마치 농로 같은 길을 잠시 따르다 바위가 널려진 곳에 이르니 용담폭포의 우렁찬 폭포수가 들리고 크고 작은 바위 사이로 흐르는 폭포수 위를 바라보니 웅장한 폭포가 있으니 용담폭포이라... (3*17~41)
용담폭포 좌측으로 망덕봉으로 오르는 들머리엔 비지정탐방로로 되어있다.
커다란 슬랩바위에 수직으로 떨어지는 용담폭포 상단부에 움푹 패인 탕 3개로 이뤄진 선녀탕이 있다 하나 그곳까지는 확인할 수는 없지만 용담폭포와 선녀탕에는 옛날 주나라 황제 전설이 있으니 주나라 신하가 금수산이 명산임을 알고 산꼭대기에 묘를 쓰자 신성한 산을 부정하게 한 것에 화가 난 청룡이 크게 노하여 바위를 박차고 하늘로 올라가 버렸다는 전설이다. 이 전설을 낳게 한 청룡이 승천할 때 남겼다는 발자국 형상이 바위에 남아 있다고 한다.
BACK하여 용담폭포 표석 삼거리를 지나 (3*44) 상천휴게소에 이르러 산행을 마친다. (3*55)
산행 종료 후 옥순대교 건너기 전 옥순공원에서 뒷풀이 시간을 가지는 것도 좋더라...
◎ <산행 사진>
* 상천휴게소 앞에 버스는 멈추고...
* 상천휴게소 옆 백운동교(작은 다리)에 <금수산탐방로> 안내문을 따라 시멘트길 따라 진행하면 된다.
* 상천휴게소 옆 백운동교(작은 다리)에 <금수산탐방로> 안내문을 따라 시멘트길 따라 진행하면 된다.
* 폐가(?)가 있는 삼거리(1)에서 우측으로 <금수산탐방로> 안내문을 따라간다.
* 백운산장
* 백운산장을 지나면 이내 보문정사 입구에 커다란 <보문정사>표석이 세워져있다
* 간이매점 뒤로 용담폭포 표석이 있는 삼거리
* 지능선이 가로 지르는 동문재에서 직진방향으로 약간 내려가는 길에 표시기가 많이 달려있다.
* <월악14-06><↓상천주차장 1.2 / ↗금수산 2.3 / ↖탐방로아님>이정표가 있는 삼거리
(어댕이골과 정낭골 갈림길)
* 조그마한 공터에 나무가 뒤섞인 석축이 있는 화전터(?)
* 지능선으로 오르는 밧줄구간을 오르기 시작하니 본격적인 오름길
* 입석바위
* 충주호가 조망되는 조그마한 바위전망대에서...
* 금수산 정상 <금수산 1016m>정상석
* 철제안전시설을 따라 오르고 계단을 오르니 바위전망봉에 이르고...
* 상학마을 갈림길..망덕봉, 얼음골재 방향으로 가려면 바위구간을 올라가야한다.
* 넓은 안부지대에 <금수-04><금수산 얼음골 안내도>가 있는 얼음골재 사거리
* <금수산-09>지점에서 계곡을 건너게 된다..어댕이골이다.
* 용담폭포이라...
* 용담폭포이라...
* 용담폭포이라...
* 용담폭포이라...
* 상천휴게소로 되돌아간다.
* 옥순대교 건너기 전 옥순공원에서 뒷풀이 시간
* 옥순공원
* 옥순공원에서 바라 본 옥순대교
* 옥순공원에서 바라 본 옥순대교
<끝>
E-mail ; galdae803@hanmail.net
http://cafe.daum.net/galdae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