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나브로 사는 삶
류 근 만
한 해가 저물고 있다. 동지(冬至)가 지나고 소한(小寒)이 가까운데 지독한 추위는 없다. 햇볕이 따스하여 별 볼일 없이 천변으로 나왔다. 시나브로 굳어진 몸을 풀기 위해서다. 추운 날씨는 아닌데 손은 시리다. 집에서 나올 때 장갑을 챙기지 못한 것을 후회했다. 점퍼 속에 손을 감췄다. 모자로 귀를 덮었고, 마스크로 입도 가렸다. 이런 부류가 나뿐만은 아니다. 다른 사람은 더 단단히 준비한 모습이다.
하천을 내려다보니 얼음이 얼었다. 사람이 디딜 정도는 아니고, 살얼음보다는 두텁다. 냇가의 얼음은 바깥쪽에서 안으로 얼어간다. 얼음이 얼면 물고기는 얼음 속으로 숨어든다. 보리나 마늘 같은 겨울 식물은 흰 눈을 눈 이불이라 한다. 물고의 겨울 이불은 얼음이 제격인 것 같다. 눈 이불은 보온이고 얼음 이불은 방공호인지도 모른다.
얼음 위에서 바쁘게 움직이는 청둥오리는 물고기 적이다. 맨발로 달리기도 하고 얼음을 콕콕 찍기도 한다. 먹잇감을 사냥하는지, 낚시질인지 무척 바쁘다. 이 추운 날씨 속에서도 먹이 사슬에 얽혀 쫓고 쫓기는 신세가 가련하다. 공격자 앞에는 방공호도 무색하다. 얼음 밑에서지만 평화로운 시간을 보내는 물고기의 삶을 파탄 내는 것이 냉혹한 현실이다.
그러는 중에도 도도히 흐르는 그 물속에서는 얼음 이불을 벗어난 작은 물고기가 숨바꼭질한다. 달리기도 하고 높고 낮게 뜨는 묘기도 부린다. 높이 뜰 때는 주변을 두리번거린다. 자칫 조류의 먹잇감이 될 수 있다. 아마도 어미 고기한테 배운 살아남는 기법일 것이다. 공격과 수비, 잡으려는 힘센 자와 잡히지 않으려는 약자의 모습이다. 나는 그 모습을 한참 동안 지켜보느라 자리를 쉽게 뜨지 못했다. 방공호를 빠져나온 어린 물고기가 안타깝다.
징검다리 사이로 흐르는 물결이 세차다. 한 발 한 발 징검다리를 건넜다. 그 녀석들이 잘 가라고, 또 보자고 손짓하는 것 같다. 재촉하는 발걸음을 멈추면서 자꾸만 뒤를 돌아보았다.
장마철 급류에 할퀸 나뭇가지에 온갖 잡쓰레기가 걸려 있어 흉물스럽다.
그 옆에 물고기 사냥도 못하고 서 있는 늙은 어미 새 한 마리가 처량하게 서 있다. 그것도 혼자라서 청승맞다. 길쭉한 한쪽 다리로 몸을 지탱한 채다. 포수한테 얻어맞았나? 왜 외다리야! 바람이 불면 금방이라도 쓰러질 것 같은데 꼿꼿하다. 그도 잠시다. 어린 새끼를 물끄러미 바라보다가 무슨 신호가 왔는지 두 날개를 활짝 펴고 훨훨 날아간다. 품속에 감춰진 다리는 전술상 숨겼을 뿐이다. 구조 요청에 뒷다리 두 개는 힘차게 뻗쳤고 바로 출동을 한다. 아차! 적의 없이 바라보고 있는 나를 공격자로 오인했나 보다. 날아가는 어미 새를 보면서 나도 방향을 틀어 걷는다.
걷기 운동을 하기 위해서다. 천변의 길은 훤하게 잘 다듬어져 있다. 자전거 길과 사람 다니는 길이 구분돼서 안전하다. 자전거 길에는 젊은 건아들이 씽~씽~ 세차게 달린다. 한쪽 길은 어린아이들이 재잘거리기도 하고 뜀박질도 한다. 중장년들도 달리거나 바쁘게 걷는다. 체력을 보강하는 싸움이다. 나 같은 이는 뒷짐을 짓거나 느릿느릿 걷고, 간혹 지팡이에 의지한 사람도 보인다. 움직이지 않으면 고인 물처럼 될까 봐 걱정하는 부류들이다.
한참을 걷다 보니 숨이 차는 것 같다. 천변을 벗어나니 하얀 머리털이 휘날리는 억세 풀이 보인다. 갈대숲이다. 사이길 벤치에 자리를 잡고 앉았다. 대화가 통할 것 같아서다. 멍청한 키에 산발 머리는 솔솔 부는 바람에도 연신 부딪친다. 부딪치다 못해 흰 머리칼은 다 빠지고 실오라기만 앙상하다. 그래도 다행스럽게 느껴졌다. 홀로 덩그러니 서 있는 키다리 갈대는 외로워 보였다.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자니 초고령 사회 선두주자인 선배 노인 생각이 문득 떠올랐다. 혼자 사는 그것보다는 그래도 부딪치며 사는 삶이 시나브로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훈계하던 선배였다.
언뜻 내가 왜 여기에 와 있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직 노년이란 생각을 하지 않고 살았는데! 단지 오늘따라 집에 홀로 있자니 외롭다는 생각에 바람 쐬러 나왔을 뿐인데! 그동안 나는 참으로 바쁘게 사는 사람 중의 한 사람이라 자처하면서 살았다. 그런데 이제는 좀 변화가 감지된다고나 할까? 매사 조심스럽다. 집에 있으려니, 젊지 않은 나이에 무슨 할 말이 있고, 알콩달콩 시간 보낼 일이 뭐 있겠냐는 말이다. 서로 고집 안 피우고, 언성 높이지 않으면 다행이지, 옛날 같으면 부모 봉양하느라 신경을 써야 했지만, 지금은 빠르게 변화는 기후보다 더 빠른 삶의 변화가 공감을 일으킨다. 나도 이런 현실에 깊게 공감이 간다.
이렇게 모처럼 한가한 시간을 짬 내어 냇가를 거닐어 보니, 내 삶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 같다. 쫓고 쫓기는 삶, 생존경쟁, 이제 이런 것들을 지우고 살아도 될 나이이기는 하다. 그렇게 부지런히 움직이면서 그나마 그래도 이따금은 이렇게 짬을 내어 자연을 바라보며 그들과 함께 할 수 있어 지금 마음이 편안하다. 하지만 오늘따라 냇가에서 생존경쟁하는 물고기도 그렇고 청동오리도 예사롭지 않게 보인다. 바람에 나부끼는 갈대도 그렇고 무거운 발걸음을 띄면서 걷는 나도 자연 속에서 그렇게 시나브로 사는 거니까. *